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시간 전
[부산시보]부산, 외국인 방문객 3,000,000명 ‘성큼’
2024년 293만명 방문…역대 두 번째
1년 새 60% ‘껑충’… 대만 관광객 ‘최다’
볼거리·즐길거리·먹거리 갖춘 관광도시
도심·미심·야간관광 콘텐츠 인기몰이
2024년 부산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 수가 293만여 명으로 최종 집계됐다. 역대 최고를 기록한 2016년(296만명) 이후 최대치이다. 부산이 외국인 관광객 300만명 시대에 성큼 다가섰다.
부산시는 2024년 부산 방문 외국인 관광객 수가 292만9천192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2023년 182만57명보다 110만9천135명(60.9%) 늘어난 규모이며,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9년(268만7천743명)을 넘어선 역대 두 번째이다.
부산 방문 외국인 관광객 수가 300만명에 육박한 데는 대만·중국 같은 중화권 관광객이 급증한 데 따른 것이다. 특히 대만 관광객은 50만456명이 부산을 찾아 2023년 1위인 일본을 밀어내고 최대 방문국에 자리했다. 대만 방문객 수는 2023년보다 94.7% 급증했다.
국가별로는 ▷대만(50만456명) ▷일본(45만5천572명) ▷중국(41만8천523명) ▷미국(21만5천49명) ▷필리핀(13만7천996명) 순이었다. ▷홍콩(12만8천53명) ▷베트남(11만9천613명) ▷태국(8만5천509명) ▷인도네시아(8만4천290명) ▷싱가포르(7만3천321명)도 2023년 대비 관광객 수가 대폭 증가해, 부산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의 다변화 추세를 이끌었다.
부산시는 외국인 관광객 증가 주요 요인으로 △부산 관광 브랜드 가치 상승 △차별화된 관광콘텐츠 육성 △적극적인 관광 홍보마케팅 등의 역할이 컸다고 분석했다.
특히 부산의 관광 브랜드 가치 상승이 주효했다. 부산은 지난해 뉴욕타임스가 뽑은 ‘아름다운 해변도시 5곳’ 중 하나에 선정됐다. 트립닷컴의 ‘글로벌 여행지 100선’에도 뽑혔다. 트립어드바이저사는 ‘2024 여행자들이 선택한 베스트 해변’에 부산을 꼽았다.
부산만의 차별화된 관광콘텐츠 집중 육성도 큰 역할을 했다. ‘태양의 서커스’ ‘아르떼 뮤지엄’ 등 글로벌 지식재산권 활용을 통한 즐길거리 확장, 미쉐린 가이드 부산편 최초 발간에 맞춰 미식관광 활성화, 휴가지 원격근무(워케이션), 야간관광, 크루즈관광 등 부산의 지역적 특성을 살린 맞춤형 관광콘텐츠 집중 육성이 제 몫을 했다.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해 민·관·산·학 공동 협업을 통한 적극적인 마케팅도 빛이 났다. ▷부산관광포털 ‘비짓부산’ 고도화 ▷외국인 전용 ‘비짓부산패스’ 활성화 ▷국가별 ‘맞춤형 관광 세일즈’ 추진 등과 함께 ▷유엔세계관광기구(UN Tourism)와의 협력체계(거버넌스)를 구축해 전 세계 관광객에게 부산을 널리 알린 결과, 빠르게 관광객 수를 회복할 수 있었다.
한편 부산시는 지난 3월 19일 시청 영상회의실에서 ‘봄철 손님맞이 관광수용태세 점검회의’를 열었다.
부산시는 부산국제보트쇼(4월 18∼20일), 부산국제단편영화제(4월 24∼29일), 부산국제연극제(5월 23일∼6월 1일) 등 봄철 국제행사·축제와 연계한 체류형 관광상품을 통해 관광객 재방문율을 높이기로 했다. ▷비짓부산패스와 단체관광상품 결합 ▷올리브영 등 할인가맹점 제휴로 관광객이 만족할 수 있는 실질적인 혜택을 더 많이 제공하기로 했다.
