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년 전
퇴계태실이 있는 안동 진성 이씨 온혜파 종택 <이황의 생가>
안동시 도산면에는 도산서원을 비롯해
퇴계종택, 그리고 이황의 생가까지
다양한 문화재와 볼거리가 가득해요.
퇴계종택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하고 있는
안동 진성 이씨 온혜파 종택이 있는데요.
처음에는 퇴계태실 로 민속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었으나 퇴계와 관련된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았어요.
2018년 안동 진성 이씨 온혜파 종택으로
명칭을 바꾸고 국가민족문화재로
승격되었다고 해요.
2023년 2월 8일 방문했는데
대문채 보수공사가 진행 중이었어요.
다행히 안으로 들어가서
둘러보는 데는 문제가 없었답니다.
종택 앞으로는 주차선도 여러 개 그려져 있었어요.
제가 방문한 날은 공사가 잠시 중단된 상태여서
일하시는 분들의 모습을 볼 수 없었어요.
그래서 안으로 들어갈 때
최대한 조심해서 안으로 방문했어요.
대문채를 지나면 바로 정문에
노송정이 자리 잡고 있어요.
노송정 좌측으로 'ㅁ'자형 종택이
자리 잡고 있어요.
정자 현판에 걸려 있는 노송정은
퇴계 선생의 조부 이계양의 호가 노송이라고 해요.
노송정 현판 아래 마루가 돌출되어 있어서
'ㄱ'자형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온돌방과 대청마루로 구성되어 있어요.
노송정은 마루와 방으로 되어 있으며
아무 생각 없이 천장을 올려다봤는데
독수리가 내려다보고 있어서 순간 놀랬답니다.
노송정 앞 마당에는 노송정이
두 아들에게 보낸 권학시와
퇴계가 손자 안동에게 보낸 권학시가
비석에 새겨져 있어요.
안동 진성 이씨 온혜파 종택은
퇴계 이황의 조부 이계양이 세운 곳으로
이황이 태어난 생가인데요.
후에 이황의 14세손인 이가원에 의해
중수되고 1930년대 전면 개축했다고 해요.
노송정 옆에 안채로 들어가는 대문이 있어요.
대문 안으로 들어가면 뭔가
일반적인 구조와 다른 걸 볼 수 있어요.
온돌방과 마루 앞에 돌출된
방이 있는 걸 볼 수 있는데요.
이곳이 바로 퇴계 이황이 태어난 곳이에요.
먼저 독특한 구조는 영상을 통해서 보시면
이해하기 수월하실 거예요.
퇴계선생태실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어요.
마지 누각처럼 꾸며 놓은
독특한 형태의 퇴계태실이에요.
퇴계태실 뒤쪽으로 대청마루가 있고
여러 개의 방이 있는 걸 볼 수 있어요.
퇴계태실 바로 맞은편에는
부엌이 위치하고 있어요.
퇴계태실을 돌아오면 또 다른 공간이 나와요.
안쪽으로 들어와서 반대쪽에서
바라본 퇴계태실 모습이에요.
구조가 정말 독특한 형태를 띠고 있어요.
이곳에서 조선의 학자
퇴계 이황 선생님이 태어나셨다니
뭔가 모를 좋은 기운이
가득 나오는 것 같았어요.
안채에서 나와서 바깥으로 돌아보면
안에서 봤던 부엌으로 바로
들어가는 문이 따로 있으며
사랑채 앞으로 나와있는 마루도
운치를 더해주고 있었답니다.
노송정 우측에 자리 잡고 있는 사당 모습이에요.
사당 쪽에서 바라본 노송정과
안동 진성 이씨 온혜파 종택 모습이에요.
정자와 종택이 어우러져
옛 전통가옥의 기품과 멋스러움을
그대로 전해주고 있답니다.
안동 도산면에 방문하신다면
이황 선생이 태어난 생가
안동 진성 이씨 온혜파 종택도 함께 둘러보세요.
본 내용은 백은영 안동시
SNS 기자단 개인의 의견으로,
안동시 공식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 #안동여행
- #안동가볼만한곳
- #퇴계이황
- #안동명소
- #퇴계태실
- #퇴계선생
- #진성이씨
- #안동진성이씨
- #온혜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