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장애인이 문화예술

관객을 넘어 주체적인

참여자가 될 수 있도록

전방위 지원에 나설 예정입니다.

자세한 내용, 함께 살펴보실까요?


2024서울서커스페스티벌에 참여한 뉴질랜드 휠체어 공연단체 클로에로프터스&로드니벨 공연사진

서울시는 올해, 장애인이 문화예술의 관객을 넘어 주체적인 ‘참여자’이자 ‘창작자’로 우뚝 설 수 있도록 전방위 지원에 나선다. ▴창작 ▴관람 ▴교육 3개 분야에 걸쳐 맞춤형 지원을 강화해, ‘문화시민’ 으로서 장애인의 문화예술향유권을 보장하고, ‘동행매력특별시’의 시정철학 아래 모두가 함께하는 ‘포용적 문화도시’를 실현한다는 방침이다.

먼저 ▴창작지원 분야에서는 장애 예술인과 단체, 장애인 극단, 인식개선 공연 단체 등에 총 18억 원 규모의 창작지원금을 지원한다. 단체·개인당 2,000~5,000만 원의 규모로 신작 발표나 문화접근성 개선 콘텐츠 제작 등을 돕는다.

2025년 3월 2일 <아주 특별한 콘서트>에 참여한 시각장애인 클라리네티스트 김민철과 얍 판 츠베덴 음악감독, 서울시향의 공연모습

▴관람지원 사업도 활발하다. 장애인들이 공연·전시·축제 등 다양한 문화예술을 현장에서 누리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돕는다.

대표적으로 ‘특수학교(급) 학생 박물관·미술관 무료관람 지원’ 사업을 추진한다. 이동이 자유롭지 않은 특수학급 장애 학생들에게 박물관 미술관 나들이를 위한 입장료, 차량, 체험 프로그램 등을 모두 지원하며, 올해는 총 5,500명의 서울지역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학생들이 혜택을 누리게 될 예정이다.

또한 서울역사박물관은 사회복지시설 장애인 등을 위한 약자동행박물관 나들이’를 3월부터 12월까지 운영해 누구나 장벽 없이 박물관 관람을 즐길 수 있도록 돕는다. 아울러 연 7회 ‘배리어프리 영화관’을 무료 운영해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해설(오디오 설명)과 청각장애인을 위한 한글자막(대화와 음향효과 설명)을 넣어 장애인을 비롯한 모든 시민이 함께 영화를 즐길 수 있도록 한다.

서울문화재단은 오는 5월 3~5일 개최 예정인 ‘서울서커스페스티벌’ 내 장애인 관객 접근성을 크게 높인다. 축제기간 내 전동휠체어를 대여하고, 축제 현장 내 장애인 화장실 위치 등 이동 동선을 상세히 표기할 예정이다. 또한 대사, 공연 중 이동, 소음 효과 등 공연별 특이사항을 별도 안내한다.

장애청소년 미술교육 지원 사업에 참가하고 있는 학생의 교육 사진

장애인 대상으로 다양한 ▴교육지원 사업도 추진한다.

먼저, ‘장애청소년 미술교육 지원사업’은 서울 거주 9세 이상 24세 이하 발달장애(지적·자폐) 청소년 중 예술적 재능이 있는 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개인별 특성과 수준을 고려한 맞춤형 미술 이론과 실기수업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최근 3년간 교육 수료생 208명 중 10명이 상급학교에 진학 또는 직업작가가 되고, 각종 대회에서 62회 수상, 전시에 109회 참여하는 등 유의미한 성과를 거두었다.

서울시립미술관은 ‘모두를 위한 예술프로그램’을 통해 신체, 감각, 인지, 연령 등의 차이 없이 누구나 방문하고 예술을 감상할 수 있는 미술관을 지향하고 실행한다. 대표 프로그램으로 미술관의 작품 해설을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쉬운 글쓰기’를 해보는 워크숍 등을 마련하고, 미술관 및 인쇄물 접근에 어려움을 겪는 신경다양인과 저시력자 및 시각장애인을 위한 디자인 가이드, 정서적 안정감을 주는 물건들을 담은 ‘센서리 키트(Sensory-Kit)’를 국내 미술관 최초로 제작할 예정이다. 프로그램은 5월부터 개최 예정이다.

2024 모두를 위한 예술 프로그램 <몸으로 만나는 미술관>

서울시립교향악단은 재능 있는 장애인 연주자들에게 서울시향 단원들의 노하우를 전수하고, 서울시향 단원들과 함께 다양한 편성의 곡을 연주하는 경험을 주는 ‘행복한 음악회, 함께!’ 사업을 추진한다. 장애와 비장애를 넘어 음악으로 하나 되는 특별한 가치를 공유하는 동시에 장애인이 ‘클래식 전문 연주자’로 성장하고 자립하는 것을 돕는다.

서울도서관은 매주 금요일 문화시설을 밤 9시까지 연장 운영하는 ‘문화로 야금야금(夜金)’의 4월 18일 행사로 시각장애인 아나운서 ‘허우령’이 함께하는 ‘방구석 북토크’를 서울도서관 1층 생각마루에서 오후 7시~8시 30분까지 개최한다.

