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일 전
[은평SNS서포터즈] 북한산자락 아래에서 찾은 천년의 미소, '삼천사지 마애여래입상'(보물 657호)
은평구에는
총 5개의 국가 보물이 있습니다.
《은평구 국가유산 보물 5가지》
✔ 서울 삼천사지 마애여래입상
(보물 657호)
✔ 묘법연화경 권4~7 (보물 제1196-2호)
✔ 서울 인조별서 유기비 (보물 제1462호)
✔ 서울 수국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보물 제1580호)
✔ 서울 진관사 태극기 (보물 제2142호)
이 중 오늘은 북한산자락 아래에 있는
삼천사지 마래여래입상에 대해
소개해 볼게요.🙋♀️
삼천사지 마애여래입상은
은평구 진관동의
북한산 계곡 아래 있는
삼천사 경내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일주문을 지나기 전 주차장 앞쪽에는
커다란 석탑이 세워져있고,
일주문 너머로 높이 솟은
북한산 용출봉이 보입니다.
주차장 한편에 있는 이 석탑은
앞 쪽에 재단도 만들어져 있고
많은 사람들이 탑 주위를 돌면서
기도를 드리기도 하는 곳입니다.
‘삼각산 삼천사(三角山 三千寺)’라고 적힌
삼천사의 일주문을 지나 경내로 들어갑니다.
삼천사는 661년 원효대사가 창건한 절로,
고려를 지나 조선시대까지 번창한 사찰이었습니다.
하지만, 임진왜란 때 승병 집결지로 사용된 후
소실되었다가 복원되었습니다.
그리고1979년 성운 스님의 주도하에
마애여래입상이 보물로 지정되었고,
이후 대웅보전 등 전각이 조성되며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고 해요.
삼천사 경내는 잘 가꿔진 조경수들과
벽화들이 인상적이었는데요.
사찰 특유의 고즈넉한 분위기와 함께
예쁜 자연 풍경도 감상할 수 있는 곳이었습니다.
이곳은 삼천사의 대웅보전인데요.
대웅보전 뒤편에
은평구의 보물 '삼천사지 마애여래입상'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불상 좌우의 가구공이 있는 것으로 보아
예전에는 과거 목조 보호 건물이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고 해요.
삼천사의 역사적 배경과 연계해 볼 때,
이 불상은 고려 왕실 및 법상종 사찰과
깊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크며,
이러한 역사적·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
국가 보물로 지정되었다고 해요.
두둥! 드디어 마주하게된
삼천사지 마애여래입상!
멀리서 보면 그 모습이
뚜렷하게 보이진 않아요.
평평한 바위 면에 얕게 부조된
형태이기 때문이에요.
마애여래입상 자리만 밝게 보이는 이유는
융기선을 따라 금분을
칠해놓았기 때문이라고 해요.
입체감은 적지만,
화려한 느낌을 주는 불상입니다.
그럼 좀 더 가까이 가볼까요? 🧐
가까이서 바라보니
그 형체가 뚜렷하게 보입니다.
큼직한 육계와 온화한 얼굴이 특징으로,
옷 주름은 좌우 균형감 있게 표현되었습니다.
고려시대 전기의 불교미술을
대표하는 작품답게
또한 얼굴 표현이 근엄하고
신체가 평면적으로 묘사되는 등
당시의 조각 양식을 반영하고 있어요.
또한, 광배(光背, 빛을 형상화한 장식)는
머리와 몸을 구분하여 조각됐고,
승각기(僧脚崎, 가사 아래 입는 옷)의
띠와 나비 리본 모양의 군의(裙衣) 매듭이
세밀하게 표현되어 있었어요.
은평구의 대표 자연 유산인 북한산,
그리고 그 산 자락 아래 천년의 세월동안
온화한 미소를 띄며 자리를 지켜온
삼천사지 마애여래입상!
이제 곧 겨울이 끝나고 따뜻한 봄이 오면
고즈넉한 분위기의 사찰 나들이 겸
은평구의 국가유산 보물 삼천사지 마애여래입상
한번 보러 가보시길 추천드려요.🤗
📍삼천사지마애여래입상
서울시 은평구 연서로54길 127
- #삼천사지마애여래입상
- #은평구국가보물
- #은평구삼천사
- #은평구문화유산
- #은평구국가유산
- #은평구북한산
- #은평구사찰
- #서울가까운사찰
- #은평구
- #은평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