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은 광복 80주년이 되는 해이자

1919년 삼일운동이 일어난 지 106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오늘은 106주년 삼일절의 의미가 더 뜻깊게 다가오는 곳으로

홍성에 있는 만해 한용운선생생가지 소개해 드려요.

홍성은 예로부터 나라를 지키기 위한 의병 활동이 활발히 일어났고

일제강점기에도 수많은 독립운동가를 배출하며

항일운동의 중심지 역할을 해온 항일의병의 도시입니다.

청산리 전투를 승리로 이끈 대한독립군 사령관 백야 김좌진 장군,

독립선언서의 ‘공약 3장’을 추가하는 등

주동적인 역할로 독립운동을 이끈 만해 한용운 선생님이 홍성 분입니다.

만해 한용운 생가지는 선생님이 태어나신 생가 터와 사당 만해사,

민족시비공원, 만해 문학체험관을 관람하실 수 있습니다.

관람 순서는 만해 문학체험관에서 선생님에 대해 돌아본 후 생가지, 사당에 방문하면 됩니다.

만해 한용운 생가지 관람 안내해 드려요.

관람시간: (3월~10월) 평일 09:00~17:00/토·일·공휴일 10:00~17:00

(11월~2월) 평일 09:00~17:00/토·일·공휴일 10:00~17:00입니다.

휴관일은 1월 1일(신정), 설날, 추석 당일, 매주 월요일

만해 한용운선생생가지는 홍성군 문화관광해설사가 상주하는 곳입니다.

혼자 관람하시기보다는 문화관광해설을 함께하면

만해 한용운 선생님의 애국 애족하는 마음이 더 크게 다가올 것 같습니다.

만해문학체험관에서는 만해 한용운 선생님의 애국·애족·애민 정신을 기리고자

설립된 곳으로 자료를 통해 선생님의 삶을 이해하고

선생님의 독립 정신과 애국정신을 배울 수 있는 곳입니다.

만해 한용운 선생님은 1879년 8월 29일 결성면 성곡리에서 출생한 독립운동가이자

시인으로 본관은 청주(淸州), 본명은 정옥(貞玉), 아명은 유천(裕天)입니다.

1905년 백담사에서 출가하였고 1919년 3.1 운동을 주도하여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 참여하여

독립선언서의 자구 수정을 하고 공약 3장을 첨가하였습니다.

조국 독립을 위해 헌신하셨으나 8.15 광복을 맞이하기 약 1년 전인

1944년에 향년 66세의 나이로 입적하셨습니다.

어릴 때부터 총명한 만해 한용운 선생은 6세 향리의 사숙에서 한문을 배웠고,

9세 <서상기>, <통감>, <서경>을 독파하는 등 주변에서 신동이라는 들었고

16세부터는 스승의 추천으로 서당에서 아이들을 가르쳤다고 합니다.

불교유신론, 불교대전을 통해 불교 대중화의 길을 개척하시기도 했습니다.

3·1운동으로 3년 옥고를 치르고 나와 성북동 골짜기 셋방에서

어려운 생활을 하고 있던 만해 한용운 선생님은 주변 지인의 도움으로

땅을 사서 집을 지었는데 이 집이 심우장입니다.

이 심우장의 뜻은 선종(禪宗)의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는 과정을

잃어버린 소를 찾는 것에 비유한 열 가지 수행 단계 중 하나인

'자기의 본성인 소를 찾는다'는 심우(尋牛)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합니다.

만해문학관을 나와서 만해 한용운선생생가지를 방문해 봤습니다.

생가지는 본래 작은 마을이었으나 문학관을 짓기 위해

군에서 마을 전체의 땅을 매입해서 재현한 곳입니다.

공원에는 복원된 생가, 체험장, 시비공원, 사당이 있습니다.

만해 한용운 선생님은 홍성에서 태어나 조선의 광복을 위해

애쓰다 돌아가신 독립운동가 중 한 분으로

삼일 만세운동을 이끈 민족대표 33인 중 한 분입니다.

공원 한복판에는 일본의 탄압에도 포기하지 않고 빼앗긴 나라를 다시 찾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던 민족대표 33인의 얼굴과 조선독립선언서가 새겨져 있습니다.

조선의 독립을 세계만방에 알리기 위해 작성된 '조선독립선언서' 꼭 읽어 보세요.

복원된 생가는 농촌의 작은 시골 초가집을 그대로 옮겨놓은 듯 편안함이 있어서 좋았어요.

마루에 앉아서 듣는 해설사님의 해설에 어린이들의 표정이 진지해서 잘 왔구나 생각이 들었습니다.

만해 한용운선생생가지에서 가장 중요한 사당인 만해사입니다.

사당에 들어서면 만해 한용운 선생님의

위패와 영정이 모셔져 있으니 묵념하시고 돌아보시면 됩니다.

홍성 만해 한용운선생생가지는 아직 쌀쌀한 날씨 탓에 찾는 분들이 많지 않아

한산한 모습이었는데 앞으로 많은 분들이 찾는 여행지가 됐으면 좋겠습니다.

홍성 가족여행 계획 중이라면 꼭 방문하셔서 선열들의 숭고한 희생정신과

3·1운동 정신의 의미를 이해하는 시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title":"아이와 가볼 만한 곳 만해 한용운선생생가지","source":"https://blog.naver.com/hsgstory/223810270732","blogName":"함께하는 ..","domainIdOrBlogId":"hsgstory","nicknameOrBlogId":"홍성이야기","logNo":223810270732,"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