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5년 4월 1일에 삼랑진역 ~ 마산역 구간의 마산선이 개통함과 동시에 영업을 시작하였는데 당시의 위치는 지금의 월포동이었다.

이후 1910년에 마산선 상에 구마산역이 개통하고, 1923년에는 마산역에서 서쪽으로 뻗어나가는 경남선이 새로 생기면서 경남선 상에 북마산역이 영업을 시작하였다. 세 역 모두 당시 마산시(현재의 창원시 마산합포구, 마산회원구) 내 중심부에 있었다. 이는 당시 마산시의 시내 조성이 좁은 구역으로 이루어져, 접근성을 고려하자면 마산 시내 깊숙이 들어올 수밖에 없던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거기에다가 인근 마산항은 당시 도로 교통이 낙후되어 있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철도교통이 핵심 화물 운송 수단으로 될 수 있었다.

<참고 : 네이버 백과사전 마산역>

측면에서 바라본 마산 역사의 모습입니다. 북마산역이 개통한 후 마산역은 ‘신마산의 마산역’, 일명 ‘신 마산역’으로도 불렸으며 삼랑진 방면에서 들어오는 철길과 진주 방면에서 들어오는 두 개의 철도가 서로 만났던 곳이자, 마산항 부두로부터 반입되는 각종 물품이 맨 처음 들어왔던 곳이기도 하다. 1970년대 말까지 마산 시내 철도 구간은 Y자 형태의 특이한 형태로 자리 잡았다. 진주에서 부산으로 가려면 마산 시내까지 깊숙이 들어왔다가 다시 후진하여 나가는 방식으로 운행계통에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참고 : 네이버 백과사전 마산역>

지상에서 2층 마산역으로 오르는 길은 계단으로 오르기도 하고 에스컬레이드나 엘리베이터 이용하는 시설이 되어 있습니다.

1970년대부터 중리 - 창원으로 직행하여 지나는 선로의 건설 계획이 발표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경전선 선로를 철거하는 계획은 없었다. 이는 아직도 마산항의 주요 화물 운송 수단이 철도라는 사실을 입증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참고 : 네이버 백과사전 마산역>

노약자와 장애인이 주로 이용하는 엘리베이터 시설입니다.

이후 1977년 12월 15일부터 석전동의 마산역 신역사가 개업하였다.

이전의 마산역과는 달리 당시 마산 시내 중심지의 외곽지역에 위치하였기에, 기관차사무소와 수많은 차량 유치 선로를 확보할 수 있었다.

마산역이 이설된 이후 기존의 (구) 마산역, 구 마산역, 북마산역은 모두 폐쇄되어 이곳으로 영업체계가 통합되었다.

<참고 : 네이버 백과사전 마산역>

마산 역사에 출입하는 2층의 현관문은 자동과 수동의 출입문이 세 곳이 있습니다.

마산역은 1977년 완공 당시만 하더라도 허허벌판이었던 마산역은 현재 마산 시외버스터미널과 더불어 이곳을 중심으로 상업 시가지가 크게 발달하였다. 대표적으로 역전시장과 함께 비즈니스 빌딩이 줄지어 있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참고 : 네이버 백과사전 마산역>

서울과 수서지역으로 출발하는 상행선 여객에 탑승할 수 있는 플랫폼의 모습입니다.

2010년 12월 15일을 기하여 경전선 구간 중 최초로 미 전선 경유 낙동강역에서 마산역에 이르는 구간이 복선 전철화되어 개통하면서, KTX의 여객 취급을 개시하였다. 2012년 12월 5일에 진주역까지 복선화 및 전철화가 되면서 연장 운행하게 되었고 일부 마산역 착 발로 운행하는 KTX 열차를 제외한 나머지 열차 편의 시·종착을 진주역으로 이관하였다.

추후 완공 예정인 부전~마산 복선전철 개통 후 시 종착역으로도 활용될 예정이다.

<참고 : 네이버 백과사전 마산역>

진주와 호남지역으로 달리는 하행선 여객 차에 승차하는 플랫 홈입니다.

2. 마산역의 기차 시간표

마산역을 운행되는 KTX 회수를 매표원에게 확인하니 평일과 주말의 운행이 다르게 운행하고 있으며 일일 22회에서 28회까지 운행이 되고 있으니 상행 하행 각각 11번에서 14번까지 운영되는 것으로 보면 맞습니다.

남도 해양 열차 S-Train 운행 시간표입니다.

매주 토, 일요일 운행되며 부산에서 광주 송정까지 상행 하행 일당 1회씩 운행되는 것으로 안내되어 있습니다.

열차 여객 운임표입니다.

3. 마산역의 편의 시설

승차권 자동발매기입니다. 창구에서 승차권 발매하는 것보다 이곳에서 승차권을 더 쉽고 빠르게 구매할 수 있습니다.

남자 여자 휴게실이 따로 설치되어 있어 건강상에 이상이 있는 이들은 이곳에서 편하게 쉬어갈 수 있을 것입니다.

여객 관광 안내소와 마산역 여행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므로 불편한 내용이나 안내받고 싶은 분들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고객 여객 대기실은 운영하고 있습니다. 추운 요즘 날씨에 이곳에 들어가니 따듯하게 온방장치가 되어 있었습니다.

아기를 가진 분들의 편의를 제공하는 수유실도 따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기타 여객이 긴히 필요한 상비품을 판매하고 또 차와 커피를 즐길 수 있는 카페 운영도 역내에 가게가 있어 편리합니다.

4. 외부와 연결되는 교통 안내

역에서 에스컬레이드를 타고 내려와 약간 왼편으로 직진하면 역광장 끝부분에 택시와 시내버스가 연결되는 시내버스 정류소가 있습니다.

마산역과 연결되는 시내버스 안내

5. 마산역과 역사적인 문화시설

민주 성지 수호의 터전 마산을 상징하는 기념 표식물 마산에는 3.15 기념하는 공원이 따라 설치되어 있습니다.

마산이 낳은 문학가 마산의 푸른 바다를 노래한 가고파의 이은상 선생의 기념 시비가 역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창원시 #마산역 #마산역KTX #마산역역사 #마산역광장 #마산역즐길거리 #마산가볼만한곳


{"title":"🚝마산역 역사(驛舍)와 여객 운송 차량 운행 안내","source":"https://blog.naver.com/cwopenspace/223755597653","blogName":"창원시 공..","domainIdOrBlogId":"cwopenspace","nicknameOrBlogId":"창원시","logNo":223755597653,"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