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일 전
"부산형 라이즈(RISE)" 사업 본격화, 라이즈 수행대학 선정!
부산시가 '글로벌 허브도시' 도약을 위해 지역대학의 혁신 역량 강화와
지역발전 허브 기능을 담당할 20개 지역대학과 122개 과제를 선정했습니다.
2030 글로벌 허브도시의 새로운 혁신파동(New Wave)
부산형 라이즈(RISE) 사업
부산형 라이즈(RISE) 사업은 사업 1차 연도인 올해 4대 프로젝트, 12개 핵심과제에 1천341억 원을 투입해, 2025~2029년 5년간 부산발전계획을 기반으로 대학과 지역산업 등이 긴밀히 연계된 대학 특성화를 추진합니다.
[ vision ]
2030 글로벌 허브도시의
새로운 혁신파동(New Wave)을 일으키는 부산형 라이즈
🔸미래인재 확보를 위한 인재혁신 (Human Wave) 🔸산업 고도화를 위한 산업혁신 (Industrial Wave) 🔸지역가치 확산을 위한 사회혁신 (Social Wave) 🔸대학 대전환을 위한 대학혁신 (University Wave) 🔽🔽 4대 프로젝트 12개 핵심과제로 구성 |
실질적인 성과 중심으로
지속 가능한 지역 혁신 성장 기반 구축
부산시는 이번에 선정된 20개 대학과 함께 오는 2029년까지 5년간 정부의 라이즈 성과지표와 연계하여 운영됩니다.
✅ 지역 산업계 맞춤 인재양성을 통한 지역 정주 취업률 15퍼센트(%) 향상
✅ 지·산·학·연 협력 지구(클러스터) 구축을 통한 지·산·학·연 협업 실적 10퍼센트(%) 향상
✅ 부산형 대학창업 패키지 사업을 통한 대학발 창업률 20퍼센트(%) 향상 등
기업이 체감하며 인재양성-취업-정주로 이어지는 실질적인 성과 중심의 사업을 추진해 미래기술·인재가 선순환하는 지속 가능한 지역 혁신 성장 기반을 구축해 나갈 계획입니다.
부산형 라이즈 사업
심사과정
이번 선정과 관련한 평가는 전문기관(부산라이즈혁신원)에 위탁해 시행됐습니다. 선정평가위원회는 공정성과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 학계·연구계·산업계 등 관련 전문가로 구성·운영됐으며, 5일간 합숙을 통해 서면심사와 대면심사를 병행했습니다.
📌 평가요소 📌
✅ 대학의 혁신 및 특성화 전략, 지역특성·산업수요에 기반한 계획 수립 여부 ✅ 산업 협력지구(클러스터) 기반의 부산형 라이즈 대표모델 ‘오픈 유아이시(Open UIC,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추진전략 ✅ 수요자(학생 취·창업, 기업 등) 중심의 실질적 성과 창출을 위한 계획의 구체성과 실현 가능성 ✅ 재정투자계획의 효과성 등 |
시는 이번 본 심사에 앞서 지난 1월부터 2월까지 예비심사를 통해 대학별 예비제안서를 강도 높게 검토·평가해 특성화에 기반한 선택과 집중, 사업내용의 구체성과 실현 가능성 등 보완을 요구했습니다. 이에 본 심사 제안서에는 예비심사 검토의견이 비교적 충실하게 보완, 반영됐는데요.
특히, ▲지역 특성·산업수요 기반 대학 특성화 전략 마련 ▲기업수요 조사·분석 및 업무협약 등 협업체계 구축을 통한 사업내용 구체화 ▲지역기업 취업 연계, 대학별 창업 활성화 등 지역 정주 대책 ▲지역산업 협력 지구(클러스터) 기반 혁신생태계 구축 등 라이즈 사업의 취지에 걸맞은 지역 중심형 과제로 구성돼, 그간 지역대학에서도 사업의 성공을 위한 고민과 노력이 있었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많았습니다.
