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할 수 있도록

머물 수 있도록

홀로 서도록

전북특별자치도 출범 100일 청년 토크콘서트

청년 인구 유출에 따른 지역소멸 위기가 커지는 상황. 전북은 청년이 나고 자라 머물 수 있도록, 살기 좋고 살고 싶도록 ‘함성패키지’를 확대 추진한다. 지역 청년의 구직부터 정착, 자산까지 종합적으로 뒷받침하는 정책으로 전북형 청년활력수당, 전북청년 지역정착 지원, 전북청년 함께 두배적금이 있다.

일할 수 있도록

전북형 청년활력수당 월 50만 원, 최대 300만 원 지원

청년들의 구직 의욕을 높이고 사회 진입을 돕는 사업이다. 대상은 도내에 거주하는 18세부터 39세 미취업자(중위소득 150% 이하) 2000명. 6개월간 월 50만 원, 최대 300만 원 상당 포인트를 지급한다. 이 포인트를 구직활동에 필요한 교육비와 시험 접수비, 면접 준비 비용 등으로 쓰면 된다. 사전 교육을 이수한 후 전용 카드를 통해 온·오프라인에서 사용할 수 있다.

취업 성공률을 높이는 취·창업 교육과 컨설팅도 제공한다. 진로를 찾고 직무역량을 키울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것. 취업에 성공할 경우 취업 성공금 50만 원을 추가로 지급한다. 지난해 사업에 참여한 청년 중 350명(17.5%)이 취·창업에 성공했으며, 지원 대상자 83.4%가 실질적인 도움이 됐다고 답했다.

머물 수 있게

전북청년 지역정착 지원사업 월 30만 원 지원

중소기업, 농업 등 도내 여러 산업에서 일하는 청년들에게 월 30만 원 정착지원금을 최대 1년간(360만 원) 지원하는 제도다. 취업 초기 경제적 자립과 생활 안정을 통해 지역사회에 정착하도록 돕기 위해서다.

2024년 참여자 만족도 조사 결과 재직 유지에 도움됐다는 응답이 95.1%에 달했다. 도내 농업, 임업, 어업, 중소기업, 문화예술, 연구소 기업 6개 분야에 6개월 이상 근무하는 18세에서 39세(중위소득 180% 이하) 3000명이 대상이다.

소득수준과 활동 기간, 거주 기간, 나이 항목을 정량평가해 선발되면 신용(체크)카드와 연계한 포인트를 지원금으로 지급한다. 건강관리와 자기개발, 문화 레저 부문 도내 사업장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홀로 서도록

전북청년 함께 두배적금 2년 만기 시 최대 500만 원

청년들의 경제적 자립을 돕고 안정적인 미래 설계를 지원하는 정책이다. 참여자가 매월 10만 원을 저축하면 도가 같은 금액인 10만 원을 추가로 적립하는 방식. 2년 만기 시 최대 500만 원(원금 480만 원+이자)을 받을 수 있다. 지난해 1000명 모집에 1만 4621명이 신청할 만큼 관심을 받았다. 이를 반영해 올해는 모집 인원을 1300명으로 늘렸다. 대상자는 도내 거주하는 18세에서 39세 근로자(중위소득 140% 이하)다.

도는 목돈 마련 지원뿐만 아니라 금융 이해도 를 높이고 자산 관리를 체계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온·오프라인 금융 교육과 맞춤형 컨설팅도 진행한다. 부동산 관련 피해를 예방하는 기초교육을 실시하는 등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지원할 예정이다.



{"title":"푸르른 때, 살기 좋게 살 수 있게 - 청년 함성패키지 사업","source":"https://blog.naver.com/jbgokr/223846063504","blogName":"전북특별자..","domainIdOrBlogId":"jbgokr","nicknameOrBlogId":"전북의 재발견","logNo":223846063504,"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