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년 전
2023년 복날은 언제? 얼마 남지 않은 초복, 보양식과 함께 건강하게 보내세요~!
무더운 여름과 함께
찾아오는 복날!
2023년 복날도 벌써
코앞으로 다가왔는데요.
오늘은 곧 다가오는 초복을 맞이하여
복날에 대해 낱낱이
파헤쳐 보도록 하겠습니다!
복날, 언제부터 시작됐을까?
2023년 복날은
7월 11일 (초복),
7월 21일 (중복),
8월 10일 (말복)입니다.
삼복 기간은
일 년 중 가장 더운 기간인데요.
실제로 복날의 복(伏)자는
더위에 지쳐 사람이
엎드려 있는 모양을 뜻합니다.
이 중 삼복 기간은
음력 6월에서 7월 사이의
하지로부터 세 번째 경일을 초복,
네 번째 경일을 중복,
입추 후 첫 번째 경일을 말복이라고
얘기한 것에서 유래됐습니다.
우리 민족이 삼복더위 기간을
챙기기 시작한 것은
벌레 퇴치를 위해 삼복일에
제사를 지내던 중국 진·한 속설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요!
이때 제사를 지낸 후
고기를 나눠 먹기 시작한 것이
복날 문화의 시발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 옛날에는 복날의 날씨가
벼를 자라게 해줬기 때문에
초복을 벼의 생일로 생각했다고 해요.
그래서 초복이면 떡과 전을 장만하여
논에서 제사를 지냈는데,
이것을 복제(伏祭)라고 부르기도 했습니다.
복날에 보양식을 먹는 이유는?
지금도 삼복에는 보양식을 챙겨 먹는
문화가 유지되고 있는데요,
옛날에도 삼복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시기에는
보신탕, 수박 등을 즐겨 먹으며
더위를 이겨냈다고 합니다.
여름에는 땀을 많이 흘리고
체력 소모가 크기 때문에
더위에 지친 몸을 회복하기 위해
보양 음식을 먹으며,
삼복을 챙기는 것이 매우 중요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지금 즐겨 먹는 삼계탕은
언제부터 먹었을까요?
사실 삼계탕은 우리 조상들이
예전부터 즐긴 음식은 아니었습니다.
조선 시대의 닭 요리는
백숙이 일반적이었으며,
일제강점기 시기부터
부잣집에서 닭국에 인삼을 넣기 시작하면서
삼계탕이 만들어졌습니다.
지금의 형태로는
1960년대 이후 나타났으며,
1970년대에 들어서야
대중화가 시작되었습니다.
올 여름에 먹으면 좋은 보양식 추천!
매년 찾아오는 복날,
2023년 복날도
삼계탕만 먹기 식상하다면?
올해는 다른 종류의
보양식을 드셔보세요.
미꾸라지를 갈아 만드는
보양식 추어탕!
추어탕의 미꾸라지는
양질의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어요.
또한 비타민A를 다량 함유해
피부 보호에도 도움을 주며,
세균 저항력을 높이고
기도 점막을 튼튼하게 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특히 추어탕의 경우
미꾸라지를 뼈째 갈기 때문에
칼슘 섭취량을 높일 수 있습니다.
오리고기는
칼슘, 비타민, 철 등의 함유량이 많아서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주고
피부 건강에도 도움을 주는데요.
필수아미노산 함량도 높아
다이어트를 할 때
고단백 영양 보충 음식으로도
많이 추천되는 음식입니다.
해신탕은 한약재를 넣은
닭 이외에도 낙지, 전복 등
몸에 좋은 해산물을 가득 넣은 보양식입니다.
해신탕의 낙지는
타우린, 무기질, 아미노산이 듬뿍 들어있어
신진대사를 원활히 하고
기력을 보충해 줍니다.
또 전복의 경우에도
비타민, 칼슘, 미네랄 등이
풍부해서 피로 해소에 좋아요.
지금까지 복날의 유래와
보양식 종류까지 알아봤습니다.
올여름도 작년만큼 덥거나
혹은 그 이상의 기온을
기록할 거라고 합니다.
2023년 복날,
맛있는 보양식과 함께
건강하게 보내도록 해요!
[관련 게시물] 복날
- #서울
- #서울시
- #서울특별시
- #복날
- #초복
- #중복
- #말복
- #보양식
-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