4월 말 선정대학과 협약체결 후
5월 초 사업 본격화
대학별 선정 결과는 4월 10일 각 대학에 통지되며, 이의신청 기간(4.10.~4.17.)을 거쳐 최종 확정될 예정입니다.
사업계획서 평가과정에서 지적된 보완사항 등에 대해서는 4월 말까지 수정계획서를 제출받은 뒤, 4월 말 20개 대학과 사업협약을 체결, 5월 초부터 라이즈 사업을 본격 추진합니다.
대학별 주요 내용
유형 |
대학명 |
혁신비전 및 주요전략 |
연구 |
국립 부경대 |
✔️ 부산 WAVE에 부경대 미래 ENERGY를 더한 혁신의 파도! 지역-캠퍼스 연계
◦(특성화 산업) ①수산해양, ②에너지테크(반도체, 이차전지), ③AI/SW - 블루푸드테크, 친환경에너지, AI/SW 등 3대 특화 대학원과정 운영 및 R&D 지원 ◦(주요과제) 4개 프로젝트 7개 단위과제 추진 - 용당캠퍼스(드래곤밸리) 수산해양&에너지테크 클러스터 구축, 창업 전주기 지원 - 수산해양클러스터 산업체 주도형 공동R&D/현장실무교육, 유니콘기업 육성 - 외국인 유학생 특화 ‘글로벌 혁신대학’ 설립 및 글로벌 공동연구 확장 - 지역문제 해결형 미래도시연구센터, 지역거주 개선을 위한 Moonshot 프로젝트 - 부산 공유대학(BITS) AI/SW 융합전공, 남구권 연합 개방형 창업대학 운영 등 |
연구 |
국립 한국 해양대 |
✔️ 해양분야 글로벌 리더십의 미래해양 플랫폼(PRISE), 해양 미래신산업 고도화
◦(특성화 산업) ①해양모빌리티, ②미래해양소부장, ③해양밸류체인 - 첨단선박(위성항법, 자율운항), 탄소중립연료시스템, 해수이차전지, 경량부품소재 ◦(주요과제) 4개 프로젝트 7개 단위과제 추진 - 첨단선박, 해수이차전지 등 기업수요/정주형 인재양성과 산학연 공동R&D - 해양 특성화 분야 초·중·고-대학(원)-취·창업-재직자교육 등 전주기 프로세스 구축 - 해양 글로벌 네트워크 기반 조선해양기자재 산업체 글로벌 진출 지원 - 대학 거점 지산학연 해양클러스터 활용 기업 유치 및 워케이션 허브 조성 - 부산 공유대학(BITS) 스마트물류 융합전공 운영, 해양산업 재직자 역량 강화 등 |
연구 |
동아대 |
✔️대학의 벽을 허무는 클러스터 기반 Practical Researcher 양성 대학
◦(특성화 산업) ①이차전지, ②수소에너지테크, ③바이오헬스 - 배터리 설계/소재/모듈, 액화수소/밸브, 저속노화 토탈 솔루션/방사선의약품 ◦(주요과제) 4개 프로젝트 5개 단위과제 추진 - U&I Collaboration Model, 에너지테크 혁신형 정주인재 양성(수소동맹 등 연합) - 연구학점제 기반 산업수요형 연구인재 양성 및 공동R&D 등 에너지테크 혁신 - 이차전지/수소 분야 전략적 유학생 유치 및 학업·정착 등 커리어 교육모델 운영 - 고령화 대응 디지털헬스케어 기반 리빙랩 프로그램 및 ‘부산 활력업’ 추진 - 부산 공유대학(BITS) 클린에너지 융합전공 운영 등 |
연구 |
부산대 |
✔️‘동남권 중심도시, 부산의 르네상스 시대’를 여는 부산대 RISE
