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일 전
[기회기자단] 신선한 로컬푸드로 건강한 식탁을! 경기도 먹거리광장을 소개합니다!
[윤지원 기자]
경기도 먹거리광장 요리 교실 체험기
로컬푸드, 왜 중요할까요?
우리가 매일 먹는 음식이 어디에서 오는지
한 번 생각해 본 적 있나요? 먼 나라에서 배로,
비행기로, 트럭으로 오랜 시간을 거쳐 도착하는
음식들은 보존제를 사용하거나 영양소가
손실될 수 있어요.
하지만 로컬푸드(Local Food)는 달라요!
◈ 신선함 100% - 가까운 곳에서 재배된 식재료라 더욱 신선하고 맛있어요. ◈ 건강한 먹거리 - 화학 보존제 사용이 적고, 친환경 재배 방식이 많아요. ◈ 환경 보호 - 운송 거리가 짧아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어요. ◈ 지역 경제 활성화 - 우리 지역 농부들의 소득을 높이고, 지역 경제를 살립니다. |
이런 로컬푸드를 한자리에서 만나고, 체험하고,
요리까지 할 수 있는 곳이 있어요!
바로 경기도 먹거리광장입니다.
경기도 먹거리광장,
어떤 곳인가요?
경기상상캠퍼스(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둔로 166)
내에 위치한 경기도 먹거리광장은 단순한
직매장이 아닙니다.
이곳은 지역 먹거리 문화를 체험하고,
공유하는 공간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실내에는 공유 주방, 세미나실, 공유 카페 등이
있고 실외에는 2종류의 텃밭(경관, 경기) 등이
있다고 해요!
도시와 농촌을 연결하는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
로컬푸드의 가치와 지속 가능성을 알리는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어요.
신선한 로컬푸드로 만든
피자와 딸기에이드
지난 3월 19일, 경기도 기회기자단 초청 시연회에
모인 기자들과 함께 경기도 먹거리광장
쿠킹 클래스에 참가해 직접 요리를 체험했습니다.
이날의 메뉴는 바로 로컬푸드로 만든
‘봄봄 피자’와 ‘봄 딸기 에이드’였습니다.
로컬푸드로 만든 봄봄 피자는 토마토, 피망, 버섯,
양파, 바질 등 신선한 지역 농산물 활용하여
화학 첨가물 없이 순수한 재료만으로 만드는
건강한 피자이고, 달콤 상큼한 봄 딸기 에이드는
경기도 ‘농어업소득 333 프로젝트’에 참여 중인
농가에서 수확한 딸기로 직접 만든 건강한 음료예요.
기자가 체험하면서 느낀 건,
시중에서 파는 피자보다 직접 만든 요리가
훨씬 맛있고 건강에도 좋다는 거였어요.
딸기 에이드는 인공 감미료 없이도 정말 달콤했어요.
먹거리광장에서
한 끼의 감사함을 느끼다
이날 행사에 함께 참여한
허승범 경기도 기획조정실장은
“먹거리광장은 급변하는 기후 변화 속에서
먹거리의 소중함을 알리고, 로컬푸드의 가치를
재발견하는 매우 중요한 공간이다”라고 소개했어요.
그 말처럼, 기후 변화로 생물 다양성이 무너지고
우리의 식탁이 위협받는 요즘, 우리가 지역에서
재배한 다양한 식재료를 소비하는 것만으로도
생물 다양성을 지키는 일이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또한 야외 텃밭에서 직접 키운 농작물로
요리를 해보는 체험도 가능하니, 우리 먹거리에
대한 관심도 높이고, 환경과 건강을 생각하는
교육의 기회가 될 거예요!
로컬푸드 직매장에서의
특별한 쇼핑 경험
쿠킹 클래스를 체험한 후,
기자가 거주하는 지역의 로컬푸드 직매장을
직접 방문해 보았어요. 신선한 채소와 과일이
가득했고 대형 마트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품질이 훨씬 뛰어났고, 지역 농부들이
직접 재배한 제품이라 믿고 먹을 수 있었어요.
쿠킹 클래스에서 만들어 온 피자는
확실히 신선한 재료 덕분에 맛이 더욱 깊었고,
가족들도 만족스러워했습니다.
로컬푸드를 이용하면 좋은 점!
◈ 재료 본연의 맛이 살아있음
◈ 불필요한 포장 없이 환경을 보호
◈ 우리 농부들을 직접 지원하는 착한 소비
로컬푸드를 선택하는 것이
곧 건강한 미래입니다!
로컬푸드는 단순히 신선한 먹거리를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지속 가능한 환경을 위한
선택이기도 합니다. 먹거리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발자국(Carbon Footprint)을
줄이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힘이
있기 때문이죠! 이번 봄, 로컬푸드로
건강한 한 끼를 만들어보는 시간, 어떠세요?
경기도 먹거리광장
○ 위치: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둔로 166, 경기상상캠퍼스 내
○ 참여 방법: 공식 SNS 및 홈페이지에서 신청 가능
- #경기도먹거리광장
- #로컬푸드
- #요리교실
- #경기상상캠퍼스
- #농어업소득333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