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제주도청입니다.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은

지난해 가을철(9~11월) 고온과 일조 부족으로 인한 저장양분이 감소로 📉

🍊 올해 노지 감귤 착화량양극화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에 농업기술원은 수세 상태에 따른 대응 방안을 수립하고

농가의 적극적인 실천을 당부했는데요. 👩‍🌾👨‍🌾

자세한 내용을 함께 확인해볼까요?


가을철 고온에 따른

노지감귤 생육전망 및 지도대책

🌤️ 2024년 9~12월 기상현황

평균기온 : ’24년 17.9℃ - 전년 1.0℃↑, 평년 1.9℃↑

강수량 : ’24년 562mm – 전년 284mm↑, 평년 130mm↑

일조시간 : ’24년 565시간 – 전년 108시간↓, 평년 74시간↓

🌱 2025년 노지감귤 생육전망

생리적 꽃눈분화(9~11월) 부족에 의한 착화 불량

* 2025년 노지감귤 꽃눈분화 조사 결과 : 40%(해안 35.0, 중산간 45.0)

* ’09∼’12년(서귀포센터) 평균 꽃눈 분화율 : 48.7%

가을철 고온 등 기상에 따른 저장양분 부족

- 봄순에서 바로 가을순이 발생, 가을철 꽃 발생 등

- 늦은 가을순 발생과 생장 지속(11월 상순*가을순발생 멈추는 온도 19℃)

⚠️ 예상되는 문제점

- 저장양분 부족으로 수세가 약화되면서 착화량 양극화 발생 예상

* 봄순 결과모지가 많은 나무 수세가 약해지면 과다 착화수 발생

- 꽃눈분화 부족에 따른 착화량 부족, 꽃 불량 등 수량과 품질에 영향

- 봄순 발생이 많고 녹화 지연시 생리낙과 조장

- 전년 여름·가을 비료 미 살포 과원 수체내 저장양분 부족으로 금년도 생리낙과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나무 상황에 따른 지도대책

수세저하로 과다착화 예상나무

- (전정방법) 4월 상순 이후 예비지 설정 위주 10%이내 약전정 실시

- (꽃충실) 발아~만개기 요소엽면시비 2~3회, 꽃비료 시용(요소 10kg/10a)

- (예비지재설정) 꽃 발생가지 이용 예비지 재설정

- (생리낙과 방지) 봄순 녹화 촉진 질산칼슘, 황산고토 엽면시비, 과번무 가지 제거

수세저하이면서 착화부족 예상나무

- (전정방법) 4월 상순 이후 예비지 설정 위주 10%이내 약전정 실시

- (수세회복) 발아~만개기 요소엽면시비 2~3회

- (광환경개선) 5월 하순~6월 상순 과번무 가지 제거

수세가 좋고 생육 양호 나무

- (전정방법) 광 환경 개선 도장지 제거, 예비지 설정 중심 실시

- (꽃 충실, 생리낙과방지)

· 엽면시비 : 요소, 질산칼슘(발아~만개기) 2~3회, 황산고토(6월 상순) 2회

· 꽃비료 시용(4월 중순, 요소 10kg/10a), 과번무 가지제거(6월 상순)

- (여름비료) 5월 하순~6월 상순 질소 4.6kg, 칼리 8.0kg 살포

🍊 노지 감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기상 요인들을 고려한

철저한 관리와 적시 대응이 중요합니다.

농업인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

문의

농업기술원

064-760-7514


사업에 대한 기타 세부 사항은

제주특별자치도청 홈페이지 공고문을 확인해주세요!

(제주특별자치도 홈페이지 > 도정소식 > 입법·고시·공고)

▼ 제주도청 누리집 바로가기 ▼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지속 가능한 감귤 재배 기술 개발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제주특별자치도 블로그 이웃 추가하기 ▼

{"title":"이상 기상으로 노지감귤 착화량 양극화 전망에 따른 대응 방안 수립","source":"https://blog.naver.com/happyjejudo/223824915322","blogName":"제주특별자..","domainIdOrBlogId":"happyjejudo","nicknameOrBlogId":"빛나는 제주","logNo":223824915322,"smartEditorVersion":4,"lineDisplay":true,"blogDisplay":true,"cafeDisplay":true,"m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