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한강의 장편소설인 『작별하지 않는다』를 읽으며

상처를 안고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가 하는 생각에

오래도록 마음이 무거웠습니다.

제주 4. 3 사건을 다룬 책인 현기영 작가의『순이삼촌』,

정지아 작가의 『아버지의 해방일지』와는 다른 시각에서 쓴 책이었는데

작가의 깊이 있는 이야기에 매료되었지요.

작가는 이 소설을 ‘지극한 사랑에 대한 소설’이기를 바란고 말했어요.

가슴을 후비는 듯한 문체에 빠져들면서 때로는 담담하게 읽히는 문장도 좋았습니다.

(소설 줄거리의 일부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주인공인 경하와 인선과 정심이 겪어가는 삶과 죽음, 눈보라, 약속…….

제주의 아름다운 풍경 속에 감추어진 아픈 역사를 들여다보면서

이 세상에 작별은 없다는 생각을 여러 번 했습니다.

마음속에서 남아 있는 한 작별하지 않은 것이 아닐까요.

인선과 경하가 진실을 마주하고 고통스러워해야 했던 시간들이 뼛속을 울립니다.

더구나 인선의 엄마인 정심이 겪어내야 했던 고통을 어찌 말로 표현할 수 있을 있을까요.

치매에 걸린 정심은 현재의 기억은 남아있지 않고 그 당시의 상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눈雪, 앵무새, 바닷물에 쓸려가는 뼈들, 수 백 그루의 나무들,

눈보라 속에서 산비탈을 넘어가는 버스…….

소설의 소재들을 머릿속에서 그려가면서

하나하나의 영상이 빼곡하게 마음을 채워 나갔어요.

소설 속에서 앵무새 ‘아마’를 살리기 위해 죽을 힘을 다하여

어두운 눈보라 속을 헤치고 나가는 경하의 모습이 오래도록 기억에 남습니다.

결국 죽을 수밖에 없었던 앵무새 아마, 아마가 연결고리가 되어 소설의 흡입력은 깊어집니다.

역사를 제대로 인식하고 이해하기란 쉽지 않지만 제대로 아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검은 나무가 상징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인선이 검은 나무를 심는 프로젝트를 하려고 한 것은 죽은 자들을 위로하는 의미가 아닐까요?

작별하지 않는, 아니 작별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추모하는 그녀의 마음이 투영된 것이겠지요.

작가 특유의 유려한 문체와 속도감 있게 이야기를 끌어나가는 힘은 놀랍습니다.

제주의 사투리를 소리 내어 읽으며 잔잔한 미소를 짓기도 했는데,

많은 사투리 중에서 ‘속솜허라’는 말하지 말라, 조용하라,

쉿을 뜻하는 말인데 소리 내어 말 할수록 그 의미가 크게 다가왔습니다.

작가가 한 편의 소설을 쓰기 위해 들였을 시간과 노력을, 우리들은 짐작하기도 어렵겠지요.

이번 작품으로 받은 프랑스의 메디치 문학상 수상은 우리나라 문학의 위상을 더욱 높여 주었을 것입니다.

이제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되었지요.

더위를 잊는 방법 중 하나는 독서가 아닐까요.

이야기 속으로 몰입하다보면 더위는 저만치 물러날 듯 합니다.

감동적이고 재미있는 소설을 읽고 싶은 분들께 『작별하는 않는다』를 권해봅니다.

<사진, 글 : 서대문구 블로그 서포터즈 '유지희'>

{"title":"[책 읽는 서대문]꿈처럼 스며오는 지극한 사랑의 기억, 『작별하지 않는다』","source":"https://blog.naver.com/sdmstory/223491680356","blogName":"서대문구청..","blogId":"sdmstory","domainIdOrBlogId":"sdmstory","nicknameOrBlogId":"서대문 소통창구","logNo":223491680356,"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