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시에서 소상공인과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민생경제 활력 더하기'를 신규로 추진합니다!

부산시, 소상공인·전통시장 지원 대폭 확대 위한

"민생경제 활력 더하기" 추진

부산시는 2025년 1차 추가경정예산 편성을 통해 14개 사업으로 구성된 '부산시 민생경제 활력 더하기'를 추진합니다.

소상공인과 지역 경제에 활력을 더하기 위해 상반기 내 예산을 투입하여 신속히 추진할 예정인데요.

앞으로도 지역 소비를 촉진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정책을 지속적으로 마련할 예정입니다.

부산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지역 상권과 전통시장의 매출 증대 및 소비 활성화를 유도하고, 소상공인의 재취업과 경영 회복을 돕고자 합니다.

또한 지역 기업에 대한 맞춤형 지원도 강화할 예정입니다.

민생경제 활력 더하기란?

'민생경제 활력 더하기'는 고물가로 인한 내수 부진 및 소비 위축에 따라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 그리고 전통시장을 지원하기 위한 사업입니다.

▲자금 지원 확대 ▲소비 활성화 ▲동백전 캐시백 확대 ▲소상공인 지원 확대 ▲폐업 소상공인 고용 전환 촉진 ▲전통시장 활성화 등 14개의 사업이 총 4천688억 원의 규모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자금 지원 확대 - 4천325억 원 규모

소상공인의 경영 안정과 성장 촉진을 위해 보증 재원을 출연, '소상공인 3무(無) 희망 잇기 카드 지원 사업'을 새롭게 추진합니다.

소상공인 3無 희망 잇기 카드 지원

소상공인 운영비(자재·공과금 등) 전용 카드 지원 200억

※5백만 원 한도, 無 이자(6개월), 無 연회비, 無 보증료 * 2,000억 원 규모(500만 원×4만 명)

소상공인 특별자금 지원 확대

부산신용보증재단 소상공인 특별자금 확대(4,175억 원→6,500억 원)

약 4만 명에게 2천억 원 규모로 최대 5백만 원의 운영비 전용 자금 카드를 이자(최대 6개월), 연회비, 보증료 없이 지원합니다.

또 소상공인의 금융비용 부담 경감을 위해 이차보전을 확대, 2천325억 원 규모의 자금을 추가 지원하여 경영 안정을 도모할 예정인데요.

부산신용보증재단 출연을 확대해 소상공인 보증 지원을 강화합니다.


소비 활성화 - 31억 원

신속한 소비 촉진 정책을 통해 지역 상권의 실질적인 매출 증대를 지원하기 위해 △부산세일페스타 △전통시장 판매촉진 지원 사업 △전통시장 소비 진작 환급 사업이 추진됩니다.

부산세일페스타

온·오프라인 소비진작 지원 사업, 10억 원

  • (온라인) : 대형 온라인 쇼핑몰 부산 소상공인 전용관 할인쿠폰 지원

  • (오프라인) : 골목상권 등 3개소 내외 소비촉진 행사 추진

전통시장 판매촉진 지원 사업

5개 전통시장, 판매 이벤트 등 지원, 6억 원

전통시장 소비진작

환급 지원 사업

구입 금액에 따라 온누리상품권 환급, 15억 원

  • 3만 원 이상 구입 시 5천 원, 5만 원 이상 구입 시 1만 원 환급

'부산세일페스타'는 골목상권, 대학가 상권 등과 온라인 입점 소상공인의 제품 판로 확대를 위한 온 오프라인 소비촉진 사업입니다.

전통시장을 대상으로 시장별 특성을 반영한 '전통시장 판매촉진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전통시장에서 5만 원 이상 구입 시, 1만 원을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 전통시장 내 소비 증가를 유도하는 사업을 새롭게 추진할 예정입니다.

※ 전통시장 소비 진작 환급 지원(온누리상품권) 추진 : 3만 원 이상 구입 시 5천 원, 5만 원 이상 구입 시 1만 원 환급


동백전 캐시백 확대 - 270억 원

골목상권 활성화와 소상공인 지원을 위해 동백전 캐시백 한도를 확대하는 정책을 올 6월까지 연장하여 시행합니다.

지역사랑상품권 인센티브 보상

25년 1~6월 동백전 캐시백 한도 및 캐시백율 확대

※(30→50만 원, 5%→ 5~7%)

월 캐시 백 한도 금액이 30만 원에서 50만 원으로 확대되고, 캐시백율도 5%에서 5~7%로 증가하여 지역 내 소비가 촉진될 전망입니다.


