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은 우리나라 최초의 기록이 많은 도시입니다.

특히 제물포 개항기를 전후로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시작이 이루어졌는데요.

우리나라 최초의 등대인 팔미도 등대

1903년 건립되었으며,

최초의 영화관 애관극장1895년 문을 열었습니다.

또한, 최초의 기차 경인선

1899년 노량진-인천 구간에서 영업을 개시했죠.

이처럼 뱃길과 육로의 시작과 함께

먹거리, 교통, 행정 등이 다양하게 발전했습니다.

오늘날 우리는 중구 개항로와 동구 배다리마을에서

그 흔적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인천의 배다리

경인선 철도 가설 전 배를 댈 수 있는 다리

있었던 데서 지명이 유래되었습니다.

1883년 개항 이후 개항장에서 밀려난

조선인들의 터전이 되었습니다.

정미소, 양조장, 성냥공장 등 주요 산업들이

밀집되었던 배다리 시장은 항시 북적였다 합니다.

성냥마을박물관에서 당시의 삶을 엿봅니다.

성냥은 세대가 분명하게 나누어지는 물품이네요.

요즘 아이들에겐

단지 생일 케이크에 불을 붙이는 것이지만

50대 이상 연령대에겐 필수 생활용품이었습니다.

비오는날 데이트 고민 끝!

배다리성냥마을박물관 둘러보고

배다리마을 동네 한 바퀴

성냥마을박물관1917년 문을 연

우리나라 최초의 성냥공장인

조선인촌주식회사가 있던 자리였습니다.

1980년까지 우리나라 성냥 산업의 중심지였다가

2016년까지 동인천우체국으로 사용되었고

2019년 리모델링을 하여

현재의 박물관이 되었습니다.

2층 규모로 1층은 전시실이며

2층은 체험장입니다.

비오는날 데이트 코스로도 제격인 이곳!

잔잔한 빗소리를 들으며

아늑한 박물관을 천천히 둘러보는 것도

운치 있는 시간이 될 거예요.☔

<성냥마을박물관>

주소

인천 동구 금곡로 19

개관시간

09:00~18:00

휴관일

매주 월요일, 1월 1일, 설날 및 추석 당일

주차

주차장 없음

대중교통 이용 추천

가는 길 안내

지하철 1호선 동인천역, 도원역 도보 10분

시내버스 배다리 삼거리 하차 도보 5분

( 2.7.12.16.62.506)

관람료

무료

전시는

조선인촌주식회사의 탄생,

성냥의 제조 과정과 쓰임새에 대한 변천 과정

총 3부로 구성되었습니다

박물관 리플릿에는

배다리의 성냥공장, 역사 그리고

공장 노동자에 대한 이야기가 소개되고

문화관광해설사도 상주하여

더욱 자세한 이야기를 들을 수가 있습니다.

아이들을 위한 별도의 리플릿도 제작되어 있어,

아이들도 흥미롭게 배울 수 있답니다.

불은 인류의 진화와 함께해왔습니다.

개항 이후 성냥은 수입품 중 하나로 들어왔고,

1917년 조선인촌주식회사가 설립되면서

우리 생활에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이후, 인천을 중심으로

관련 공장이 점차 확대되며

전국으로 퍼져나갔습니다.

조선인촌주식회사는 공장뿐만이 아니라

일반 가정집까지 소득원이 되었습니다.

빈 성냥갑을 받아다가 풀로 붙여서

갖다주는 부업이 성행하였네요.

초가집 위는 통풍도 잘되고 볕이 잘 들어서

풀칠한 갑을 널면 잘 말랐다 합니다.

하나의 성냥공장은

한 나라의 산업을 변화시킨 동시에

마을 주민들의 삶이 바뀌었던

생활상도 재현되었습니다.

박물관에 들어서는 순간

마주하게 되는 건 바로 원숭이였는데요.

그 이유도 설명됩니다.

원숭이는 인간에게 친숙한 동물로

한국에서는 재주와 지혜 및 관직을 상징합니다.

좋은 의미로

당시 성냥갑에는 원숭이가 많이 그려졌었다 합니다.

성냥의 제조 과정에는

양초와 호롱불로 어둠을 밝히던 시대를 지나,

더욱 편리해진 삶의 변화가 담겨 있습니다.

