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박이물범 서식지 가로림만 ‘유네스코 세계유산’ 도전
충남도, 유네스코에 신청서 제출
내년 7월 세계유산위원회서 최종 판가름
등재 시 생태계 보전 관리·국가해양생태공원 조성 탄력 등 기대
안녕하세요.
충청남도 공식블로그 입니다.
민선8기 힘쎈충남이 천혜의 해양 생태 보고인
가로림만을 세계유산으로 올리기 위해
본격 나섰습니다.
내년 하반기 등재가 결정되면, 생태계 보전과 관리, 국제적인 관심 증대는 물론, 도가 중점 추진 중인 국가해양생태공원 조성 사업에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충남도는 서산 가로림만을 세계유산인
‘한국의 갯벌’ 2단계로 등재하기 위해
최근 국가유산청을 통해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 등재 신청서를 제출했습니다.
유네스코는 전 세계적으로
‘탁월한 보편적 가치(OUV)’를 가진 유산을
세계유산으로 지정해 보전하고 있습니다.
현재 국내 세계(자연)유산으로는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한국의 갯벌’ 이
등재돼 있는데요.
한국의 갯벌은 서천과 고창, 신안,
보성∼순천 갯벌 1284.11㎢ 규모이며,
등재 당시 제44차 세계유산위원회는
△2단계 확대·등재 △완충구역 확대
△통합 관리 체계 강화
△개발 활동 억제 등을 권고사항으로
내놓은 바 있습니다.
이에 따라 도는 이번에 서산 가로림만(64.67㎢)을 전남 여수·고흥·무안과 함께
한국의 갯벌 2단계 등재를 신청했습니다.
가로림만은 독특한 반폐쇄성 해양 환경과
넓은 갯벌을 보유한 지역으로,
생물 다양성 보전 측면에서 높은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특히 가로림만 동쪽에 위치한 서산 갯벌은
동아시아-대양주 철새 이동경로(EAAF) 상
중요 중간 기착지로, 1급 멸종위기 야생생물이자
국제자연보호연맹(IUCN) 멸종취약종(VU)인
노랑부리백로 5% 이상이
서식하는 세계 최대 서식지입니다.
흰발농게, 대추귀고둥 등 법정 보호종을 포함해
600여 종의 갯벌 생물이 서식하고 있으며,
멸종위기 야생생물이자 천연기념물인
점박이물범의 국내 유일
내륙 서식지로도 유명합니다.
한국의 갯벌 2단계 등재는 전문 심사 기구인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의 평가를 거쳐
내년 7월 열리는 제48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최종 결정됩니다.
도는 서산 가로림만이 세계유산으로 확대 등재되면 생물 다양성 보전과 지속가능한 관리가 용이해지고, 가로림만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 지역경제 활성화와 주민 참여를 통한
자연유산 보전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서산 가로림만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될 수 있도록
서산시, 국가유산청과 함께 협력해 나아가는 동시에 국제적인 네트워킹도 확대 구축하겠습니다.
가로림만 해양생태공원 조성은
서산시와 태안군 사이에
위치한 가로림만의 해양생태계를 체계적으로
보전·관리하고, 질서 있고 올바른 이용을 통해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사업입니다.
세계 5대 갯벌인 서남해안 갯벌에 속하며 국내 최초·최대 해양생물보호구역인 가로림만을 자연과 인간, 바다와 생명이 어우러진 명품 생태 공간으로 탈바꿈시킨다는 것이 도의 계획입니다.
도는 지난해 7월 김태흠 지사가 가로림만
국가해양생태공원과 관련한 ‘더 큰 계획’을 발표한
이후, 같은 해 12월 종합계획을 수립했습니다.
가로림만은 159.85km2의 면적에 해안선 길이는 162㎞, 갯벌 면적은 80km2에 달하며,
해역에는 4개 유인도서와
48개 무인도서가 있습니다.
#가로림만 #갯벌 #서해갯벌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신청 #충청남도 #충남 #충남도청 #충남방문의해 #충남생활 #충남정보
담당부서
문화유산과 문화유산보존팀
해양정책과 해양생태복원팀
041-635-2454
- #가로림만
- #갯벌
- #서해갯벌
- #유네스코
- #세계유산
- #등재신청
- #충청남도
- #충남
- #충남도청
- #충남방문의해
- #충남생활
- #충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