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FTS 2차 감염 예방을 위한

반려동물 보호자 안내문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바이러스에

반려동물(개, 고양이 등)이 감염된 경우

드물게 사람과 다른 반려동물에게 전파될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해 주세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SFTS)란?

SFTS는 주로 사람이나 반려동물이 산책 등 풀과 접촉하는

야외활동 중에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하고 있는

일부 진드기에 물려서 감염되며,

드물게는 SFTS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 또는 동물의

혈액이나 체액(소변, 침 등)에 직·간접적으로

노출된 경우 SFTS에 감염될 수 있습니다.

SFTS 치명률은 약 20%로 다른 감염병에 비해 높고

백신과 치료제가 없으며, 중증으로 진행하는 경우

상태가 빠르게 악화될 수 있습니다.

SFTS 의심증상이 있는 경우

조기에 인지하여 적기에 치료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려동물이 SFTS 양성 진단받은 경우?

1

반려동물과의 마지막 접촉 일로부터 14일까지 SFTS 의심증상 나타나는지 체크하기

*38℃ 이상의 고열, 근육통, 설사·오심·구토 등 소화기 증상, 출혈 등

2

의심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질병관리청*에 전화하기

*인수공통감염병관리과 ☎ 043-719-7167, 7168, 7177

3

의료기관(감염내과)에 내원하여 의사에게 SFTS에 감염된 반려동물과의 접촉력이 있음을 알리고 진료받기

보호자가 주의해야 하는 점은?

1

① 물리적(울타리 등)으로 분리하기

② 동거 가족과 다른 반려동물이 SFTS에 감염된 반려동물의 혈액이나 체액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기

2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가 좋지 않다면, 동물병원에 미리 연락하고 상담 후 격리입원 권고

★이동 시 이동용 케이지 이용

3

반려동물이 머물렀던 공간, 장난감, 배설물은 소독제로 소독하기

★락스를 20배 희석하여 사용하거나 알코올 사용


{"title":"SFTS 2차 감염 예방을 위한 반려동물 보호자 안내문","source":"https://blog.naver.com/nscity/223817197442","blogName":"논산시 공..","domainIdOrBlogId":"nscity","nicknameOrBlogId":"논산시","logNo":223817197442,"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