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일 전
일본 뇌염 주의보 발령
올해 최초로 제주특별자치도·전라남도에서 일본뇌염 매개모기(작은빨간집모기)가 확인됨에 따라,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가 발령되었습니다.(‘25.3.27.)
🚨전국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25.3.27.~)🚨
💊 일본 뇌염이란?
✅ 일본뇌염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질환이며 5~15일의 잠복기(제3급 감염병)
✅ 매개모기는 작은빨간집모기이며, 사람 간 전파는 없음
✅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돼지·야생조류를 흡혈한 모기가 사람을 물어 감염
✅ 대부분 무증상이거나, 발열 및 두통 등 가벼운 임상 증상이 나타나며, 드물게 뇌염으로 진행되면 고열·발작·목 경직·착란·떨림·경련·마비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20∼30%의 사망률을 보임
💊일본뇌염 예방수칙
🦟 야외활동 시
- 모기가 활동하는 야간(일몰 직후~일출 직전)에 야외 활동 자제
- 야간 외출 시 밝은 색 긴 옷, 품이 넓은 옷을 착용
- 노출된 피부나 옷, 신발 상단, 양말 등에 모기 기피제 사용하기
- 모기를 유인할 수 있는 진한 향수나 화장품 사용 자제
🦟 가정 및 주위환경
- 실내 모기 침입 예방을 위해 방충망 정비 및 모기장 사용
- 집주변의 물 웅덩이, 막힌 배수로 등은 모기가 서식하지 못하게 고인 물 없애기
💊일본뇌염 예방접종하기
(소아)
- 불활성화 백신 : 총 5회 접종
· 1∼2차(생후 12∼23개월, 1개월 간격), 3차(24~35개월, 2차 접종 11개월 후), 4차(만 6세), 5차(만 12세)
- 약독화 생백신 : 총 2회 접종
· 1∼2차(생후 12∼35개월, 12개월 간격)
(성인 : 면역이 없는 18세 이상 성인)
- 위험지역(논, 돼지 축사 인근) 거주하거나 전파시기에 위험지역에서 활동 예정인 경우
- 비유행 지역에서 이주하여 국내에 장기 거주할 외국인, 일본뇌염 유행국가 여행자
-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노출될 수 있는 실험실 근무자
💊문의 : 남구보건소 감염병관리과 ☎ 062-607-6172
일본뇌염 예방을 위해 모기물림 예방수칙을 준수해 주시기 바랍니다.
- #광주남구청
- #남구보건소
- #예방수칙
- #외출전예방수칙
- #질병관리청
- #실내모기
- #모기장사용
- #일본뇌염
- #작은빨간모기
- #일본뇌염주의보
- #모기
- #모기매개감염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