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일 전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감염자 최고 수준, 장관감염증 예방수칙 준수 당부
올해 겨울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환자 수가 469명으로 최근 10년간의 정점 중 최고 수준에 이르렀는데요.
올바른 손 씻기의 생활화 등 장관감염증 예방수칙을 당부했습니다.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환자 수
최근 10년간의 정점 중 최고 수준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전국 210개 장관감염증 표본감시사업 참여 의료기관에서 신고된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환자 수는 작년 11월부터 지속해서 증가해 올해 4주 차* 기준 469명으로, 최근 10년간의 정점 중 최고 수준에 올랐습니다.
* 2025.1.19.~1.25.
특히, 올해 4주 차 전국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전체 환자 중 0~6세 영유아의 비중이 51.4퍼센트(%)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156명 |
216명 |
336명 |
228명 |
291명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353명 |
183명 |
226명 |
281명 |
428명 |
2025. 4주 469명 |
노로바이러스 감염증은 계절적으로 11월부터 다음 해 4월까지 자주 발생하는 감염병입니다.
주요 감염경로는 오염된 음식이나 물 섭취·직접적인 환자접촉·환자의 구토나 분변으로 오염된 환경과의 접촉 등이 있습니다.
[ 전국발생추이 ]
- 25년 2주차(1.5.~1.11.) ㅣ372명
- 25년 3주차(1.12.~1.18.) ㅣ390명
- 25년 4주차(1.19.~1.25.) ㅣ469명
- 25년 5주차(1.26.~2.1.) ㅣ347명
감염되면 12~48시간 안에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사람에 따라 복통, 오한, 발열이 나타나기도 하는데요.
고위험군인 65세 이상 고령자, 5세 미만 어린이, 면역저하자 등의 고위험군에서는 심각한 탈수 증상이 생길 수도 있어 예방이 중요합니다.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171명 |
115명 |
203명 |
296명 |
128명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84명 |
47명 |
38명 |
55명 |
104명 |
2025. 1주 132명 |
또한, 겨울철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증가 시기 이후부터 이듬해 봄철까지 유행하는 장관감염증으로 로타바이러스 감염증이 있습니다.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환자 수는 코로나19 이전 시기의 정점 대비 낮은 수준이나, 4주 차(1.19.~1.25.) 기준 지난해(2024년) 60명, 올해 123명으로, 105퍼센트(%)의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 전국발생추이 ]
- 25년 2주차(1.5.~1.11.)ㅣ131명
- 25년 3주차(1.12.~1.18.)ㅣ114명
- 25년 4주차(1.19.~1.25.)ㅣ123명
- 25년 5주차(1.26.~2.1.)ㅣ106명
※ 설 명절 연휴기간(1.25.~1.30.) 표본감시기관의 휴진 등으로 인한 감소 추정)
※ 4주차 기준 (’24년) 60명 → (‘25년) 123명으로 105% 증가
또한, 올해 같은 기간 0~6세 영유아 환자 비율은 40.7퍼센트(%)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로타바이러스 감염증은 노로바이러스 감염증과 주요 감염경로는 유사하고, 감염 시 24~72시간 안에 구토, 발열, 수양성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나 보통 4~6일 정도 유지됩니다.
특히, 기저귀나 장난감 등에 묻은 오염물로부터 손과 입을 통해 쉽게 전파되기 때문에 신생아실, 산후조리원, 어린이집 등에서 철저한 감염 예방 관리가 필요하며 추가 확산 방지를 위한 집단시설의 환경 관리가 중요합니다.
노로바이러스 함께 예방해요!
-장관감염증 예방수칙-
✅ 30초 이상 비누를 사용한 올바른 손 씻기 생활화
✅ 끓인 물 마시기 등 안전한 음식 섭취
✅ 식재료는 흐르는 물에 깨끗이 세척하고 섭씨 85도(℃) 이상에서 1분 이상 충분히 익히기
✅ 칼·도마는 소독해 사용하는 위생적인 음식 조리 수칙 지키기
장관감염증 환자 관리 방안
✅ 가정 내에서도 화장실을 비롯한 생활공간을 다른 가족과 분리해 생활
✅ 보육 시설, 학교 등 집단생활하는 경우는 증상 소실 후 48시간까지 등원, 등교 자제
✅ 화장실 사용 시 배변 후 물을 내릴 때 변기 뚜껑을 닫아 비말로 인한 바이러스 확산 차단
✅ 접촉한 표면, 배설물에 오염된 물품은 소독
감염에 취약한 어린이집, 키즈카페 등 영유아 관련 시설에서 예방수칙을 잘 지켜주시기를 바랍니다!
- #노로바이러스
- #노로바이러스예방
- #장관감염증
- #감염주의
- #위생관리
- #개인위생철저
- #식중독예방
- #바이러스감염
- #건강한습관
- #감염병주의보
- #전염병예방
- #공공위생
- #감염병예방수칙
- #노로바이러스증상
- #겨울철질병
- #학교위생
- #단체급식주의
- #식품안전
- #위생습관
- #전염주의
- #올바른손씻기
- #감염병예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