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일 전
'당진 안국사지' 석불과 석탑 그리고 매향 암각
보물로 지정된 석불과 석탑
그리고 충남 기념물 매향 암각
충남 당진시 정미면 수당리 687-1
충남 당진시 정미면 은봉산(또는 안국산) 자락의 절터로 남아있는 안국사지에
보물로 지정된 석불과 석탑 그리고 커다란 통바위에 암각문이 새겨져 있는 매향 바위가 있는데,
담장도 없는 길가 얕은 언덕 위에 세워져 있어 찾는 데 어려움이 없습니다.
안국사지 전경
맨 앞에 석탑과 몸돌(탑신) 하나 그리고 큰 돌 3장이 땅 위에 놓여있고,
뒤에는 석축을 쌓아 조성한 터 위에 석불 3기가 나란히 서 있으며, 그 뒤로 커다란 바위가 누워 있습니다.
안국사지 석탑
부서져 방치된 것을 수습하여 다시 쌓은 것으로 보이는 석탑은
단순한 형태의 기단 위에 몸돌을 올렸는데, 2층부터는 탑의 몸돌 없이 지붕돌만 포개져 있습니다.
그런데, 지붕돌에 비해 1층 몸돌이 너무 작아 기단 덮개돌과 지붕돌 사이에 끼워져 있는 듯하고,
나머지 지붕돌도 투박하여 전체적인 균형감이 없으며,
완전한 석탑 형태를 이루지 못하였음에도 1963년 보물 제103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지정할 당시 고려 중기 석탑의 특징을 알 수 있는 중요한 탑으로 판단한 듯합니다.
기단과 몸돌
지대석 위에 세련미가 전혀 없는 사각 형태의 단층 기단을 세우고 덮개를 올려 기단부를 이루었고,
그 위에 몸돌과 지붕돌을 올려 1층 탑신부를 구성하였습니다.
1층 몸돌 조각
1층 몸돌은 각 면마다 귀퉁이에 기둥(우주)이 조각되었고,
한 면에는 문짝(문비) 모양을, 나머지 3면에는 여래 좌상을 도드라지게 새긴 것으로,
사방불(四方佛)의 기본적인 모습은 갖추지 못하였습니다.
별도 몸돌
석탑 옆에 생뚱맞게 놓여 있는 몸돌의 조각이 선명한데,
하대석, 중대석, 상대석이 명확하고 그 위에 결가부좌한 여래가 특정 수인을 한 모습이 양각되었습니다.
안국사지 석탑
그 몸돌을 앞에 두고 측면에서 올려다보니 오히려 균형 잡힌 석탑으로 보입니다.
안국사지 석불
가운데 본존불과 좌우 협시보살로 구성된 석조여래삼존입상은 키가 무척 큰 편으로,
본존불은 580cm, 좌 협시보살은 322.6cm, 우 협시보살은 292cm입니다.
머리에 커다란 사각형 갓을 쓴 본존불은
넓적한 얼굴에 눈과 눈썹, 코가 선명하고 입술은 작게 표현하였으며,
호리호리하게 마른 체형에 긴 다리를 하였고,
왼팔은 배에 붙이고 오른팔은 가슴까지 들어 두 손 모두 엄지와 중지를 맞댄 하품중생의 수인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좌측의 협시보살은 머리가 파괴되었고 우측은 보관을 썼으며,
두 보살은 손의 위치를 바꾸어 한 팔은 배에 붙이고 다른 한 팔은 가슴에 대고 있습니다.
석조여래삼존입상
인체의 조형성을 무시하고 단순하게 조각하였지만,
고려시대 유행하던 괴체화 불상 양식이 반영된 당진 지역의 불상으로 평가하여
1963년 보물 제100호로 지정하였습니다.
한편, 2004년 실시된 발굴 조사에서 태평십(太平十)명 명문 기와가 출토되었는데,
태평은 요나라 성종(1021~1030) 연간이며, 태평 10은 고려 현종 21년(1030)으로,
이때 안국사가 창건되었고, 석탑과 석불이 이 시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매향 암각
석불 뒤에 높이 2.93m, 길이 13.35m, 폭 2.5m 규모의 자연석 통바위가 놓여있는데,
바위의 생긴 모양 때문에 배바위, 고래바위, 북바위 등 다양하게 불립니다.
매향이란 향나무를 땅에 묻는 의식으로,
소원을 비는 자와 미륵불이 향나무를 통해 연결되기를 바라는 신앙의 한 형태인데,
고려시대 몽골과 왜구의 침입을 당한 지역민들이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안국사에서 매향 의식을 행하였던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바위의 왼쪽에 경오이월일, 오른쪽에 경술시월일로 시작하는 명문이 새겨져 있는데,
매향 의식을 치른 내용을 기록한 명문으로 바위에 흐릿하게 남아있으며
2004년 충남 기념물 제163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안국사
안국사지에 인접하여 안국사 이름의 절이 있고,
매향 암각 뒤에 안국사 소유의 전각 두 동이 세워져 있는데,
좌측은 지장전이고 우측은 산신각입니다.
지장전
지장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에 홑처마 맞배지붕의 주심포집이며, 현판은 달려 있지 않고,
전각 내부에는 지장보살과 지장시왕탱화가 봉안되어 있습니다.
산신각
산신각은 정면 3칸, 측면 1칸에 홑처마 맞배지붕의 주심포집이며, 현판을 걸지 않았고,
전각 내부에는 산신탱화를 봉안하였습니다.
요사채
안국사지 석탑 맞은편에 정면 5칸, 측면 3칸에 겹처마 팔작지붕의 주심포집으로 지은 요사채가 자리하고 마당에는 장독이 가득합니다.
이 요사채 전면 언덕 위에 안국사의 주법당으로 사용하는 건물이 있는데,
아마도 안국사지의 법등을 잇기 위해 세운 사찰로 보입니다.
아직 알려지지 않았는지 인적이 없습니다.
머지않아 안국사지 유적과 함께 많은 이들에게 소개될 거라 기대합니다.
당진 안국사지 석탑, 석불, 매향암각
○ 주소: 충남 당진시 원당골1길 188
○ 운영시간: 상시 개방
○ 주차 가능
○ 입장료 없음
○ 주요문화재: 보물 제100호 당진 안국사지 석조여래삼존입상
보물 제101호 당진 안국사지 석탑
충남 기념물 제163호 매향 암각
* 취재일자: 2025년 4월 1일
※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 지금 즉시 출발님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충청남도 #충남 #충남도청 #충남여행지 #국내여행 #충남여행 #충남가볼만한곳 #충남방문의해 #충남관광 #충청도여행 #충청도가볼만한곳
- #충청남도
- #충남
- #충남도청
- #충남여행지
- #국내여행
- #충남여행
- #충남가볼만한곳
- #충남방문의해
- #충남관광
- #충청도여행
- #충청도가볼만한곳
- #당진
- #안국사지석불대좌
- #안국사지
- #안국사지석탑
- #당진여행
- #당진사찰
- #당진데이트
- #당진아이랑
- #당진산책
- #당진관광
- #당진가볼만한곳
- #충남데이트
- #충남아이랑
- #충남산책
- #충남가볼만곳
- #충남사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