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일 전
'현금 없는 시내버스'가 4월 1일부터 도입됩니다.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안전성과 정시성, 쾌적성 향상을 통한 서비스를 개선하고자
4월부터 7월까지 '현금 없는 시내버스'를 노선별로 순차 도입할 예정이며,
시민 불편 최소화를 위해 다양한 현금 대체수단도 운영합니다.
'현금 없는 시내버스' 가 4월 1일부터 도입됩니다.
THE 안전한! THE 친절한! THE 쾌적한!
광주광역시 ‘현금 없는 시내버스’ 운영
🚌 대상노선 : 102개 모든 노선
🚌 추진기간 : '25. 4. 1. ~ 7. 31.(현금함 순차 철거)
- (1단계, 4~5월) 도심 중심 운행 노선
- (2단계, 6~7월) 재래시장, 농촌외곽, 노인건강타운 경유 노선(※어르신 배려)
※ 현금함 철거 전까지는 현금 결제 가능
※ 8. 1. 전노선 현금없는 시내버스 운영
🚌 교통카드가 없어도 버스 이용 가능합니다.
1) 차량 내 배부받은 요금납부 안내서로 계좌이체
버스탑승 (승객) |
⇨ |
계좌이체 안내문 배부 (운수종사자→승객) |
⇨ |
시내버스 요금 입금 (승객→운수회사) |
⇨ |
요금 입금여부 확인 (운수회사) |
* 어르신 등 스마트폰으로 바로 계좌이체가 어려운 경우, 은행 방문하여 이체
2) 차량 내 비치된 선불 교통카드 구입
버스탑승 (승객) |
⇨ |
선불카드 구입안내 (운수종사자→승객) |
⇨ |
선불교통카드 구입 (승객) |
⇨ |
요금 결제 (승객) |
* 판매금액 : 5,000원(카드금액 2,500원+충전금액 2,500원)
3) 모바일 교통카드 발급(QR코드 활용-안드로이드 전용)
버스탑승 전·후 QR코드 스캔 |
⇨ |
모바일 교통카드 앱 연결 및 회원가입 |
⇨ |
충전방식 선택 및 충전 (선불·후불카드) |
⇨ |
요금 결제 |
*버스승강장 및 버스 내부에 부착된 QR코드 안내문 참고
🚌 현금 없는 버스 장점
- 현금 정산을 하지 않아 안정성과 배차 정시성이 좋아집니다.
- 현금함이 사라지면 버스가 보다 쾌적해집니다.
- 현금함 관리비 등 연간 5억여원의 비용이 절감됩니다.
🚌 대중교통비 지원 광주G-패스 혜택 알아보기!
🚌 문의 : 광주광역시 콜센터 ☎ 062-120
- #광주남구청
- #현금없는시내버스
- #교통카드
- #모바일교통카드
- #대중교통
- #G패스
- #광주패스
- #대자보
- #걷고또걷고
- #K패스
- #현금함순차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