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년 전
비대면 진료 어떻게 이용하나요?
2월 23일부터 모든 진료기관에서
비대면 진료가 허용되었다는데,
어리둥절~
비대면 진료,
도대체 어떻게 진료받는 건가요?
비상진료 시기인 지금
비대면 진료 이렇게 이용해 보세요.
비대면 진료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STEP. 1
진료받을 의료기관에서 비대면 진료를
실시하고 있는지 확인하세요.
어디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STEP. 2
진료를 희망하는 병원에
비대면 진료를 신청하세요.
STEP. 3
사전 문진을 합니다.
환자 |
의료기관 |
||
성명・주민등록번호 등 개인정보, 건강 상태, 진료 희망사유 등을 의료기관에 정확하게 전달 |
환자 본인 여부, 비대면 진료 가능 여부 등을 확인 |
STEP. 4
비대면 진료를 실시합니다.
환자 |
의사 |
||
진료 필요 정보 제공 |
화상 진료가 원칙! 문진을 통해 환자의 상태 파악&진찰 |
STEP. 5
처방전을 발급하고 전송합니다.
환자 |
의사 |
의료기관 |
||
처방전 전송 (약국 지정) |
필요시 처방전 발급 (최대 90일) |
약국으로 처방전 전송 (팩스, 이메일 등) |
||
※마약, 항정신성의약품, 오・남용 우려 의약품, 사후피임약 처방 불가 |
STEP. 6
조제&의약품을 전달합니다
약사 |
|||
-조제 가능 여부 확인 -환자와 의약품 수령 방식 등 협의・결정 (방문 또는 재택 수령) -의약품 조제 -환자에게 구두・서면 복약지도 -의약품 전달 |
|||
본인 및 대리 수령이 원칙! 다만 섬・벽지 거주자, 65세 이상 장기요양등급자, 장애인, 감염병 확진 환자, 희귀질환자는 재택 수령이 가능합니다 |
[ 조제가능 약국 확인하기 ]
▼
차근차근 알아보면
복잡하지 않아요!
확대된 비대면 진료 이용방법,
알아두면 좋은 생활 속 꿀팁,
비상시 대처 방법으로
미리 알아두면 어떨까요?
- #광주광역시
- #광주
- #비대면진료
- #광주비대면진료
- #광주병원
- #광주약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