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재해 대비 농업 분야 안전 관리 요령
- 폭염·태풍·호우 철저한 대비로 농업 피해 최소화
농업인 폭염 피해 예방
농작업 안전 관리
● 낮 시간대 농작업 중단
- 낮 12시 ~ 오후 5시 반드시 작업을 중단해야 합니다.
- 고령인은 폭염에 취약하므로 절대로 무리한 작업을 해서는 안 됩니다.
● 농작업을 해야 할 경우
- 아이스팩, 모자, 그늘막 등을 활용하여 작업자를 보호합니다.
- 나 홀로 작업은 최대한 피하고 2인 1조로 움직입니다.
- 휴식을 자주 취하고 시원한 물을 자주 마십니다.
- 몸에 이상을 느끼면 그늘이 있는 장소로 이동하여 휴식을 취합니다.
폭염대비 건강관리
● 갈증을 느끼지 않도록 물 자주 마시기
● 시원하게 지내기 (외출 시 햇볕 차단)
● 더운 시간대에는 휴식하기
폭염대비 준비 사항
● 무더위 기상상황을 매일 확인합니다.
● 본인과 가족 건강 상태를 수시로 확인합니다.
● 폭염 시 작업장 안전 상황을 수시로 확인합니다.
● 가까운 병원과 보건소의 연락처를 확인합니다.
농작물 및 시설물 피해 예방
벼
배수로 잡초제거 및 배수시설 등을 정비하여 물 빠짐을 원활하게 합니다.
● 침 · 관수 된 논은 서둘러 잎 끝만이라도 물 위로 나올 수 있도록 물 빼기 작업을 실시하고 벼의 줄기나 잎에 묻은 흙 앙금과
오물 제거
● 물이 빠진 후에는 새물로 걸러대기하여 뿌리의 활력 촉진
● 침 · 관수된 논은 도열병, 흰잎마름병, 벼멸구 등 병해충 예방 약제 살포
< 침 · 관수 벼 흙 앙금 및 오물 세척 효과 (감수율) > |
||
생육시기 |
1 ~2 일 |
3 ~4 일 |
방치 → 세척 |
방치 → 세척 |
|
유숙기(이삭 팬 후 10일) |
30 → 16% |
40 → 20% |
호숙기(이삭 팬 후 20일) |
20 → 11% |
30 → 16% |
황숙기(이삭 팬 후 30일) |
5 → 3% |
10 → 5% |
* 침수 : 식물체의 일부가 물에 잠시는 상태 / 관수 : 식물체의 전체가 물에 잠기는 상태 |
밭작물 · 원예작물
밭작물 |
원예작물(과수) |
|
● 배수로를 깊게 설치하여 습해 사전 예방 ● 참깨는 3~4포기씩 묶어주거나, 줄 지주를 설치하여 쓰러짐 방지 ● 비 오기 전 주요 병해충 예방 악제 살포 ● 쓰러진 농작물 세우기, 겉흙이 씻겨 내려간 포기 흙을 보완해 주기 ● 생육이 불량한 작물은 요소 0.2% 액(비료 40g, 물20L)잎 에 뿌려 주기 |
● 배수로를 깊게 설치하여 습해 사전 예방 ● 밀식재배는 철선 지주를 점검하여 선의 당김 상태를 확인하고, 가지를 지주시설에 고정 ● 부러지거나 찢어진 가지는 깨끗하게 잘라낸 후 적용 약재 발라주기 ● 사과 겹무늬썩음병 등 병해충 방제를 철저히 하고 피해가 심할 경우 수세회복을 위하여 요소 0.2% 액(비료 40g, 물 20L) 잎에 뿌려주기 |
농업시설물 관리 요청
비닐하우스, 축가 등 풍수해 위험지구 내 시설물 관리 보수
● 수방자재 장비 미리 확보 및 비축관리
● 강풍이 불 때는 비닐하우스를 밀폐하고 끈으로 튼튼히 고정하여 골재와 비닐을 밀착시켜 피해 예방
● 비닐 교체 예정인 하우스는 비닐을 제거하여 피해 예방
피복비닐 보수, 환기창 등 개폐 부위를 점검하여 하우스 밀폐
● 환기 팬이 설치된 경우 팬을 가동하여 비닐하우스가 들뜨는 것을 방지
● 고정끈 확인 및 바람에 날릴 수 있는 물건 등 하우스 주변 정리
● 하우스 벽면 브레이싱(거새) 설치, 주변 배수로를 정비하여 습해 예방
● 깨끗한 물로 작물 및 기자재 등을 씻어주고 방제를 실시
● 피해 상황을 시·군 행정기관 등에 즉시 신고하고 복구 지원 요청
농기계
농기계에 묻은 흙이나 오물 등은 제거한 후 기름칠을 하여 통풍이 잘 되고 비가 맞지 않는 곳에 덮개를 씌워 보관합니다.
● 물에 잠긴 농기계는 시동을 걸지 말고 물로 깨끗이 닦은 후 습기를 제거하고 기름칠을 항 후 점검을 받은 다음 사용
● 기화기, 공기청정기, 연료여과기, 연료통 등은 습기가 없도록 청소
안전사고 예방
집중호우 시 저지대·상습 침수지역은 대피 준비를 하고,
고압 전건(가로등, 신호등) 등 위험 시설 근처에 가지 않도록 합니다.
● 천둥·번개 등 악천후로 인한 낙뢰 위험이 있을 경우 건물 안이나 안전한 지역으로 대피합니다.
● 집 주면의 축대 붕괴, 산사태 등 위험이 예산된 경우 사전 예방조치를 취하거나 대피 준비를 합니다.
● 하천도로, 지하차도, 다리 등은 안전한지 확인한 후에 이용합니다.
- #경상남도
- #경남
- #자연재해대비안전관리
- #자연재해대비
- #안전관리
- #안전사고예방
- #농업시설물관리
- #폭염대비준비
- #농작업안전관리
- #농작물피해예방
- #농업피해최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