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 11일에 업로드 된 사진입니다.

홍천 가볼만한곳 홍천향교는 공자님 오신 날 (孔記 2576年)을

맞이하여 3월 9일 홍천 향교 대성전에서

춘기 석전대제를 봉행했습니다.

홍천 향교 입구

홍천 향교 석화루

홍천 향교 명륜당

춘기 석전대제는

공자와 성현들의 가르침과

학덕을 기리고 본받기 위해 우리나라 전국에 있는

향교에서 한날한시에 봉행하는 제례의식이에요.

중요무형 문화재 제85호 석전대제

석전대제는 매년 음력 2월과 8월의

첫 번째 정일(丁日)에 중국 5성과 송조 2 현

우리나라 18분의 성현께

제사를 지내는 유교적 제사 의식으로

1986년 중요 무형문화재 제85호로 지정이 되었습니다.

공자께서 가르치신 인의 도덕의 이상을

근본으로 삼아 사람으로서 마땅히 행하여야 할

충효 충신의 실천을 기리고 본받는 예를 올리는

향교의 가장 큰 행사라고 해요.

홍천 향교 명륜당 뒤로 대성전이 보입니다

대성전을 오르는 계단 동문으로 들어가고 서문으로 내려옵니다

중국 5성과 승조 2 현

우리나라 18현을 알아봅니다.

*중국 5성 : 공자, 안자, 증자. 자사, 맹자

*승조 2 현 : 정호, 주희

*우리나라 18 현 : 홍유후 설총, 회헌 안향, 고운 최치원

포은 정몽주, 한원당 김굉필. 일두 정여찬, 정암 조광조

율곡 이이, 우계 성혼, 사계 김장생, 증봉 조헌, 회재 이언적

퇴계 이황, 하서 김인후, 신독재 김집, 우암 송시열

동춘당 송준길, 남계 박세채 선생입니다.

25분의 성현 중에 사계 김장생 선생과

신독재 김집 선생은 부자지간이라고 합니다.

홍천 가볼만한곳 홍천 향교 대성전에서 봉행 된

춘기석전대제는 알자의 안내에 따라 손을 씻고

제례 의식을 시작했어요.

초헌관, 아헌관, 종헌관은

5성위와 송조 2현에게

동쪽은 동분 헌관이 서쪽은 서분 현관이 각각 9분께

잔을 올립니다.

제례의식은

향을 피우고 폐백을 올리는 전폐례를 시작으로

5성위 앞에 첫 잔을 올리고 축문을 읽는 초헌례에

이어 아헌례와 종헌례, 분헌례를 하고

폐백과 축문을 불살라서 재를 땅에 묻는 망요례를

마지막으로 제례의식이 끝납니다.

석전대제의 마지막 망요례

이날 홍천 향교의 안상호 전교는

"석전대제는 공자 님의 인,의, 예, 지 사상을

계승하고 발전시켜 나가는 고유의 전통 제례로

민족의 전통사상을 후손들에게 널리 알리고 발전시켜 나가길

함께 노력해 달라"라고 말씀하셨어요.

춘기석전대제가 끝나고

참석한 홍천향교 유림과 각급 기관장

그리고 지역민들은 홍천 향교에서 정성껏 준비한 점심을

맛있게 먹었습니다~

프리안나는 올해 처음으로

홍천 향교 춘기석전대제에 참석해 봤는데요.

엄숙한 가운데 진행된 유교적 제사의식을 보며

옛 성현들의 학덕을 추모하고

가르침을 되새겨보는 시간이 되었어요.

향교에서 준비한 소머리국밥

{"title":"[홍천 가볼만한곳] 2025년 3월 9일 홍천 향교에서 춘기 석전대제가 봉행되었어요","source":"https://blog.naver.com/hcgnews/223817125129","blogName":"홍천愛피었..","domainIdOrBlogId":"hcgnews","nicknameOrBlogId":"홍천군","logNo":223817125129,"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