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일 전
광주여행지 역사와 전통을 만나는 광주향교
새해를 맞아 역사적인 명소인 광주여행지 광주향교를 방문했습니다. 1398년에 창건된 광주향교는 600년이 넘는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며, 현재는 광주의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구동 광주공원 입구에 자리한 이곳은 주말에도 개방되어 있어 많은 사람들이 가벼운 마음으로 다녀올 수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향교 입구에는 하마비가 보입니다. 하마비는 '향교 앞에서는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말에서 내려야 한다'는 의미를 지닌 표석으로, 유교적 전통과 예의를 상징합니다.
입구 비각에는 총 9개의 비석이 세워져 있으며, 이는 광주향교의 오랜 역사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비각 해설문에는 '친일반민족행위자 박봉주'의 단죄문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박봉주는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자문 기구인 중추원 참의를 지낸 인물로, 1935년 광주향교 비각 중건기를 쓴 사람입니다. 광주광역시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2주년과 광주학생독립운동 92주년을 기념하여, 올바른 역사를 알리고자 이 단죄문을 설치했습니다.
광주여행지
역사와 전통을 만나는 광주향교
겨울의 차가운 공기 속에서도 광주향교는 고즈넉하고 평화로운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었는데요, 광주여행지 광주향교 입구는 아시아전통문화역사공원으로 조성되어 있습니다. 공원에는 겨울의 추위에 떨어진 은행 열매가 가득하고, 고즈넉한 정취를 더합니다.
광주향교 방문객들이 입구라고 착각하기 쉬운 장소는 옆문인데요,
실제 향교 정문 개방되지 않고 옆문을 통해 들어가야 하는 구조입니다.
광주향교 내부로 들어가면 향교의 건축물들이 눈길을 사로잡습니다.
광주향교 내부는 대성전, 명륜당, 비각, 동무, 서무, 동재, 서재, 내삼문, 외삼문으로 구성되어 있는 전학후묘의 형태입니다.
명륜당은 조선시대 유생들의 교육공간이었던 곳입니다. 광주향교는 1398년 무등산 장원봉 아래에 건립되었는데요, 당시 산짐승이 많이 나타나서 대인동으로 옮기고, 이후 수해로 1488년에 당시 광주현감이었던 권수평이 지금의 자리로 옮겼다고 전해집니다.
이후 1597년 정유재란으로 불에 탄 후 1600년 다시 중건하면서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으며, 1985년에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습니다. 오랜 역사와 전통이 함께하는 향교답게 이곳에서는 광주의 유구한 역사를 배우고, 전통의 소중함을 되새길 수 있습니다.
대성전은 유교의 성현들을 모시는 공간으로, 5성, 송조6현, 우리나라 18현의 위패가 모셔져 있습니다. 대성전에서는 봄과 가을에 석전을 봉행하며, 분향 의식을 통해 유교의 전통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다만, 대성전의 내삼문은 현재 개방되지 않아 내부를 직접 볼 수 없는 점은 아쉬움으로 남습니다.
명륜당 앞에는 성생대라는 독특한 바위 하나가 있습니다. 성생대는 제향에 사용될 제물의 건강 상태와 영양 상태를 확인하는 장소입니다. 향교에서 석전대제 등 제향 때 제수 음식과 제물을 검수하는 곳이라 제사의 준비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곳이지요. 예전에는 방문객들이 성생대의 의미를 잘 몰라 이곳에 앉아 쉬거나 신발 끈을 묶는 등 부적절한 행동을 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지금은 보호 공간과 이름을 부착해 잘 보존 중입니다.
동재와 서재는 각각 양반 자제들과 평민 자제들이 기숙사로 사용하던 건물입니다. 현재 동재는 전통혼례 시 신부대기실이나 관리자 처소로, 서재는 향교 사무실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과거와 현재가 어우러진 이 공간들은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느끼게 합니다.
광주 여행지 광주향교의 주변 풍경도 빼놓을 수 없는 매력 포인트입니다. 특히, 오래된 은행나무들은 겨울 풍경과 어우러져 아름다운 자태를 뽐냅니다. 향교의 건물들은 오랜 세월의 흔적을 간직하고 있어 방문객들에게 역사적 정취를 느끼게 합니다.
광주향교는 혼자 방문해도 조용한 산책과 사색의 시간을 가질 수 있는 공간입니다. 한 해를 시작하며 광주향교를 방문해 조용한 산책을 즐기고 평온한 시간을 보내보는 건 어떨까요? 광주향교의 고즈넉한 분위기와 역사가 느껴지는 풍경이 2025년 새해를 더욱 의미 있게 만들어줄 것입니다. 지금까지 광주여행지 역사와 전통을 만나는 광주향교 이야기였습니다.
카카오톡채널 : https://pf.kakao.com/_EMdrxb
- #광주남구청
- #남구톡톡SNS기자단
- #광주여행지
- #광주남구여행지
- #광주데이트장소
- #광주남구핫플레이스
- #광주남구여행지추천
- #광주향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