
3시간 전
안동 실내 가볼 만한 곳, 전통문화콘텐츠박물관
국내 최초 디지털 박물관!
경북 안동에 대해 궁금하다면?
경북 안동 어디 갈지 고민이라면?
전통문화콘텐츠박물관은 어떠세요?
안동 실내 가볼 만한 곳 찾는다면 따라오세요!
📍 전통문화콘텐츠박물관
주소
안동시 서동문로 203
관람시간
09:00~18:00
(마지막 입장: 17:30)
휴관일
매주 월요일, 1월 1일, 설날 및 추석 당일
입장료
무료
전화
054-840-6511
주차장
웅부공원 공영주차장 활용
이곳은 안동 아이와 가볼 만한
실내 여행지 중 하나랍니다.
2007년에 개관한 곳으로
안동의 역사와 전통, 문화에 대해 날씨와
상관없이 실내에서 쾌적하게
즐길 수 있는 곳이었어요.
독특하게도 여긴 유물 없이
디지털콘텐츠로만 채워진
국내 최초의 박물관이었습니다.
아이랑 함께 방문한 저희 가족은
지상에 있는 입구로 먼저 향했었는데,
공사 중이라 엘리베이터를 이용해야만 되었어요.
엘리베이터는 바로 옆 지관서가 카페 가기 전에
위치해서 찾기 쉬웠습니다.
휠체어를 타신 분들이나
유모차를 가지고 온 분들도 쉽게 갈 수 있도록
경사로가 잘 설치되어 있어 편리하였어요.
그럼 이제 입장해 볼까요?
아이랑 안동 실내 가볼 만한 곳
전통문화콘텐츠박물관에 엘리베이터로 입장하니
사물함이 바로 보였어요.
짐을 가지고 왔다면 이곳에 보관하고
이동하는 게 훨씬 편리해 보였답니다.
입장료도 없었는데, 유모차와 휠체어까지
대여 가능해서 유용했었습니다.
전통문화콘텐츠박물관은
안동시가 2004년부터 계획하여
설립한 곳이었어요.
4년여간의 준비 기간을 거쳐
2007년 7월 26일 5시 준공하였답니다.
전체 면적 1,700㎡ 규모의 시설로,
80석 규모의 4D 영상관과 대기공간,
체험 전시실인 제1전시실,
기획전시실인 제2전시실을 포함하여,
사료실, 수장고 등으로 이루어져 있었습니다.
안내 직원분이 반갑게 맞이해주셨습니다.
아이랑 함께 보기 괜찮아 보였던
4D 입체 영상관이 있었는데요.
안동지역에서
왕건과 견훤 사이에 일어난 고창전투,
아이들도 좋아하는 권정생 선생의 엄마 까투리,
450년 전 애절한 부부애를 담은 미투리 등의
상영작이 있었습니다.
저희가 방문했을 때는 영상이 끝난 상태라
아쉽게도 못 보았는데요.
다음에는 시간에 맞춰 방문해서 영상도 봐야겠어요.
입장하자마자 맨 처음 체험했던 곳은
안동문화 VR 체험관이었습니다.
안동 문화 백경 VR 관광열차를 타고,
안동의 대표적인 명소를
멋진 영상과 함께 둘러볼 수 있었는데요.
뒤를 봐도 위를 봐도 영상이
360도 동서남북으로 다 나오니
신기하고 재미있었답니다.
그 바로 옆에는 안동차전놀이
VR 체험이 있었는데요.
안동의 차전놀이란, 정월 대보름에
경북 안동에서 행해지던
대표적인 민속놀이 중 하나였습니다.
매년 5월쯤에 안동 도심지에서는
차전장군 노국공제축제가 있습니다.
(산불로인해 2025년도 봄 축제 취소)
그것과 함께 연계해서
여행 코스로 잡아봐도 좋겠습니다.
아이가 특히나 좋아하던 프로그램은
장원급제 놀이였습니다.
우리나라 전통놀이 중 하나인
종경도 놀이로 말을 옮기며
퀴즈를 푸는 방식이었습니다.
퀴즈를 풀 때마다 레벨 업을 하니,
아이도 신나하며 즐거워했답니다.
곳곳에 이런 재미있는 놀이 요소가 있어서,
아이랑 안동 실내 가볼 만한 곳으로
추천드리고 싶었어요.
놋다리 연주 놀이는
예전에 했던 DDR(디디알), PUMP(펌프) 같은
게임이었는데요.
음악에 맞춰 발판을 타이밍에 맞춰 밟아야 되었는데, 이게 은근히 어렵더라고요?
승부욕이 자극돼서 몇 번이고 하였는데도
우리 가족은 실패하고 말았답니다.
누가 대신 방문하셔서 이것 좀 클리어해 주세요.
실제로 안동에 살았던 적이 있었는데,
안동 팔경에 대해서
이곳에서 알 수 있게 되어 놀랐습니다.
안동 팔경에는
'선어모범, 귀래조운, 서악만종,
임청고탑, 학가귀운, 연미세우,
도산명월, 하회청풍(선어대, 귀래정, 서악사,
임청각, 학가산, 제비원 연미사,
도산서원, 하회마을)'이 있었습니다.
몰랐던 정보도 새롭게 알게 되어
유익하고 도움도 되었답니다.
유물은 하나도 없지만 알차고,
재미있었던 안동 실내 가볼 만한 곳
전통문화콘텐츠박물관!
안동의 전통문화가 유물이나 유적과 같은
유형문화재보다 하회탈춤, 차전놀이,
유교적 전통 같은 무형의 가치에 대한
비중이 높은 것 같았는데요.
무형문화재에 대한 가치를 IT 기술과
접목해 새롭게 풀어낸 방식이 마음에 들었습니다.
안동에 첫 방문이거나,
안동의 무형문화재와 전통문화에 가치에 대해서
알고 싶다면 이곳 전통문화콘텐츠박물관에
방문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본 내용은 이주연 안동시
SNS 기자단 개인의 의견으로,
안동시 공식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 #안동
- #안동시
- #마카다안동
- #안동여행
- #안동전통문화콘텐츠박물관
- #전통문화콘텐츠박물관
- #안동박물관
- #안동디지털콘텐츠
- #국내최초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