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제주도청입니다.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

노지 감귤 착화량 양극화 전망에 따라

25일부터 ‘2025년 산 노지감귤 생산예상량’ 산정을위한

제1차 관측조사를 시작한다고 합니다.

도내 노지감귤 재배포장 320개소를 대상으로 한 이번 조사 실시후

IoT장비 등 활용 관측 자동화체계 도입도 검토한다고 합니다.

자세한 내용을 함께 확인해볼까요?


2025년산 노지감귤 생산예상량

관측조사 실시

(4.25일부터 1차)

제주특별자치도 감귤생산 및 유통에 관한 조례 제5조 및 시행규칙 제2조

추진 개요🔍

노지감귤의 시책추진 및 농가 품질향상 등 영농관리 기술지도 기초자료 제공

👉적정생산과 고품질감귤을 생산, 농가소득 향상에 기여

주요 일정📆

✔️ 1차 조사 : 착화량 조사

4월 하순 ~ 5월 상순

화엽비, 재식거리, 착화상황 조사

◼️ 화엽비 : 나무의 네 방향에서 가지를 선정하여 묵은 잎과 꽃의 수

◼️재식거리: 포장당 4그루를 선정하여 동.남 방향의 재식거리 조사

◼️착화상황:달관으로 조사포장 전체의 착화 정도를 측정

✔️ 2차 조사 : 착과량 조사

*생산예상량을 분석 및 발표

8월 중순 ~ 8월 하순

열매수, 과실횡경, 품질조사

※ 노지감귤 관측조사위원회 심의 후 생산예상량 포함 관측조사결과 발표

◼️ 열매수: 1번 나무의 과실은 전부 따내어 조사, 2번 나무는 착과된 상태에서 조사

◼️ 과실횡경: 1번나무(320그루)에서 수확한 열매 120개

◼️ 품질조사: 1번 나무에서 수확한 열매 중 중간크기의 열매 5개

✔️3차 조사 : 과실품질 조사

*지역별 규격별 과실 분포와 결점과율 등을 종합 분석

11월 상순~중순

열매수, 과실횡경, 과실무게, 규격별 과실분포, 품질조사, 결점과

※ 노지감귤 관측조사위원회 심의 후 관측조사결과 행정 통보

◼️ 열매수:1그루(2번나무)에 착과된 과실을 전부 수확조사

◼️과실횡경: 2번나무 수확한 열매 120개 현장 측정

◼️과실무게: 포장별 수확한 1그루의 과실 전체 무게 측정

◼️규격별 과실분포: 선과 규격별 150과 선정 크기 및 무게측정

◼️품질조사: 2번나무 중간크기 열매5과, 지역별 선과규격별 각10과(극대~극소)

◼️결점과:선과규격별(2S~2L) 3컨테이너


조사회차별로 수집된 데이터는 농업디지털센터의 분석

관측조사위원회 심의를 거쳐 확정되며,

확정된 결과는 감귤 수급안정을 위한 정책 수립

고품질 감귤 생산을 위한 기술지도 자료로 활용될 예정입니다.

🍊농업관측분야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

노지감귤 관측 자동화체계도입을 검토하고

생산예상량 산출을 위한 신규 관측모델 구축에 더욱 힘쓰겠습니다🍊

문의

농업디지털센터

064-760-7271


사업에 대한 기타 세부 사항은

제주특별자치도청 홈페이지 공고문을 확인해주세요!

(제주특별자치도 홈페이지 > 도정소식 > 입법·고시·공고)

▼ 제주도청 누리집 바로가기 ▼

면밀한 조사와 데이터 기반의

관측자동화 체계구축으로

적기에 정확한 관측 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제주특별자치도 블로그 이웃 추가하기 ▼

{"title":"2025년산 노지감귤 생산예상량 분석 및 관측조사 추진","source":"https://blog.naver.com/happyjejudo/223845875119","blogName":"제주특별자..","domainIdOrBlogId":"happyjejudo","nicknameOrBlogId":"빛나는 제주","logNo":223845875119,"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