크루즈관광, 부산이라 좋다 … 올해 20만명 방문 전망
지난해 15만2천명 대비 31% 증가
166항차 규모…선박 운항 47% ↑
부산을 찾는 크루즈관광객이 올해 완전한 회복세를 보일 전망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한다.
부산항만공사(BPA)는 올해 부산항을 방문하는 크루즈관광객이 166항차에 2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측했다. 이는 지난해 115항차 15만2천명과 비교해 선박 운항은 47%, 관광객 수는 31% 늘어난 수치다. 팬데믹 이전인 2019년에는 111항차 18만9천명의 크루즈관광객이 부산을 찾았다.
부산항 크루즈관광은 코로나19가 발생한 이후 2020년 11항차, 2021년 15항차, 2022년 15항차로 급격히 줄어들었다가 2023년 106항차 15만1천명으로 급속도로 회복했다. 특히 지난해에는 중국발 크루즈선이 잇따라 입항하면서 크루즈관광객 회복세에 큰 역할을 했다.
부산시와 BPA는 올해 부산항을 글로벌 해양관광 거점으로 도약시키기 위해 크루즈관광 활성화에 힘을 모은다. 영도 국제크루즈터미널 시설과 CIQ(세관·출입국·검역) 기능 개선을 비롯해 중국 관광객 유치를 위한 크루즈관광 상륙허가제를 시행한다. 크루즈관광 상륙허가제는 전담 여행사나 크루즈 선사가 모집한 중국인 단체관광객(3인 이상)을 대상으로 3일간 무사증(무비자) 입국을 허용하는 제도이다.
4월에는 미국 마이애미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크루즈산업박람회 ‘씨트레이드 크루즈 글로벌’(Seatrade Cruise Global)에 참가해 글로벌 마케팅을 강화하고, 셔틀버스, 팝업 마켓, 환전소 등 크루즈관광 편의시설 확충에 나선다.
부산형 워케이션…“인기 정말 좋네”
누적 참가자 1만명 ‘훌쩍’
운영 1년, 두 배 이상 증가
워케이션 센터 6곳 운영
글로벌 맞춤형 홍보 효과
부산시가 인구 소멸과 감소 지역(동·영도·서·중·금정구 등)에서 추진 중인 ‘부산형 휴가지 원격근무(워케이션) 활성화 사업’이 본궤도에 올랐다. 2023년 4월, 지역 워케이션 센터 4곳 개소 이후 지난해 연말까지 이용 인원이 총 1만194명에 달했다. 지난해 워케이션 참여자 수는 연인원 6천900여 명으로, 2023년 연인원 3천300여 명 대비 2배 이상 증가했다.
일상에서 벗어나 활력을 얻으며 팀워크 프로젝트를 수행하고자 하는 1천100여 개 기업의 직장인과 새로운 환경에서 창의적인 영감을 얻길 원하는 국내외 프리랜서들이 주된 이용자였다.
부산시는 동구 아스티호텔 24층에 자리한 ‘부산형 워케이션 거점센터’를 비롯해 영도구와 중구 등지에 위성센터 3곳을 운영하고 있다. 최근에는 영도구 ‘라발스호텔 라운지’, 서구 ‘그랩 디 오션 송도’ 등 신규 위성센터 2곳을 더 열어 모두 6곳으로 확대했다.
부산시는 부산형 워케이션 활성화를 위해 수도권 기업 대상 사업설명회, 서울시 중소기업 대상 워케이션 기관 프로그램 연계, 온오프라인 광고 등 다양한 홍보 활동을 펼쳤다. 국외 이용자 수요 선점을 위해 지난해 9월 글로벌 디지털 노마드(첨단 디지털 장비를 갖추고 여러 나라를 다니며 일하는 사람) 유치 활동에 나서는 등 글로벌 홍보마케팅 활동도 전개했다.
