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기관이나 금융기관을 사칭하여

계좌이체나 현금 전달을 요구하는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법을 안내드립니다⚠

기관사칭형 보이스피싱 단계별 유형

수사기관(검찰, 경찰), 금융감독원을 사칭

ex) "개인정보가 유출되었다", "명의가 도용되어

대포통장 개설 범죄에 연루되었다"라는 정부 기관의 전화

처벌 및 예금 보호 명목으로

통장 예치금 전부를 송금 요구

ex) "처벌을 피하게 해주겠다", "돈을 안전하게

보관해 주겠다"

위와 같은 명목으로 통장 예치금 전부를

현금으로 요구

ex) "소속 직원을 보낼 테니 통장 예치금을

현금으로 전달하라"

보이스피싱 조직에게 통장 예치금을

계좌이체하거나 현금으로 직접 전달

기관사칭형 보이스피싱 예방 TIP

🚨

예금 보호, 범죄 수사를 명목으로 계좌이체,

현금 전달 요구는 100% 보이스피싱

🚨

어플 설치, 홈페이지 접속을 유도하여

개인정보(계좌번호 등) 입력 유도는

보이스피싱 의심

🚨

검찰, 경찰 수사관에게 정식 절차대로

출석 요구서 요청 및 해당 사무실에서 대면 요청

🚨

의심 전화는 끊고, 다른 전화기를 이용하여

해당 기관 대표 전화로 전화 또는

방문하여 확인

대출사기형 보이스피싱 단계별 유형

금융기관, 금융감독원 직원을 사칭하여

전화 상담

ex) "기존 대출금을 상환하면 저금리 대출이 가능하다,

직원을 보낼 테니 대출금을 전달하라"

원활한 대출 진행을 위해

원격조정 어플을 설치하라고 권유

설치한 어플로 휴대전화에 악성코드를 설치,

전화 가로채기 및 원격조정으로 휴대폰 모니터링

기존 대출금을 회수하러 온 보이스피싱 현금

수거책에게 현금을 직접 전달하거나 계좌이체

대출사기형 보이스피싱 예방 TIP

🚨

저금리 대출을 빙자해 기존 대출금 상환을

요구하는 등 대출 권유는 보이스피싱 의심

🚨

대출 실행을 위해 어플 설치를 요구하면

100% 보이스피싱

🚨

선입금 혹은 소속 직원에게 현금 전달을

요구하면 100% 보이스피싱

🚨

고액 채권추심 아르바이트 모집 공고는

보이스피싱 범죄 연루 의심

보이스피싱 문의처

경찰청 (☎ 112)

금융감독원 (☎ 1332)


보이스피싱 예방은

사소한 의심에서 시작됩니다.


{"title":"보이스피싱 피해 예방(기관사칭형/대출사기형)","source":"https://blog.naver.com/gjcityi/223749488889","blogName":"광주시 공..","domainIdOrBlogId":"gjcityi","nicknameOrBlogId":"광주시","logNo":223749488889,"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