소상공인 지원 확대 - 10억 원

경영 위기에 처한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소상공인 경영개선 토털 패키지 지원 사업'을 신규로 추진합니다.

이는 소상공인의 폐업 예방 및 경영정상화를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소상공인 경영개선

토털 패키지 지원 사업

컨설팅 및 사업 자금 지원(200개사), 10억 원

폐업 소상공인

고용 전환 지원

폐업 소상공인의 안정적 취업시장 전환 지원, 13.2억 원

  • 희망두배통장 지원(200명), 폐업 소상공인 고용 사업주에게 인센티브 지급(200명)

폐업 소상공인

직업훈련수당 지원

맞춤형 직업훈련 및 훈련수당 지급(100명), 1.3억 원

재기 의지가 있는 '경영 위기 소상공인 200개 사'를 선정하고 1개 사당 4백만 원 상당의 △성공경영 상담(컨설팅) △경영개선 사업 자금 지원 △금융비용 지원 등 경영개선 패키지를 동시에 집중적으로 지원해 효율적이고 신속한 경영정상화를 지원합니다.


폐업 소상공인 고용 전환 촉진 - 14.5억 원

폐업 소상공인이 취업에 성공할 경우, 자산 형성에 도움이 되는 △희망 두 배 통장 사업을 시행하고, 폐업 소상공인을 채용한 고용주에게는 △고용 인센티브를 지원해 고용 촉진과 장기근속을 유도합니다.

또 폐업 소상공인 직업 훈련 참여자에게는 직업훈련 수당을 기존 30만 원에서 60만 원으로 확대 지급하여 폐업 소상공인들의 고용시장 진입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전통시장 활성화 - 27.1억 원

지역의 문화 관광 자원을 연계해 시장 고유의 특화 요소를 집중 육성·지원하는 △문화관광형 시장 육성 사업과 전통시장의 디지털 전환을 돕는 △디지털 전통시장 육성 사업, 문화관광형 시장이 되기 위한 사전 기반 조성을 지원하는 △첫걸음 기반 조성 사업 등으로 전통시장의 도약을 지원합니다.

문화관광형 시장 육성사업

신규 시장(2개), 2년 차 시장(3개) 지원, 19.2억 원

디지털 전통시장 육성사업

2년 차 시장(3개) 지원, 5.5억 원

첫걸음 기반 조성 사업

신규 시장(1개) 지원, 2.4억 원

'문화관광형 시장 육성 사업'은 △충무동 새벽·해안 시장 △망미 중앙시장 △부산 자유시장 △반송 큰 시장 △하단 오일 상설시장을 지원하고, ‘디지털 전통시장 육성 사업’은 △민락 골목시장 △신평골목시장 △부산평화시장을, ‘첫걸음 기반 조성 사업’은 남천해변시장을 각각 지원할 예정입니다.


기업 지원 확대 - 10.6억 원

이외에도 인구 감소 지역인 영도구를 대상으로 커피산업 전주기 데이터 분석 기술 지원, 사업화 지원 등 고부가가치 커피산업을 육성하는 '커피산업 생태계 연구개발(R&D) 클러스트 구축' 사업을 추진합니다.

커피산업 생태계 R&D 클러스트 구축

커피산업 집적화·고도화 8.6억 원

사회적경제기업 사업개발비 지원 사업

사회적기업 20개사 지원, 2억 원

사회적기업의 브랜드, 기술 개발, 품질 개선, 홍보·마케팅 등 사업개발비를 지원하는 '사회적 경제 기업 사업개발비 지원 사업(2억)'도 신규 추진하여 사회적기업의 자립 기반 강화를 돕습니다.


'민생경제 활력 더하기' 대책은 내수 부진과 소비 위축으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과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사업입니다.

상반기 내 예산을 투입하여 신속이 추진할 예정이며, 앞으로도 부산 지역 소비를 촉진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을 지속해서 마련해 나갈 예정입니다.

이번 사업을 통해

전통시장, 그리고 소상공인이

다시 힘차게 일어설 수 있는

부산시를 만들겠습니다!


{"title":"소상공인·전통시장 지원 대폭 확대 \"민생경제 활력 더하기\" 추진","source":"https://blog.naver.com/cooolbusan/223826393932","blogName":"부산광역시..","domainIdOrBlogId":"cooolbusan","nicknameOrBlogId":"부산광역시","logNo":223826393932,"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