◦(특성화 산업) ①미래모빌리티, ②디지털테크, ③극한환경 전력반도체 - 미래모빌리티(육해공/국방), 디지털테크(AI, AX·양자컴퓨팅, DX·온디바이스), 반도체 ◦(주요과제) 4개 프로젝트 7개 단위과제 추진 - 앵커기업 연구소 유치, 대학원 모듈형 과정 운영 및 대학간 연합인재 양성 - 앵커-지역기업 연계 산업수요 대응형 R&D 및 사업화, 기술창업 혁신 지원 - 글로벌 역량 강화,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공감형 혁신 milieu 구축 - 부산형 공유대학(BITS) 및 학사관리 플랫폼 운영 총괄, 미래모빌리티 융합전공 - 대학 인프라 개방·공유를 통한 지역사회 발전, Open-Shared 캠퍼스 등 |
교육 |
경성대 |
✔️지역과 기업의 동반 성장을 이끄는 혁신 인재 양성 플랫폼
◦(특성화 산업) ①문화관광, ②바이오헬스, ③융합부품소재 - 문화관광(영화·영상,콘텐츠,MICE), 바이오헬스(제약,의료기기),융합부품소재(로봇) ◦(주요과제) 4개 프로젝트 7개 단위과제 추진 - 3대특화분야 대학-산업체 공동 인재 양성 및 지역 창업 허브 구축 - 기업 성장을 선도하는 신기술 협력 확대 등 지역과 함께 하는 혁신 허브 구축 - 5년내 유학생 수 4,900명 달성, 유학생 유치·정주 원스톱 지원 시스템 구축 - 지역혁신융합연구센터 : 지역문제 솔루션 연구, 문화콘텐츠, 활력 프로그램 운영 - 산업현장 밀착 융합전공 RISE대학 신설, 전공과 직업간 미스매치 해소 |
교육 |
고신대 |
✔️글로벌 건강도시 부산을 견인하는 아시아 대표 웰니스 허브대학
◦(특성화 산업) 바이오헬스 - 디지털헬스, 시니어웰빙, 해양치유 분야 인재양성 및 기술혁신 선도 ◦(주요과제) 4개 프로젝트 6개 단위과제 추진 - 웰니스 3Care 분야 Edu·Nest·Start Up 교육혁신·인재양성 - 특화산업 수요 맞춤형 교육혁신, 현장실습 교육 강화, 실험실 중심 창업기업 육성 - 바이오헬스산업 분야 기업오픈캠퍼스 구축, 필드형 인재 및 기술이전·사업화 - 지역정주형 K-웰니스 해외 우수인재 유치 및 육성,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 - 대학 유휴공간 활용 웰니스 오픈캠퍼스, 중장년·노인 등 융합형 프로그램 운영 |
교육 |
동명대 |
✔️대학의 힘으로 지역을 살리는 글로벌 혁신 대학
◦(특성화 산업) ①미래모빌리티, ②디지털테크, ③라이프스타일 - 친환경자동차, 항만물류, 전기·전자제어, SW, 뷰티, 반려동물 ◦(주요과제) 4개 프로젝트 7개 단위과제 추진 - 기업가적 대학 실현 : 제품개발 학기제와 3학기제 Co-Op 교육 - 기업 수요에 따른 기업문제 팀프로젝트 수행(JA교원, 전문가, 학생 등) - 산학공동 R&D 과제 학생연구원 참여, 제품개발학기제 이수 필수 - 유학생 전용 단과대학, 외국인 유학생 요양보호사 교육과정 개발·운영 - Open Campus 구축을 통한 창업거점화(그린스타트업 타운 등) |
교육 |
동서대 |
✔️부산 산업경제(BIG3)의 혁신성장을 선도하는 미래형 대학 DSU
◦(특성화 산업) ①문화관광, ②디지털테크, ③바이오헬스 - 영화·영상, 콘텐츠, MICE, 디지털테크(AI,Big Data), 의료서비스 ◦(주요과제) 4개 프로젝트 6개 단위과제 추진 - 특성화 산업 지역기업 수요반영 교육과정 개편 및 지역정주 인재양성 - 센텀캠퍼스 기반 문화콘텐츠(게임, 영화) 제작 및 사업화(투자펀딩 등) - 가상융합기술연구원 중심의 산학 R&BD 콤플렉스 - 외국인 유학생 유치(3,500명) 및 DX 융합역량을 갖춘 지역 정주 인재양성 - 디자인 특화 부산형 개방대학 : ADCC 연계 디자인 프로젝트 및 공동 R&D |
