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암탄광역사촌을 걷는다.

바람이 찬데, 햇살은 묘하게 따뜻하다.

어깨를 조금 웅크린 채,

천천히 발을 내딛는다.

이곳은 한때 철암시장이 있던 자리다.

장날이면 사람들로 붐볐을 장터,

그 왁자지껄한 풍경이

지금은 고요한 공기 속에

고스란히 잠들어 있다.

골목길을 따라 늘어선 작은 가게들.

카페도 있고, 식당도 있다.

하나하나 정겹고,

리모델링된 간판들에는

광부의 흔적이 묻어 있다.

‘탄광역사촌’이라는 이름이

이 거리의 정체성을 말해주고 있었다.

오래전 광부들이 걸었을 길,

아이들이 뛰놀았을 골목,

누군가는 이곳에서 사랑을 시작했을 테지.

조금 더 걸어 들어가자,

‘젊음의 양지, 단란주점’이라는

간판이 눈에 띈다.

지금은 굳게 닫혀 있지만,

그 시절의 웃음소리, 술잔 부딪히던 소리,

혀 꼬부라진 술타령

어디선가 들려오는 것만 같다.

폐광 열차가 멈춰 있다.

바퀴엔 녹이 슬고,

철제 상자는 아무 말도 하지 않는다.

하지만 어쩐지,

그날의 노동과 삶이

그 안에 담겨 있는 듯했다.

낡은 창틀과 페인트가 벗겨진 벽,

깨진 유리와 뒤틀린 목재들이

이 거리의 시간을 말해준다.

시간이 멈춘 듯.

낡은 나무 계단 앞에서 한참을 서 있었다.

한 벽면에는 조형물이 있다.

광부의 헬멧을 쓴 사람들.

허리를 굽히고, 곡괭이를 들고,

석탄을 캐고 있다.

장성 광업소, 강원 탄광,

함태 탄광, 한보 탄광...

탄광 이름이 낯설지 않다.

지금을 어느 곳 하나 남아 있질 않다.

한 아주머니가

지팡이를 짚고 거리를 걷는다.

등은 굽었고, 발걸음은 느리다.

뒷 모습에 골목의 시간이 배어 난다.

하천변 필로티 주택.

전형적인 탄광촌 모습이다.

황금빛 동상 하나가

아이를 업고 손을 흔들고 있다.

"여보, 조심히 다녀오세요.

오늘도 무사히, 꼭 살아서 돌아와요~"

어릴 적 우리 엄마를 보는 것만 같아

코 끝이 시큰해진다.

그렇게 한바퀴를 돌고

노란 찹쌀 꽈배기 박스를 발견했다.

달큰한 냄새가 퍼지고,

바삭한 튀김 옷 사이로 설탕이 반짝인다.

그 순간, 마음이 조금 풀린다.

한입 베어 물자

입 안 가득 어릴 적 장터의 풍경이 퍼진다.

기억도, 맛도, 사람도

이 거리에는 그대로 남아 있었다.

철암은 그대로다.

시간이 지나도, 기억이 옅어져도

이 길 위엔 여전히 사람들이 걷는다.

걷는다는 건, 잊지 않겠다는 마음이니까.

그렇게 철암 쇠바우골을 걸었다.

☎ 문의

033-582-8070

⏰ 운영시간

매일 10:00 ~ 17:00

※ 매월 1, 3째주 월요일 휴관


✅ 본 게시글은

태백시 SNS 기자단이 직접 작성한 글로

태백시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블로그/ 카페로 스크랩을 원하실 경우

링크와 출처를 표기해 주시기 바랍니다.

{"title":"'철암탄광역사촌'에는 기억이 산다","source":"https://blog.naver.com/taebaek_city/223832429096","blogName":"태백시","domainIdOrBlogId":"taebaek_city","nicknameOrBlogId":"태백시","logNo":223832429096,"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fals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