한때 생활필수품이었던 성냥은

시대적 흐름에 따라 그 쓰임새가 달라졌습니다.

전시 3부에서는

상점과 인물의 홍보용으로 활용되며

새로운 기능을 갖게 된 성냥이,

라이터의 보급으로 점차 사라져 간

과정까지 소개됩니다.

1917년 처음 문을 열며

산업의 한 축을 담당했던 성냥공장은,

1980년대 '불티나' 라이터의 등장과 함께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죠.

당시 성냥은 홍보 수단의 하나로 활용되었으며,

박물관에는 대한극장, 해바라기백화점, 한미이용원,

국회의원 홍보 등에 사용된

다양한 제품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또한, 당시 동구 금곡로에 위치했던

'금곡다방'이 재현되어 있어

옛 문화를 엿볼 수도 있습니다.

다방은 차를 마시고 음악을 들으며

누군가를 기다리는 공간이었으며,

사람들은 성냥을 쌓아 올리며

약속 시간을 기다리는 무료함을 달래곤 했죠.

박물관에서는 당시의 주 부업이었던

사각성냥과 팔각성냥통 만들기 체험도 운영됩니다.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니,

전시 관람 후 직접 만들어보는

재미까지 놓치지 마세요!

실내에서 아늑하게 전시를 관람하고,

나만의 물건을 만들며 감성을 더한다면

잊지못할 비오는날 데이트 코스로 제격이랍니다.

배다리마을은 다양한 역사를 품고 있어

거리 투어도 진행됩니다.

겨울이라 휴지기에 들어섰지만

4월 중 날씨가 완전히 풀리면 재개될 거라고 합니다.

박물관 관람 후 잠시 배다리골목을 걸어봅니다.

경인선이 지나는 아래로 다양한 공간이 이어집니다.

인천문화양조장, 배다리갤러리, 동성한의원,

삶의 중심지였던 다양한 점포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탄생하여 보존됩니다.

TV 드라마의 배경으로 종종 등장하였기에

누구나 걷다 보면 친근함을 느끼게 됩니다.

도깨비의 한미 서점, 3.1만세운동이 펼쳐졌던

창영초등학교 옛 진도여인숙이 있던 골목에는

배다리 아트스테이 1930이 있습니다.

2~3층 건물이 이어지는 골목길을 따라 걷다 보니

창영초등학교에 도착합니다.

배다리성냥마을박물관에는 인촌 동구

배다리의 역사문화 탐방지도가 비치되어 있으니

지도를 참고해서 걸어보아도 좋습니다.

탐방지도는 미림극장, 수도국산동네박물관,

옛배다리시장, 인천문화양조장,

인천창영초등학교, 영화초등학교,

인천기독교사회복지관으로 이어집니다.

한 바퀴 둘러본 후,

전시관과 카페, 예술 조형물이 어우러진

아트스테이 1930에 도착합니다.

골목길을 따라 걷는 것만으로도 흥미롭고,

갤러리에서 감각적인 전시를 감상하거나

빨래터 카페에서 여유로운 한때를 보낼 수도 있죠.

비 오는 날엔 촉촉한 빗소리를 들으며

고즈넉한 분위기 속에서

감성을 채우는 시간을 즐길 수 있는데요.

특별한 비오는날 데이트 코스로 손색이 없습니다.

또한, 인천 동구 금곡동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성냥공장을 조명하는

성냥마을박물관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실내 관람이라

날씨에 구애받지 않고 즐길 수 있으며,

전시 내용도 흥미로워 비오는날 데이트나

가족 나들이 장소로 추천하는데요.

배다리 골목투어와 함께 즐기면

더욱 알찬 하루가 될 거예요! 😊

<배다리성냥마을박물관>

※ 본 게시글은 제13기 인천시 SNS 서포터즈 이민숙 님이 작성하였습니다.


{"title":"비오는날 데이트 고민 끝! 인천 배다리 성냥마을박물관으로 떠나자","source":"https://blog.naver.com/incheontogi/223827412908","blogName":"인천광역시..","domainIdOrBlogId":"incheontogi","nicknameOrBlogId":"인천시","logNo":223827412908,"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