부산시는 차별화된 콘텐츠 발굴로 글로벌 워케이션 도시 홍보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시차로 인해 밤늦게 업무를 처리해야 하는 글로벌 워케이셔너와 국내 프리랜서 종사자를 위해 24시간 운영이 가능한 업무공간을 확충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반려견 동반이 가능한 호텔과 연계해 ‘위드펫 워케이션’ 콘텐츠 개발, 가족 단위 참여자를 위한 육아 특화 프로그램 지원 등 가족 친화 환경을 제공할 계획이다.
‘부산형 휴가지 원격근무’에 관한 자세한 안내 사항은 공식 누리집(www.busaness.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미쉐린이 선택한 미식도시 부산의 맛
1스타 레스토랑 3곳
빕 구르망 4곳 추가
셀렉티드 2곳 신규 진입
미쉐린 가이드는 지난 2월 27일 웨스틴 조선 서울에서 ‘미쉐린 가이드 서울&부산 2025’ 레스토랑 명단을 공개했다.
부산은 모두 48곳의 레스토랑이 이름을 올렸다. 1스타 레스토랑 3곳·셀렉티드 레스토랑 26곳·빕 구르망 19곳이다. 지난해 43곳(1스타 레스토랑 3곳·셀렉티드 레스토랑 25곳·빕 구르망 15곳)에서 5곳이나 늘었다. 지난해 1스타에 선정된 레스토랑 3곳(모리·팔레트·피오또)은 올해 모두 1스타를 유지했다.
스타 레스토랑 외 합리적인 가격에 훌륭한 요리를 선보이는 레스토랑을 뜻하는 ‘빕 구르망’에는 백일평냉, 비비재, 정짓간, 한월관 등 4곳이 신규로 선정됐다. 부산지역 빕 구르망은 지난해 처음 선정된 15곳을 포함해 모두 19곳으로 늘었다.
좋은 요리를 제공하는 레스토랑에 부여하는 ‘셀렉티드 레스토랑’에는 2곳이 새롭게 진입했다. 해운대 파라다이스호텔 본관 지하 1층에 있는 ‘본 앤 브레드’와 해운대 맛집으로도 유명한 ‘해운대 암소갈비집’이 추가됐다. 지난해 부산 셀렉티드 레스토랑 25곳 가운데 1곳이 제외되고, 이번에 신규로 2곳이 늘어나면서 올해는 26곳이 이름을 올렸다.
‘미쉐린 가이드 서울&부산 2025’에 선정된 레스토랑 정보는 미쉐린 가이드 공식 누리집(guide.michelin.com/kr/ko)과 미쉐린 가이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2025∼2026 한국관광 100선’ 부산 명소 6곳 선정
해동용궁사&오시리아관광단지
해운대&송정해수욕장
부산엑스더스카이&그린레일웨이
광안리 해변&SUP존
감천문화마을·태종대 유원지
부산 대표 관광 명소 6곳이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공동으로 선정한 ‘2025∼2026 한국관광 100선’에 이름을 올렸다. 선정된 관광지는 △해동용궁사&오시리아관광단지 △해운대&송정해수욕장 △부산엑스더스카이&그린레일웨이 △광안리 해변&SUP존 △감천문화마을 △태종대 유원지 등이다.
특히 태종대는 2013년 처음으로 ‘한국관광 100선’에 선정된 이후 6회 연속 이름을 올리는 대기록을 세웠다.
‘한국관광 100선’은 2012년부터 우리 국민과 외국인 관광객이 꼭 가봐야 할 대표 관광지를 2년에 한 번씩 선정하는 것으로 올해가 7회째이다. SNS 검색량을 비롯한 빅데이터 분석, 관광 분야 전문가 평가 등을 통해 선정한다.
‘2025∼2026 한국관광 100선’은 유적지, 건축물, 체험·휴양시설 등의 문화 관광자원 61곳과 숲, 바다, 습지 등 자연 생태 관광자원 39곳으로 구성돼 있다.
- #부산관광
- #외국인관광객
- #부산여행
- #크루즈관광
- #워케이션
- #미쉐린부산
- #부산맛집
- #부산핫플
- #관광도시부산
- #부산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