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일 전
문경 가볼만한곳 , 쓸모와 아름다움의 가치 문경 전통공예관
문경 가볼만한곳 ,
'문경 전통공예관'
문경의 다채로운 공예문화를 한 곳에서
볼 수 있는 문경전통공예관을 방문했습니다.
📌관람시간
동절기(11월 ~2월) 10:00 - 16:00
하절기(3월 ~ 10월) 10:00 - 17:00
📌휴관일
매주 월요일 | 1월 1일 | 설,추석 당일
📌관람료
무료
문을 열고 들어가시면
한지공예 | 목공예 | 유기공예 | 지수공예
죽공예 | 염색 및 누비 공예 | 전통도검 | 도자기공예
9가지 분야의 공예인들의 170여점의 작품을 만나보실 수 있답니다.
입구에 들어서면 공예관을 설명하는 내용들이 있으며,
왼편부터 한바퀴 돌면서 관람하시면 됩니다.
먼저 만나보는 작품은 국가무형문화재 한지장 김삼식선생 입니다.
문경전통한지는 천연재료(황촉규,닥나무)에 전통 한지의 제조기술인
고려지의 전통기술로 만든 종이를 말합니다.
좋은 한지 고르는 법, 먹물을 이용한 좋은 한지 찾는 법
한지의 질을 좌우하는 작업들, 제작과정을 알 수 있었습니다.
옆으로 이동하시면 지인공방 조미정 선생의 한지공예와
죽림당 서재석 선생의 오죽공예를 만나볼 수 있답니다.
차분한 풀색계열과 탈색기법을 활용한
고색한지공예의 은은하고 고풍스러운 작품들이 보입니다.
오색전지공예 | 장지공예 | 지화공예
지승공예 | 양각전지공예 | 지화공예 | 지호공예
이렇게 7가지의 한지공예가 분류되어 있어요.
그리고 한지공예 제작과정과 특징을 볼 수 있답니다.
검은 대나무에 음각과 투각기법으로 장식에 금박을
씌운 차시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어요.
차시라는 것은 다도에 사용되는 다구의 소품이며,
차잎을 뜨는 수저를 말합니다. 소금에 절여 말린 단단한 오죽에
음각 투각을 해 금니를 한 작품으로 독창성과 예술성이 높은 작품이랍니다.
다음공간으로 이동하면
왼편에는 유기장 이봉주 선생의 유기공예와
정면에는 자수장 김시인 선생의 자수공예를 만나 볼 수 있어요.
구리와 주석을 합금하여 만든 방짜유기의 금빛 찬란한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어요.
접목하고 열쇠패, 육골침을 재현한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자수장 김시인 선생의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다음 공간으로 가시면
전통야철도검 이상선 조선의 도검
공예가 진계숙, 진미숙 선생의 염색공예 누비 공예
향산 김승수 선생의 목공예
장인들의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답니다.
조선의 도검을 아시나요? 저도 문경전통공예관에서
처음 알게 되었네요. 조선왕실의 명검인 사인검과
사진검 등을 복원한 이상선 장인의 검 제작과정과
작품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자연의 빛이 색이 녹아있는 천연염색과
섬세하고 독창적인 손누비를 접목시킨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답니다.
장인의 섬세함이 돋보이는
연화다반 등 전통 목다구의 작품들을 보실 수 있어요.
개인적으로 구매를 하고 싶을 정도로 이쁘더군요.
마지막으로 만나볼 곳은 도자공예입니다.
뇌암도요 김성기 | 조선요 김천만 | 관음요 김복만 | 문경요 천한봉 사기장의
화려함과 소박하고 자연스러운 멋을 지니고 있는 도자기들을 보입니다.
그리고 바로 옆에 도자기박물관이 있어서 함께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문경 전통공예관은 문경 공예인들의 정성어린 손길이
깃든 다양한 작품을 만날 수 있어서 추천해 드립니다.
※ 위 글은 문경시 SNS서포터즈 기자단의 기사로 문경시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문경전통공예관
- #문경도자기박물관
- #문경가볼만한곳
- #문경박물관
- #도자공예
- #한지공예
- #유기공예
- #지수공예
- #전통도검
- #염색공예
- #죽공예
- #목공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