교육 |
동의대 |
✔️지속 가능한 혁신 기반의 지역과 대학 상생 생태계 조성
◦(특성화 산업) ①전력반도체, ②바이오헬스, ③AI·제조기술 - 반도체(소자 및 패키징), 바이오(생체·미생물·화장품), AI·제조기술(AI융합제조) ◦(주요과제) 4개 프로젝트 6개 단위과제 추진 - 특성화분야 역량기반 실무인재 양성을 위한 특성화단과대학 신설·운영 - 디노웨이브(D-InnoWave)를 통한 동반성장형 산학협력 추진 - 핵심 클러스터(제조+정보기술)와 부산AI혁신센터, AI전문 연구진 구성 기술지원 - 유학생 활용 기업 해외진출 지원, 평생교육 지표 성장률 연 12.1% 달성 - 부산권 파워반도체 공유대학 운영 등 차별화 전략 기반 공유협력 성과 고도화 |
교육 |
부산가톨릭대 |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생명돌봄 중심 융합대학
◦(특성화 산업) ①바이오헬스 ②커뮤니티 토탈케어 - 바이오헬스(헬스케어산업), 커뮤니티 토탈케어(지역 기반 통합형 돌봄모델) ◦(주요과제) 4개 프로젝트 6개 단위과제 추진 - 바이오헬스케어 융합전공 운영 및 창업교육 지원으로 실무형 정주인재 양성 - 차세대 바이오헬스케어 & 커뮤니티 토탈케어 클러스터 구축 - 산업클러스터 : 진단바이오/재활의과학, 미래사회 안전관리 등 기업·기관 연계 - 토탈케어 : HAHA캠퍼스 + 맞춤형 중독치유, 돌봄 + 시니어 평생교육 - 오픈 캠퍼스(CUP ON) : HAHA 캠퍼스, 시민 맞춤형 스마트 교육, 건강·활력 증진 |
교육 |
부산외국어대 |
✔️지역산업·사회·대학의 국제화를 실현하는‘GLOBAL WAVE’혁신
◦(특성화 산업) ①디지털테크, ②라이프스타일, ③문화관광 - 산·학·관 협력 기반 글로벌 AI+X산업(AI융합) 인재 양성 플랫폼 구축 ◦(주요과제) 4개 프로젝트 7개 단위과제 추진 - 라이프스타일, 문화관광, 수출대응 산업 맞춤 정주형 AX 인재 양성 - 중소·중견기업 해외수출 증진 및 해외관광객 유치를 위한 AI 글로벌플랫폼 구축 - 구글 AI 활용 국제학생 유치ᆞ양성 개방형 통합 플랫폼 구축, 국제교류 강화 - ‘다(多) 가치 시민교육 생태계’, 시민 성장형 영어교육(거점센터), 외국인 정주 - 글로컬 창업융합전공 신설 및 창업 지원, 수요 맞춤형 50개 외국어 전공 운영 |
교육 |
신라대 |
✔️지역사회, 기업, 지자체가 참여하는 직주학락(職住學樂) 인재 양성
◦(특성화 산업) ①바이오헬스, ②미래모빌리티, ③라이프스타일, ④문화관광 - 스마트헬스케어, 자동차·항공부품, 반려동물, 패션, 식품, MICE ◦(주요과제) 4개 프로젝트 6개 단위과제 추진 - 특성화 산업분야 융합교육, 실습 및 취·창업 중심의 통합교육 플랫폼 운영 - 웰니스, 헬스케어 분야 수요기반 공용장비 구축 및 종합기술 지원 - 장비 고도화, 실증 인프라 구축을 통한 기업지원 극대화 - 지역과 상생하는 서부산거점 지역 협업형 프로젝트 및 시민교육 프로그램 운영 - 지역맞춤형 신라 늘봄지원센터 구축, 늘봄교육 프로그램 및 강사 연수모델 개발 |
교육 |
영산대 |
✔️2 Blue Oceans WISE, 4 Waves RISE, 관광마이스·문화콘텐츠 특화 대학
