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시간 전
뜨거웠던 열기의 과학체험 현장 ‘2025 대한민국 과학기술축제(SCIENCE FESTIVAL)’ 들여다보기
여름인가 할 정도로 뜨거웠던 날씨만큼 대전에서는 4월 16일부터 진행된 ‘2025 대한민국 과학기술축제’가 성황리에 4월 20일 마무리 됐습니다. 대중들의 ‘과학적 호기심’이 이곳 대전 대한민국 과학기술축제에서 어떻게 깨어날 수 있는지 축제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그럼 같이 한번 들여다 보실까요?
올해 열린 대한민국 과학기술축제는 과학기술문화 체험 중심의 ‘대한민국 과학축제’와 국가전략기술 분야 연구성과 전시 중심의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 과학과 지역· 엔터를 융합한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등 3개 행사가 통합 개최되었습니다. 커진 규모만큼 행사 장소도 달라서 하루에 다 둘러보기 어려웠는데요. 어느 장소에서 내가 관심 있는 분야의 행사가 진행되는지 숙지하고 참여한다면 더욱 알차고 다양한 축제를 즐길 수 있습니다.
행사 장소는 대전엑스포시민광장 및 엑스포 과학공원, 대전컨벤션센터(DCC) 제1,2전시장 등 도심 일원에서 진행되었습니다.
평일 오후 1시 정도에 축제장을 방문하니 다소 여유로운 모습이었습니다. 그래서 축제장 이곳저곳을 좀 더 편하게 둘러볼 수 있었는데요, 곧 3시 이후가 되니 학교나 기관에서 단체로 방문하거나 하교한 학생들이 부모님과 함께 와서 축제장은 금세 분주해졌습니다. 일찍 축제장을 찾았지만 인기 있는 체험 프로그램은 이미 사전예약이 마감이 되니 꼭 체험해 보고 싶은 프로그램이 있다면 내년에는 조금 더 욕심내어 서두르셔야겠습니다.
제일 처음 마주한 곳은 엑스포시민광장 메인 무대인 공연장에서 과학 퍼포밍의 <사이언스 퍼포먼스I>이라는 주제로 과학 퍼포머(이영우마술사)와 함께 마술 속에 숨겨진 과학 원리를 탐구하는 공연으로, 앵무새를 매개체로 한 마술쇼였습니다. 이 시간 이후로도 ‘과학기술 샌드아트’ 관객 체험형 ‘과학마술 콘서트’가 공연되었습니다. 엑스포시민광장 공연장을 지나면 여러 기관이 참여한 과학문화체험부스가 운영되고 있었습니다.
출연연, 과기원의 우수 과학기술 연구성과 기반 체험 프로그램 및 과학관, 창의 재단 우수 과학문화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
국가수리과학연구소에서 진행되는 방 탈출 게임이 인기가 많아 보였는데요. 학생들뿐 아니라 직접 부모님들이나 성인들도 참여해 다른 곳보다 긴 줄이었습니다. '화산 폭발에서 빠른 시간 안에 탈출해서 예술품을 구출'이라는 상당히 호기심을 자극하는 문구가 보이네요.
한국기계연구원(KIMM)에서는 'K-Machine-KIMM' 놀면서 배우는 에디의 로봇 연구소 부스를 초등학생 대상으로 운영 중 이였는데 역시나 로봇을 좋아하는 우리 초등학생들에게 인기가 얼마나 많은지 시간대가 일찍 마감되었습니다. 내년에는 로봇을 좋아하는 부모님들은 아이들과 서둘러 가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체험부스에서는 또 한 가지 시선을 끄는 부분이 있었는데요. 바로 기관들의 캐릭터였습니다. 너무 귀여운 모습을 하고 있어서 같이 사진을 찍으며 시민들과 더욱더 친근하게 소통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한국한의학연구원의 ‘알아두면 쓸모 있는 한의과학’,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의 ‘KBSI와 함께 떠나요! 신기한 나노 버스’
저는 한국화학연구원에서 체험하는 ‘케미와 함께하는 원소로 이루 어진 세상’을 보고 왔는데요. 현미경으로 보는 원소의 모양들이 우리가 실제 생활에서 보는 해변, 유명 화가의 그림 등과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어렵게만 느껴지는 과학을 일상과 접목하여 재미있게 찾아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과학창의재단/기업/단체 프로그램은 과학 문화에 참여하고 있는 민간 주체(대기업/에듀테크 기업/단체 등)의 특별한 전시/체험 프로그램을 운영 중에 있었습니다. 그 중 한 곳인 한국사이언스올[과학창의재단]에서 디로&라노의 퀴즈 실험실 체험을 해보았습니다. 문제를 맞추면 사은품도 준다고 해서 열심히 풀어보았는데요. 답을 찾기 위해 지문을 읽어봐야 하기때문에 몰랐던 과학상식을 퀴즈로 통해 체험해 보는 재미있는 시간이었습니다. 문제를 다 맞추면 1등부터 5등까지 다양한 사은품도 있었는데 아쉽게도 4등. 내년에는 1등에 도전해 봐야겠습니다.
팹브로스제작소&서울시립과학관[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진행하는 '멀리빨리 : 제작 미니카 레이싱'
아이들이 만든 멋진 카를 기다리는 레일, 어떤 자동차가 일등 할지 궁금해졌습니다.
아이들은 열심히 자동차 만들기에 집중하는 모습 이였는데요. 다들 멋지고 개성 있는 자동차를 만들고 있는 모습이 멋진 미래의 과학자들 같았습니다.
호기심방송국은 엑스포 시민광장 내 에어돔 에서 진행되었는데 가장 이목을 집중 시키는 곳이었습니다.
