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의성에서 만나는 공룡 & 지질공원 의성에코센터
안녕하세요.
의성군블로그기자단 서진나입니다. :)
의성 산운생태공원에 위치한 ‘의성에코센터’를 소개합니다. 의성에코센터는 2005년 4월 폐교된 산운초등학교를 리모델링 해, 2023년 3월 지질공원 및 농업유산 전시실로 개관했습니다. 야외 잔디광장에는 연못, 공룡 모형, 미끄럼틀 등의 시설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 의성 에코센터 ▼
📌이용시간
동절기(11월~2월) 오전 9시-오후 5시(월요일 휴무)
설날 연휴 휴무
📌입장료/주차료 무료
📌잔디광장 대관료 유료
의성지역에는 경상남북도 일원에 존재한 한반도에서 가장 큰 호수인 경상퇴적분지가 있고, 의성지질공원에는 선상지, 하천, 삼각주, 호수 등 육산 퇴적환경에서 만들어진 쇄실성 퇴적암으로 구성됩니다.
의성의 화석으로는 스트로마톨라이트, 공룡발자국 화석산지 등이 있는데요! 의성지역은 지질학적으로 가치가 있어서 국가지질공원으로도 등록되었습니다.
백악기 화산활동으로 인해 금성산 칼데라호가 생겨났고, 빙계계곡에는 얼음이 어는 빙혈과 바람이 부는 풍혈이 있습니다. 덕분에 좀미역고사리, 한들고사리 등 북방계식물들이 나타나는 특성을 보인답니다.
시대별 공룡의 연대기인데요. 현재 보이는 전시시설은 2023년 이전부터도 있던 공간이랍니다.
공룡에 대한 전반적인 전시시설이 지금까지 이어져오고 있습니다.
의성지역의 공룡발자국 화석인데요. 의성군 점곡면 사촌1리 공룡발자국화석, 구암리 공룡발자국화석, 춘산면 신흥리 공룡발자국화석 등이 있습니다. 유명한 곳은 아무래도 제오리 공룡발자국 화석 산지와 만천리 아기공룡발자국 화석이 있습니다. :)
농업유산 전시실은 테마1 농업유산, 테마2 자연유산, 테마3 문화유산으로 전시 구역이 나누어져 있습니다.
국가중요농업유산 의성수리농업 홍보전시체험관도 의성에코센터 내에 있습니다.
의성의 농민들은 부족한 강우량을 극복하고 안정적인 수자원 확보를 위해 전통적 수리시스템을 발전시켜왔는데요.
물의 흐름을 살펴 계층적 구조로 조성되었고, 계곡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을 최대한 모으기 위해 해발 300m 이상까지 못을 축조했다고 합니다. 전통적이면서 과학적인 시스템이라, 의성지역 선조들의 지혜가 놀랍습니다.
의성 지역에는 유난히 못이 많은데요. 2021년 기준으로 의성군 전체에 총 6,227개의 못이 있고, 금성산 일대에는 약 1,591개의 못이 있다고 합니다.
의성 전통수리농업시스템은 환경과 사회, 풍습 등에 적응하며 오랜 기간 형성해 온 농업자원으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아 2018년 국가중요농업유산 제10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수리시설의 효율적 이용관리를 위한 수리공동조직 수리계(몽리계)는 오늘날까지 이어져서, 연간 주요 관리활동 논의 후 농사 시기에 맞춰 활동하고 있습니다.
의성 전통수리 농업시스템은 논과 저수지가 만들어낸 논습지로 복합 생태계를 조성하여 독특한 생물 다양성을 보유하고 있는데요. 의성은 소우지, 화산지형의 특성상 생물들이 서식하기에 건조하고 척박한 생육 환경에서 못과 논이 조성되면서 자연스럽게 수생식물, 물새류, 양서류, 파룽츄, 저서무척추동물, 어류 등이 유입되었습니다.
의성 지역뿐만 아니라, 세계의 중요 농업유산도 소개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2024년 청상도 구들장논, 제주도 밭담, 2017년 하동 전통차, 2018년 금산 인삼 농업, 2020년 담양 대나무밭이 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 선정되었습니다.
다양한 생물들의 박제도 전시되어 있네요.
의성에서는 농가마다 마늘을 건조하기 위한 독특한 목조 형태의 건가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의성 대표 특산물인 한지형 의성마늘은 전국 1위 생산량을 자랑합니다. 난지형 마늘보다 쪽수는 적지만, 단단하며 저장성이 높은 것이 특징이에요.
의성지역의 식문화, 민속문화 등도 전시되어 있습니다.
의성의 국가지질공원 및 전통 농업시설에 대해 궁금한 분들은 ‘의성 에코센터’에 방문해 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 #의성
- #의성군
- #경북의성
- #의성아이와가볼만한곳
- #의성겨울방학가볼만한곳
- #의성에코센터
- #의성지질공원
- #산운생태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