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시간 전
제주 토양 환경 개선 및 지하수 보전을 위한 적정 비료사용 처방 확대
안녕하세요. 제주도청입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토양 환경 개선과 지하수 보전을 위해
과학적 분석에 기반한
적정 비료사용 처방을 확대합니다.
자세한 내용을 함께 확인해볼까요?
비료사용 처방서* 이행농가
추적관리 시범사업
2024년 ~ 2026년 (3년)
* 비료사용 처방서
농경지의 양분 함량과 농작물의 양분 요구량을 고려하여
필요한 비료량을 알려주는 서비스(운영: 농업기술원)
🌱 사업목적
✔ 제주의 토양 환경 개선 및 지하수 보전을 위한 적정 비료사용 처방 확대
✔ 비료사용 처방서 발급에 따른 사후관리 체계 구축으로 과학 영농 실현
🌱 사업대상
구좌 평대리, 안덕 대평리 (2024년)
대정읍 신도3리 (2025년)
🌱 추진기관
친환경농업정책과 + 농업기술원(기술지원조정과) 공동 협업
※ 협조기관: 행정시 농업부서, 사업대상 읍․면, 사업대상 지역농협 등
🌱 사업내용
농경지에 대한 비료사용 처방 및 준수사항 모니터링,
작물 생육상황 점검, 토양 환경변화 추적·관리 등
2024년 추진상황
- 안덕면 대평리, 구좌읍 평대리 2개 마을 36농가 참여
- 토양검정 실시, 비료사용 처방서 발급 및 농가 이행상황 관리
(2024년 2월~)
시범사업 마을 설명회, 관계 기관․부서 협업 회의, 시행지침 마련 등
(2024년 4월~) 사업시행
(~2025년 5월) 마늘, 양파 수확 모니터링
(2025년 6월) 성과 보고
※ 농가참여 유도(인센티브)
유기농자재 구입비 농가당 1백만원 지원(2024년 36백만원)
(2025년 7월) 2024년 시범사업 추진결과 평가보고회 개최
- 평가자료 수집(2025년 상반기 월동채소 수확기 감안)
🌱 2025년 추진계획
✔ 마을 확대(2→3개리 / 80백만원)
* 계획수립('25. 2월말) → 대상자 선정('25. 3월) → 사업추진('25. 3월∼'26. 5월) → 평가보고회('26. 7월)
✔ 서부지역(대정, 한림, 한경) 전면적 표준시비 도입 검토
* 사업계획 마련('25. 3월) → 참여농가 선정('25. 4월) → 사업수행('25. 5월 ~ '26. 5월)
→ 모니터링 결과 자료정리('26. 6월) → 평가보고회 개최('26. 7월)
서부지역 전면적 표준시비
도입 시범사업
2025 올해부터 추진
도내 지하수의 질산성질소 농도 분포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서부지역 3개 읍면(한림, 한경, 대정) 59개 마을 대상
비료사용 처방전 발급과 농가 이행상황 관리
👉🏻 화학비료 사용량 감축
👉🏻 토양 생태계 회복과 지하수 수질 개선
✔ 3월 중 구체적인 추진계획안을 마련하고
농업인단체, 농협 등과 협업체계를 구축해 사업 본격화
✔ 시범사업의 성과를 바탕으로 단계적으로 도내 전 지역으로 확대
문의
친환경농업정책과
064-710-3161
사업에 대한 기타 세부 사항은
제주특별자치도청 홈페이지 공고문을 확인해주세요!
(제주특별자치도 홈페이지 > 도정소식 > 입법·고시·공고)
▼ 제주도청 누리집 바로가기 ▼
화학비료 사용 저감을 통해
토양생태계 복원과 지하수 수질 개선을
이뤄내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제주특별자치도 블로그 이웃 추가하기 ▼
- #제주
- #제주도
-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도청
- #빛나는제주
- #제주토양
- #토양환경
- #지하수보전
- #비료사용
- #지속가능한농업
- #시범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