문의 : 다산콜센터 02-120

<2025년 서울시 장애인 문화예술향유 지원 프로그램>

분야

사업명

내용

문의

창작 지원

장애예술인

창작활성화지원

1월~12월

∘ 대상 : 당해연도 서울에서 예술창작활동을

공개적으로 발표할 장애예술인 개인 또는 단체

∘ 분야 : 연극, 무용, 음악, 전통, 다원, 시각,

예술일반(연구), 문학

∘ 창작지원금, 전문가 멘토링 등 지원

서울문화재단

02-423-6680

서울장애예술창작센터

1월~12월

∘ 시설 : 입주실 6개, 사무실, 워크숍룸 등

∘ 장애예술인 입주작가 선정 및 교육, 전시 등 지원

서울문화재단

02-423-6675

장애인 공연예술활동 지원

1월~12월

∘ 대상 : 서울 소재 장애인 극단

∘ 극단 선정 후 작품 창제작, 상연 소요비용 등

지원, 어린이 대상 장애인 인식 개선

공연 콘텐츠 기획 지원

문화예술과

02-2133-2579

장애인소외계층

문화활성화 지원

1월~12월

∘ 대상 : 서울 소재 법인 및 단체

∘ 서울시 내 장애인 및 소외계층 문화예술 활성화

사업에 소요되는 직접 경비 일부 지원

※ 자부담 10% 이상 편성 필수,

운영 프로그램에 따라 차등 지원

∘ 선정 방법 : 공모에 의한 사업 선정

서울문화재단

02-2133-2586

관람 지원

특수학교(급) 학생 박물관·미술관 무료 관람 지원

1월~12월

∘ 대상 : 서울지역 특수학교 및

일반 초중고 특수학급 학생, 교원

∘ 미술관, 박물관 입장료, 차량,

체험 프로그램 등 무료관람 지원 (5,500명)

∘ 참여방법 : 희망 학교·급 단체 신청

박물관과

02-2133-4186

서울역사박물관

'배리어프리영화관'

3월~11월

∘ 연간 총 7회 <배리어프리 영화관> 운영

- 4/24 14:00 룸쉐어링

- 5/22 14:00 파이어파트

- 6/26 14:00 범죄소년

∘ 참여방법 : 별도 신청 없이 무료 관람

서울역사박물관

02-724-0108

서울역사박물관

'박물관 나들이'

3월~12월

∘ 대상 : 사회복지시설 어르신,

장애인, 아동청소년 등

∘ 박물관 왕복 차량 지원

*평일 오전 참가시 식사 제공

∘ 행사내용 : 상설전시 해설, 기획전시 및

기증유물 관람, 경희궁 자유 관람,

배리어프리 영화 관람, 박물관 문화행사 참여 등

∘ 참여 접수 마감

서울역사박물관

02-724-0108

서울문화재단

'서울서커스페스티벌'

5.3~5.5

∘ 종합안내소에서 전동휠체어 2대 대여 가능

∘ 축제 접근성 안내

- 엘리베이터, 장애인 화장실 위치 표기

- 대사, 공연 중 이동, 소음 효과 등

공연별 특이사항 안내

리플릿, 축제 홈페이지, SNS 등에서 확인 가능

서울문화재단

02-758-2036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나란히 보는 미술관'

8월~9월

∘ 대상 : 시각장애인 및 비장애인 8인

∘ 시각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짝을 이뤄 전시를 감상하는 프로그램으로, 서로의 감각을 교류하고

대화를 통해 작품을 감상

서울시립미술관

02-2124-5279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느리게 읽는 미술 감상'

9월

∘ 대상 : 특수학급 및 발당장애인 단체

∘ 발달장애 아동의 속도와 시선에 맞춰

진행되는 전시 감상 프로그램

서울시립미술관

02-2124-5279

교육 지원

장애청소년

미술교육 지원사업

1월~12월

∘ 대상 : 서울거주 9세 이상 24세 이하 발달장애

(지적, 자폐) 100명

∘ 개인별 특성과 수준을 고려한

맞춤형 미술 이론 및 실기수업,

작품 체험활동 및 전시회 등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민간위탁

박물관과

02-2133-4191

서울시립미술관

'모두를 위한 예술 프로그램'

5월~12월

∘ 대상 : (장애인/비장애인) 시니어, 어린이, 성인 등

∘ 횟수 : 연간 40회

∘ 수어/문자 통역, 배리어프리 프로그램 등 반영

<쉬운 글쓰기>, <몸으로 만나는 미술관>,

<우리들의 미술관 나들이> 3종 프로그램

∘ 참여방법 : 추후 누리집 신청 접수 예정

박물관과

02-2133-4191

서울시향

'행복한 음악회, 함께!'

연2회

∘ 재능 있는 청소년, 청년 장애인 연주자들과

서울시향 단원들이 함께하는 공연. 클래식

음악 예술인을 육성하고 장애와 비장애를

넘어 모두 동행하는 음악회

서울시향

02-3700-6393

서울시향

'아주 특별한 콘서트'

연1회

∘ 장애인 및 문화소외계층 초청,

장애인 연주자와의 협연을 통해

서울 시민 모두가 화합하는 시민공연

서울시향

02-3700-6393

행사

서울도서관

'문화로 야금야금'

4.18. 19:00~20:30

∘ 4월 방구석 북토크 - 잃어도 이뤄냈으니까(허우령)

∘ 참여방법 : 서울도서관 누리집 사전신청

서울도서관

02-2133-0248


{"title":"장애인 문화예술 향유 위해 맞춤 지원! 관련 프로그램은?","source":"https://blog.naver.com/haechiseoul/223841467974","blogName":"서울특별시..","domainIdOrBlogId":"haechiseoul","nicknameOrBlogId":"동행","logNo":223841467974,"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fals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