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흥향교

💠주소 : 경북 영주시 순흥면 청구길 15-36

💠화장실 : 있음

💠주차 : 외부 주차장

💠문의처 : 054-639-7777(영주시청)

💠주변 가볼만한 곳 : 소수서원, 영주선비촌

순흥향교는 영주시 순흥면 청구리에 위치한 곳으로 조선시대의 공립 교육기관으로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347호로 지정된 곳입니다. 고려 말기인 1340년경에 처음 세워진 것으로 추정이 된다고 합니다.

순흥향교의 주요 건물로는 대성전, 명륜당, 동무와 서무, 동재, 문루, 삼문, 협문, 주사 등의 부속 건물들이 있으며, 조선시대에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설립된 공립 교육기관이라고 합니다. 16세기 이후 사회적 변화, 경제적인 변화로 인해서 교육 기능이 약화되고, 현재는 제향 기능만 남아 있다고 합니다.

순흥향교에 오시면 만날 수 있는 풍경으로 중심의 명륜당은 교육 기능을 수행하던 강당으로 학생들이 학문을 연마하던 공간이라고 합니다. 또한 왼쪽과 오른쪽으로는 동재와 서재로 유생들의 기숙사로 이용되었던 건물로 동재는 양반 자제들의 기숙사, 서재는 평민 자제분들의 기숙사였다고 합니다.

순흥향교 앞 넓은 주차장에서 맞은편으로 바라보면 보이는 수령이 200년 이상 된 느티나무도 보실 수 있습니다. 겨울에는 가지만 앙상하지만 봄과 여름, 가을에는 잎이 무성한 모습의 느티나무로 색다른 풍경을 경험하실 수 있습니다.

순흥향교에 도착하면 가장 먼저 보이는 넓은 주차장과 함께 외삼문이 있는데요, 향교의 출입문 역할을 하며 상징적이고 기능적인 요소를 지는 중요한 건물이라고 합니다.

순흥향교 입구에 위치한 외삼문의 하층은 개방형 구조로 되어 있어 통행이 가능하며 위층은 문루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형태는 조선시대 향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전통 건축 양식 중 하나라고 합니다.

2층은 향교 내부를 방어하거나 조망할 수 있는 공간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상징적으로는 세속과 학문적 공간을 구분하는 경계의 역할도 했다고 합니다.

동재와 서재를 다른 위치에서 바라본 모습입니다. 넓은 마당과 함께 고풍스러운 전통 한옥의 매력을 경험하실 수 있습니다.

현재 해당 건물은 주민분이 거주하는 공간으로 보이나 과거에는 이곳이 생활공간 또는 부속 시설로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한옥의 겹처마 팔작지붕으로 설계되었다고 합니다.

명륜당이 보이는 건물을 조금 더 가까이 가서 바라보았으며, 유생들의 기숙사로 사용되었던동재와 서재를 만나보며, 향교의 매력을 탐구하는 시간을 가져보았습니다.

순흥향교 안쪽에 위치한 대성전은 공자를 비롯한 성현들의 위패를 모신 제사 공간이라고 합니다. 양쪽에 자리한 동무와 서무는 각각 5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승조 6현과 우리나라 18현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고 합니다.

건물에 새겨진 문양과 색감 그리고 한옥의 재질감 등 다양한 형태로 완성된 한옥의 완성도에 감탄하며, 그때 그 시절의 매력을 느껴보는 시간도 가져봅니다.

순흥향교 주변으로 놓인 돌담을 바라보며, 거닐며, 여유로운 시간을 보내며, 문화재를 특별하게 감상해 보는 시간도 가질 수 있었습니다.

순흥향교 인근에는 소수서원, 선비촌 등 역사와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명소들이 함께 위치하고 있어 영주를 여행하며, 다녀가시기에 좋은 곳으로, 오랜만에 문화재와 함께 특별한 추억을 만들어가보시길 추천드립니다.


{"title":"조선시대 공립 교육기관, 경상북도 문화재 '순흥향교'","source":"https://blog.naver.com/yeongju_city/223726748592","blogName":"영주시 공..","domainIdOrBlogId":"yeongju_city","nicknameOrBlogId":"영주","logNo":223726748592,"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