◦(특성화 산업) ①관광마이스, ②문화콘텐츠 - 호텔, MICE, 식품, 웹툰, 게임, 예술공연 등 ◦(주요과제) 4개 프로젝트 6개 단위과제 추진 - 관광MICE·문화콘텐츠산업 맞춤형 혁신인재 양성 - 특화산업 대표기업들과 공동교육(기업전문가 교육) 및 취업 연계(채용 약정) - 문화콘텐츠 혁신기업 육성 등 R&BD 연계, 교육-정주로 이어지는 학생 전주기 관리 - 관광MICE·문화콘텐츠 분야 글로벌 인재양성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기업·대학 연계 컨소시엄형 성인학습자 취업 약정형 아카데미 운영 등 |
직업평생 |
경남정보대 |
✔️지역산업 기반 직업교육 혁신 선도대학 실현
◦(특성화 산업) ①융합부품소재, ②바이오헬스, ③라이프스타일 - 융합부품소재(모빌리티/반도체/이차전지) 바이오헬스(보건/복지), 라이프스타일(신발/패션/뷰티/외식) ◦(주요과제) 4개 프로젝트 6개 단위과제 추진 - 3대 특성화분야 주문식·현장중심 교육과정 운영을 통한 전문기술인재 양성 - 산업체(융합부품소재, 바이오헬스) 약정 기반 취업 및 정주형 유학생 야성 - 3-College(취업직무교육, 창업지원, 커뮤니티중심 수요자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 - 치의학산업연구소 중심 공동교육과정 운영, BOCU(부산형 전문대연합 학습지원센터) 운영 등 - 특성화 산업 연계 브랜드 개발을 통한 선순환 구조 창업생태계 구축 |
직업평생 |
대동대 |
✔️지역사회 상생협력을 통한 Well-life 산업특화 대학 육성
◦(특성화 산업) ①디지털헬스케어(보건, 복지), ②라이프스타일(뷰티, 외식) - 디지털헬스케어(대동병원, 복지관 등) 주문식 교육, 현장실습 통합돌봄 인재양성 ◦(주요과제) 4개 프로젝트 5개 단위과제 추진 - 지역사회, 고교-산업체-대학 연계 Co-op 전공교육 프로그램 운영 - 라이프스타일 산업 재직자 교육을 통한 지역서비스 기업 애로기술 지원 - 로컬 통합돌봄(초중등, 자립준비청년, 장애인)을 통한 평생교육지원 활성화 - 구·군협력(바리스타, 외식, 펫푸드) 양성과정 운영, 취약계층 통합돌봄 맞춤형 패키지 - G(금정)-Job go 플랫폼 구축(유학생 대상 간병인 교육 및 취업지원) |
직업평생 |
동의 과학대 |
✔️학생 성장, 기업경쟁력 강화, 지역사회 발전을 연결하는 커뮤니티칼리지 구축
◦(특성화 산업) ①전기차, ②산업용로봇, ③재난안전, ④의료·뷰티·관광 - 4개 특성화 산업분야 지역기업의 수요 기반 전문기술인재양성 교육과정 운영 ◦(주요과제) 4개 프로젝트 5개 단위과제 추진 - 크루즈 및 문화관광분야 연계한 관광상품 개발, 창업프로그램 운영 등 - 전략산업(모빌리티, 융합부품소재, 뷰티) 중심의 해외인재 육성(외국인 친화형 교육과정) -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성인학습자 취·창업 특화 커뮤니티칼리지 운영 등 - BADA Harmony 평생교육(문화, 공연예술) 프로젝트(부산예술대 컨소시엄) - BOCU(Busan Open Communit University) 부산형 전문대 연합 학습지원센터 운영(주관) |
직업평생 |
부산경상대 |
✔️지역전략산업 특성화 부산 RISE 혁신대학, 지역 전문인재 양성
