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일 전
자연과 도심이 함께 하는 정겨운 늘봄2길 '대화동 벽화마을'
자연과 도심이 함께 하는 정겨운 늘봄2길 '대화동 벽화마을'
대덕구 주민이 참여하여 함께 가꾸어 새로워진 공간들이 곳곳에 있습니다. 예술과 문화를 도심 속 골목길에서 만나볼 수 있는 공간으로 늘봄2길에는 다채로운 색감과 소재의 이야기를 만나볼 수 있습니다.
대덕구 자연과 도심이 함께 하는 늘봄2길 구간에는 정겨운 골목길을 다시금 볼 수 있는 예술을 주제로 한 길과 함께 걷는 길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이번에 소개해 드릴 공간은 늘봄2길을 따라서 예술을 감상해 볼 수 있는 길과 2024 대화동 도시재생 주민 공모 사업으로 이루어진 주민이 함께 만드는 골목 정원에 이어서 대화동 도심 속 등대입니다.
대화마을 벽화 거리 곳곳의 풍경으로 시선이 닿는 곳곳에는 다양한 조형 예술 작품이 거리를 메우고 있습니다. 골목 안을 들어서면 보이는 역동적인 조형물은 정겨움과 반가운 분위기가 전해집니다.
대화마을에서 볼 수 있는 벽화길은 공공미술 프로젝트로 우리 동네 미술 대화동 시시각각 예술로 봄의 결실을 마주해 볼 수 있습니다. 1990년을 추억하는 향수를 다시금 만날 수 있는 배경과 등장인물까지 인상 깊습니다.
파타일화와 그림의 조화로 자연과 마을의 어울림을 볼 수 있는 '대화의 숲' 작품은 무채색의 공간을 감상하고, 공감하게 되는 공간으로 다시 만날 수 있습니다.
골목의 단조롭고 밋밋한 공간이 입체적인 공간과 자연물이 공존하는 공간으로 다각적인 시각으로 즐겨 볼 수 있습니다.
대덕구 예술과 문화가 공존하는 테마 거리가 조성된 공간, 대화마을 골목 안에서 아기자기한 공간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골목 안 돔 형태의 정원 울타리 안으로 들어서면 네 면으로 정원이 조성되어 있고, 앉아서 쉴 수 있는 의자가 이루어져 있습니다.
멀리서 보니 '대화'로 이루어진 의자가 보이는데, 주민 공모 사업으로 이루어진 대화마을 의자의 의미가 소개되어 있습니다.
대화마을 의자는 골목 정원을 방문하는 주민들의 휴식 공간을 위해 대화동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일환인 주민 공모사 업으로 대화동 도시재생 주민협의체 거리 분과에서 제작하였습니다.
대화마을 골목 정원의 중앙에는 2024 대화동 골목 정원 도시재생 주민 공모 사업으로 '주민 가드너와 함께 만드는 골목 정원'의 뜻을 알아볼 수 있는 푯말과 내용도 알아볼 수 있었습니다.
대화마을 주민 가드너와 함께 가꾼 마을 골목 정원이라 더 의미 있게 다가왔습니다. 대화마을의 골목 정원 공간마다 주민 가드너의 손길을 볼 수 있었습니다.
꽃 이름과 꽃말로 꽃 감상을 하며 주민 가드너의 마음이 고스란히 전해지는 것 같았습니다.
나무로 이룬 조형물과 인테리어까지 정성스러운 솜씨뿐 아니라 정원의 볼거리를 제공합니다.
대화마을에 가면 볼 수 있는 주민이 가꾼 골목 정원 주민의 휴식을 위한 쉼의 공간으로 에티켓은 꼭 지켜주시기를 바라며, 계절에 따른 다양한 정원 풍경이 기대되는 공간입니다.
대덕구 대화마을에서 볼 수 있는 또 다른 공간, 등대 공원이 있습니다. 도심 속에서 만나는 등대를 테마로 한 공간은 계단을 오가며 마을 전체 정경을 마주해 볼 수 있는 것도 특징입니다.
도심 속 주민이 스트레칭하며 가볍게 운동할 수 있는 시설 및 조형물과 공간이 있습니다.
대화마을 놀이터 내 있는 문화 공간 및 시설 등 볼거리와 즐길 거리가 있는 대화마을 공간들을 소개해 드렸습니다. 대덕구 주민이 참여한 공간과 예술을 이룬 테마 공간이 있는 대화마을에서 따스함을 느끼셨으면 좋겠습니다.
- #대전
- #대덕구
- #대화마을
- #골목정원
- #정겨운골목길
- #대화동도시재생주민공모사업
- #벽화거리
- #예술과문화의테마거리
- #주민가드너
- #도심속등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