호기심방송국[대한민국 과학기술축제 주제관] 에서는 과학기술축제 확산을 위한 통합 방송국을 운영되는 곳으로 과학 유튜버, 과학기술인(연구자)이 함께하는 유튜브 라이브(ON-Air)가 전국으로 송출됩니다.
가람기획에서 주최하는 이동형 AR버스 ‘의자가 움직여요!’
저도 직접 체험해 보았는데요. AR 안경을 끼고 의자에 앉아서 체험해 보았습니다. 바닷속 탐험을 하며 다양한 생물들을 만나고 깊은 바닷속을 스릴 있게 의자가 함께 움직여 정말 바닷속 깊은 곳으로 빠지는 느낌이 들어 살짝 어지럽기도 했습니다. 함께 체험한 다른 시민들도 계속 ‘재밌다’ 하시며 즐거워하는 모습들이었습니다. 저 또한 너무 신나는 경험을 하고 왔네요. 이 체험은 사전예약이 아닌 현장에서 줄을 서서 하는 체험이기 때문에 쉽게 참여가 가능했습니다.
엑스포 시민광장에는 초/중/고등학교, 과학동아리에서 과학을 테마로 자체 개발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체험 부스도 마련되어 있었는데요. 전국 초/중/고등학교 총 15개교가 참여했습니다.
한 고등학교의 체험부스에서 진행된 ‘물과 전기분해를 이용한 수소 로켓 만들기’. 너무 흥미로워 지나다는 길에 멈추어 서서 학생과 함께 선생님의 설명을 열심히 들으며 실험하는 것을 지켜보았습니다. 작은 수소 기체가 보여서 큰 힘을 발휘하는 것을 보고 수고 기체의 양이 더 많아 지면 어떠한 현상이 벌어질지 상상이 되었습니다.
[과문현답] 각 분야를 선도하는 과학기술인들이 과학 및 미래에 대한 생각을 공유할 수 있는 질문을 제공하여 소통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주요 콘텐츠는 현직 과학자들의 12대 국가전략기술 분야에 대한 특정 질문 제공 및 답변서 작성입니다.
[사이언스 피크닉] 과학을 테마로 한 특별 휴게 공간을 조성하여 보드게임 및 피크닉 세트 대여 서비스를 운영했습니다. 엑스포 시민 광장과 엑스포다리 사이 시민 잔디광장에서 이루어 졌는데요. 잔디밭에 푹신한 의자와 함께 쉼터가 제공되었습니다. 잠시 이곳에 앉아서 쉼을 가질 수 있어서 시민들이 편하게 이용하였습니다.
대전의 마스코트인 귀여운 꿈씨패밀리가 세워져 있어 즐겁게 사진 찍는 시민들도 보였습니다.
‘아이들의 꿈을 우주로’라는 주제로 한 당선작들이 전시되어 있는데 학생들의 실력이라고 믿기지 않을 정도의 전시작들이 많이 보였습니다.
잔디 광장의 쉼터를 지나 엑스포다리를 건너면 엑스포과학공원에서는 ‘호기심테마파크[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가 펼쳐졌습니다. 이곳에서는 즐길 거리와 먹거리들이 기다리고 있었는데요, 말 그대로 좀 더 편안한 마음으로 맛있는 음식도 먹고 공연도 즐길 수 있었습니다.
사이언스 피크닉 스테이지 (운영장소 : 엑스포과학공원 특별무대)에서는 2025 대전사이언스 페스티벌 특설 무대와 주/야간 관람 티켓에 맞는 무대 프로그램이 운영되었습니다.
한빛탑 물빛광장에도 인조잔디 및 부스를 설치하여 가족 나들이 피크닉 존을 조성되어 있었습니다.
[D-FOOD 유니버스존(엑스포과학공원)] 대전의 맛집(10개 업체)과 대전 소재 푸드트럭(15대 운영)을 마련하여 관광객에게 특별한 대전의 맛을 선사하였는데요. 맛있는 음식을 담아 피크닉존에서 드시면서 즐거운 공연도 함께 관람하면서 더 즐거운 축제를 즐기실 수 있었습니다.
한밭수목원 서원 잔디광장 일대에서는 ‘문학정원 with 사이언스’가 준비되었는데요. 대한민국과학축제와 함께하는 야외 문학관 조성 및 문학 콘서트, 체험 프로그램 운영, 지역 거리예술가와 함께하는 문화예술 공연 등이 진행되었습니다.
저는 엑스포시민광장과 엑스포과학공원에서 진행되는 체험들을 경험해 보았는데요. 대전컨벤션센터(DCC) 제1, 2전시장과 대전 도심 일원에서도 다양한 과학 프로그램들을 보고, 체험하고 즐길 수 있었습니다. 올해에 어떤 다양한 과학기술축제가 진행되었는지 참고하시어 내년 ‘2026 대한민국 과학기술축제’ 홈페이지에 미리 방문해 일정을 둘러보고 가신다면 축제를 조금 더 편리하고 꼼꼼하게 둘러보실 수 있으실 것입니다.
2025. 4. 16.(수)부터 4.20.(일) 까지 4일간 진행된 ‘2025 대한민국 과학기술축제’로 대중들의 과학적 호기심이 조금 더 커지고 향상된 축제의 장이었습니다. 내년에도 우리 또 가볼까요!
- #대한민국과학기술축제
- #과학기술축제
-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 #사이언스페스티벌
- #대전축제
- #호기심방송국
- #호기심발전소
- #호기심테마파크
- #호기심연구소
- #대전광역시
- #대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