◦(특성화 산업) ①디지털테크, ②라이프스타일, ③문화관광 - 표준현장실습, 캡스톤디자인, 직무체험, 주문식과정 개발 운영 ◦(주요과제) 4개 프로젝트 6개 단위과제 추진 - AI 디지털콘텐츠 특성화 학과 개편, 특성화학과 입학전형 도입 등 특성화 강화 - 디즈니애니메이션 ATC(Authorized Training Center) 운영, 글로벌 외주 프로젝트 수주 - 지역기업 현장문제 해결형 공동콘텐츠 개발, 캐릭터 공동라이센싱 개발 - 콘텐츠 연계 지역현안 해결 공동 프로젝트(문화유산, 관광아카이브 등) - 소상공인 집적지 특화 메이커스페이스 리빙랩 운영 및 주민 오픈클래스 제공 등 |
직업평생 |
부산과학기술대 |
✔️AI/DX 기반 부산형 ‘LIFE*’ 산업 선도대학, AI/DX 직업평생교육 거점기관 *Lead Talent, Innovate Industry, Foster Social Innovation, Empower Excellence ◦(특성화 산업) ①디지털헬스케어, ②디지털테크, ③라이프스타일, ④문화관광 - DX-SPARK 2040, 산업현장 미러형 AI·DX 교육, 일·학습 병행, CDP 기반 취·창업 ◦(주요과제) 4개 프로젝트 7개 단위과제 추진 - 재직자 DX교육 확대, 지역산업체 DX 전환 지원, 기술지원 컨설팅 제공 등 - GSE-7 유학생 직업·평생교육 플랫폼 구축(정주시설 지원, 적응교육, 취업지원) - 캡스톤디자인 기반 창업기업 생애주기형 사업화(SEED-UP) - 부산형 협동조합대학 특화모델 “BIST Coop(Cooperative)” 구축·운영 |
직업평생 |
부산보건대 |
✔️지산학협력 기반 지역혁신 선도대학, CARE+ 지산학 생태계 구축
◦(특성화 산업) ①헬스케어(디지털), ②라이프스타일 - 산업체 연계 표준현장실습학기, 캡스톤디자인, 실전 창업패키지 운영 등 ◦(주요과제) 4개 프로젝트 5개 단위과제 추진 - 창업 및 AI 일반과정, DX 캡스톤디자인 등 교과목 AI-based 기술 적용 - 지역사회/산업체/학과/학생간 AIDX 공유·협업 플랫폼 활용, 산학공동 교육 운영 - 유학생 유치 현지 시장 개척 및 맞춤형 성장·정착 지원 - 평생배움 아카데미 구축, 지역 맞춤형 신중년 직업교육과정 운영 - BOCU(부산형 전문대 연합 학습지원센터) 운영, 대학간 연계 프로그램 활성화 |
직업평생 |
부산여자대 |
✔️지산학연 일체형 L+1을 통한 직업평생교육 대학, 글로벌 혁신대학
◦(특성화 산업) ①디지털헬스케어, ②로컬 라이프케어, ③글로컬 문화관광 - 주문식 교육 및 캡스톤디자인, 표준현장실습 고도화, 융복합 교육과정 확대 ◦(주요과제) 4개 프로젝트 5개 단위과제 추진 - 특성화 산업분야 현장 중심의 기업 애로기술 해결, 헬스케어 디지털 전환 지원 - 실전 창업역량 모델 고도화 및 프로그램 운영(교과/비교과) - 지역정주형 여성 창업생태계 구축, 문화관광·헬스케어 특화 여성창업 - 바이오헬스·문화관광 특화분야 글로벌 문제해결을 위한 국제프로그램 주관 확대 - ESG 지역문제해결 지산학연 협력체계 구축 및 지원 : 여성 일자리 |
부산형 라이즈 성공 모델 마련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부산시
- #부산
- #부산광역시
- #대학
- #부산형라이즈
- #글로벌허브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