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일 전
홍역, 예방접종으로 안전한 일상 만들어요
최근 전 세계적으로 홍역(Measles) 유행이
다시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 전 세계 홍역 유행 중
홍역, 예방접종으로
안전한 일상 만들기
홍역이란?
홍역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으로 발생하며
기침 또는 재채기 등 비말과 공기를 통해 전파되는 감염병
『홍역에 대한 면역이 불충분한 사람이 환자와 접촉 시, 90% 이상 감염』
홍역 환자 발생 지역 분포
✅ 해외여행 증가로 홍역에 감염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음
필리핀, 말레이시아, 베트남, 중국 등 홍역 유행국가 방문 시 주의 필요
▶ 우리나라는 2014년 홍역 퇴치국가로 인증 받았으나,
2014년 이후 해외유입으로 인한 개별사례와 의료기관 중심의 소규모 집단 발생 지속
홍역 주요 증상
잠복기: 7~21일
전구기
전염력이 강한 시기로 발열, 기침, 콧물, 결막염, 구강 내 반점 등 발생
발진기
목 뒤, 귀 아래, 몸통, 팔다리, 손·발바닥에 홍반성 발진 발생
회복기
발진이 사라지면서 색소 침착
(합병증: 설사, 중이염, 기관지염, 모세기관지염, 크룹, 기관지폐렴 등)
홍역 바이러스 노출기와 전염기
☑️전구기(약 4일)
☑️발진기(약 4~8일)
한 사람이 감염되면 평균 12~18명에게 전파
최초 노출 가능일: 발진 발생 7~21일 전부터
홍역 예방수칙
✅ 홍역 예방백신
(MMR, 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 2회 예방접종
병원 방문 시 감염예방수칙 준수
💉발열, 발진 등 홍역 의심증상이 있다면
관할보건소와 상의 후 안내에 따라 진료보기
💉반드시 마스크 착용하고 방문
💉가능하면 대중교통보다는 자가용 이용
💉방문 전 전화로 홍역환자와 접촉자임을 의료진에게 알리기
💉해외방문력이 있다면 의료진에게 알리기
개인위생 준수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코를 휴지 및 옷소매로 가리고 하기
💉올바른 손위생
💉의심증상 시 마스크 착용
홍역 예방접종 시기
1차 접종 시 93%, 2차 접종 시 97% 예방 가능
💉생후 0~5개월: 접종 대상 아님
💉생후 6~11개월: 해외여행 시 1회 접종 (가속접종)
💉생후 12~15개월: 1차 접종 (적기접종)
💉4~6세: 2차 접종 (적기접종)
💉청소년 및 성인: 면역의 증거가 없는 경우(감수성자)
최소 4주 이상 간격으로 2회 접종 (적어도 1회)
💬 홍역 면역의 증거가 없는 경우(감수성자)
홍역예방접종 2회 기록이 없는 자, 홍역 항체가 없는 자
유행 국가 방문 시, 홍역 예방수칙
🧳 여행 전
✅ 홍역 예방백신(MMR) 2회 모두 접종했는지 확인
✅ 접종 기록이 없거나 불확실한 경우 →
의료기관 방문하여 최소 4주 이상 간격으로 2회 접종하기
(*1968년 1월 1일 이후 출생자 등 해당)
✈ 여행 중
✅ 개인 위생수칙 준수
자주 손씻기
기침 예절 지키기
씻지 않은 손으로 눈·코·입 만지지 않기
🏠 입국 시
발열 또는 발진 등 홍역 의심증상이
나타난 경우 검역관에게 알리기
홍역 고위험군의 예방접종은?
고위험군
생후 6개월 미만 영아, 임신부,
암 환자 및 장기 이식 환자 등 면역저하자
✅ 임신부
임신부 금기, 임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예방접종 후 4주간 임신 피해야 함
✅ 면역저하 및 결핍
고용량 스테로이드 14일 이상 투여 받은 경우,
중지 후 최소 1개월 이후 접종 가능
✅ HIV 감염인
면역결핍이 심하지 않은 감염자는 접종 권장
✅ 중등도 이상의 심한 급성 질환
증이열, 상기도감염 등 경미한 질환, 항생제 치료,
다른 질환으로부터 회복기에 있을 때 접종 가능
✅ 면역글로불린 및 혈액제제 투여
경과 후 접종 가능
🚫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혹은 혈소판 감소증
접종금기 대상
홍역은 예방이 가장 중요합니다!
예방접종으로 나와 가족, 그리고 우리 사회의 건강한 일상을 지켜주세요.
광주광역시 감염병관리지원단이 함께합니다 😊
- #홍역예방
- #예방접종
- #MMR백신
- #감염병예방
- #홍역증상
- #홍역예방수칙
- #홍역유행
- #해외여행주의
- #광주광역시
- #감염병관리지원단
- #소아과정보
- #육아정보
- #건강한일상
- #백신접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