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일 전
봄철, 산악 안전사고 주의보 대응 총력
안녕하세요. 제주도청입니다.
따뜻해진 날씨로 한라산과 오름 등
탐방객이 증가로 봄철 산악 안전사고에
주의보를 발령하고 빈틈없는 안전관리에
총력에 나서는데요.
안전한 산행을 위한 안전수칙과 대응요령 자세히 알아볼까요?
날씨가 풀리면서 산이나 오름을 찾는 분들이 늘었는데요.
최근 5년간 (2020~2024년) 도내 산악사고가 2,1707건
그중에서도 봄철에만 41.8%(880건)으로 가장 높고
특히, 주말(토.일요일) 사고 비율이 34.1%
낮 12시부터 오후3시 사이에 40%(844건)의 사고가 발행해요
🏕️ 사고 원인별
조난으로 인한 산악 안전사고가 전체의 52.5%(1.107건) 가장많음
실족 · 추락 13.4%(282건), 개인질환 10.5%(222건), 탈진·탈수가 3.5%(73건)
🏕️ 사고 지역별
오름이 많이 분포된 동부 읍·면지역 가장많이 발생 4.9%(924건)
🏕️ 산악사고 다발지역
의용소방대와 합동으로 산악안전지킴이 배치
통계기반 위험지역 발굴과 안전시설 점검 ·보강 등 사고예방 안전환경 조성
소방헬기 및 드론, 인명구조견 활용 지역 맞춤형 특별구조훈련
🏕️ 산악사고 우려지역
인식훈련 실시해 구조역량 강화
민간단체 및 유과기관 전문인력 확보로 신속하고 대응에 협업체계강화
🏕️ 산악 안전사고 예방
🔺 산행전 날씨, 등산로, 코스 난이도, 소요시간 등을 미리 알아둘것,
🔺 산행은 가급적 아침일찍 시간, 해지기 한두 시간전에 마칠 것
🔺 2인 이상 등산하되, 일행중 가장 약한 사람을 기분으로 산행
*나이, 건강등을 고려하지 않은 과시성 산행 자제
🔺 배낭무게는 가급적 가볍게 하고 기상이변 등을 대비한 비상식량, 랜턴, 우의 , 예비 배터리, 상비약, 보온물품 준비할 것
🔺등산화는 발에 잘 맞고 통기성과 방수능력이 좋은 것을 착용
🔺 산행 중에는 한거번에 너무 많이 먹지말고 조금씩 자주 섭취
🔺 길을 잘못 들었다고 판단되면 당황하지 말고 알고 있는 지나온 위치까지 되돌아가서 확인할 것
🔺산행 중 일을 잃었을 때는 계곡을 피하고 능선으로 올라갈 것
🔺썩은 나뭇가지, 풀, 불안정한 바위를 손잡이로 사용하지 말 것
*미끄러운 돌, 젖은 낙엽 밟지않도록 유의
🔺셀카 등 사진 활영 시에는 반드시 안전을 확보한 후 촬영할 것
🔺산행 중 음주는 피로도 증가시키고 판단력을 흐리게 하므로 절대 금지
🏕️ 산악 사고시 행동요령
🔺산행 중 조난(부상)시 신속히 119로 도움을 요청
- 산악위치표지판 등에 적힌 국가지점번호 이용 119신고
🔺우천 시 계곡산행을 피하고 계곡물이 불어나 급류로 바뀐 때에는 절대 건너지 않기
🔺약천 후등 산행을 계속하기 어려운 경우 구조요청 후 체온·체력 유지하며
구조를 기다리는 게 안전 *섣불리 움직이면 체력 소모
🏕️ 응급조치방법
🔺가슴통증·호흡고란 등 급성질환 시-
-등산 중 극심한 가슴통증 발생(심장혈관의 이상 가능성) 시에는 즉시 편안한 자세로 휴식을 취하고 구조요청
-호흡곤란 증세 시 안정을 취하며 호흡을 깊게 천천히 하고 호전되지 않을경우 즉시 도움요청
🔺뼈가 부러지는 골절
손상 부위를 차갑게 유지하고 부목 고정필요
*나뭇가지나 두꺼운 종이 등을 사용하여 옷가지 등으로 묶으면 부목 대용 가능
-골절 부위 출혈 시 직접 압박으로 지혈하고 부목 고정
-뼈가 외부로 노출된 골절(개방성골절)의 경우 뼈를 억지로 안으로 밀어 넣지 말고
뼈가 안으로 들어간 경우라면 신속하게 의료진에게 알려야함
- 개방성골절은 노출 부위로 감염 우려가 있어 환부를 개끗한 수건등으로 덮고
부목으로 고정한 후 신속히 병원 진료
🔺열상(찢어져서 생긴 상처)
-정확한 부위를 확인한 후 깨끗한 수건등으로 덮고 손으로 눌러 지혈
*특히 머리 부위열상은 상처부위가 작더라도 심한 출혈 발생
🔺머리손상
-머리를 다쳐 토하거나 두통을 호소한다면 신속한 병원 진료후 검사 필요
🔺탈진
-탈진 방지를 위해서는 등산 중 조금씩 물을 마시고 쉬는 시간 탄수화물 섭취
-그늘에 편한 자세로 눕고 몸을 조이는 옷과 허리띠, 등산화를 느슨하게 풀어줘야 함
🔺저체온증
(*체온이 35도 이하로 내려간 상태)
-겨울철 뿐 아니라 땀 등으로 옷이 젖은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발생 가능
-체온 저하시 옷이나 담요등으로 덮어 보온하고 따뜻한 물을 마시며
-피부를 강하게 문질러 혈액순환이 되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무엇보다 빨리 도움을 요청하여 따뜻한 곳으로 이동
산은 우리에게 쉼과 위로를 주는 고마운 존재지만,
순간의 방심이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도 잊지 마셔야 합니다.
즐거운 산행, 안전하게 마무리하실 수 있도록
🚨 출발 전 안전수칙 한 번 더 확인, 꼭 부탁드릴게요!
문 의
소방정책과
064-710-3560
봄철 산행인구가 늘어나면서 산악사고 발행위험성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봄철 산악 안전사고 주의보 발령!
안전수칙 및 대응요령을 철저히 준수하여
사고 예방에 최선을 다하여 주세요.
▼ 제주특별자치도 블로그 이웃 추가하기 ▼
- #제주
- #산악
- #안전사고
- #주의보
- #대응요령
- #봄철산악주의보
- #안전
- #사전준비
- #사고대응
- #산악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