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달라지는 울산남구 제도 시책 3편 '보건·복지'
2편에 이어 울산남구 달라지는 2025 제도 시책 3편이 찾아왔습니다! 3편에서는 보건·복지 분야에 대해 준비했는데요.
✔전국 최초로 고립, 고독사 위험이 있는 남구민을 대상으로 편의점에서 사용할 수 있는 남구형 급식카드를 지원하는 '행복ON나' 사업을 새롭게 실시하고 임신 사전 건강관리 지원 대상자 범위를 확대하는 등 출산·양육 가정에게도 지속적인 도움을 드릴 예정입니다.
그럼 자세한 내용 바로 알아볼까요?
2025 달라지는
울산남구 제도 시책 3편
'보건·복지'
🍀표시는 남구가 추진하는 시책입니다.
산모·신생아 재가돌봄 서비스 지원
❚ 시기 : 2025. 1월
❚ 대상 : 2025년 이후 출산가정 중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바우처 이용자
❚ 지원기준 : 출생일 1개월 전부터 부 또는 모가 남구에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
❚ 지원내용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바우처 이용 시 발생하는 본인 부담금 지원
❚ 지원범위 : 본인 부담금의 10% 제외 후, 첫째아 20만 원, 둘째아 30만 원, 셋째아 40만 원 이내 지원
❚ 문의 : 건강행복과 ☎ 226-2338
영구적 불임 예상자 생식세포 동결·보존 지원
❚ 시기 : 2025. 1월
❚ 대상 : 의학적 치료로 인한 영구적 불임 예상자
❚ 주요내용 : 의학적 치료로 인한 생식건강 손상으로 영구적 불임이 예상되어,
가임력 보전이 필요한 자의 생식세포 동결·보존(1년) 비용 지원
❚ 지원범위 : (남성) 최대 30만 원, (여성) 최대 200만 원
❚ 지원횟수 : 총 1회 지원
❚ 문의 : 건강행복과 ☎ 226-2481
임신 사전 건강관리 지원 대상 확대
❚ 시기 : 2025. 1월
❚ 대상 : 모든 20 ~ 49세 남녀(결혼, 자녀 여부 불문) 중 가임력 검사 희망자
❚ 지원횟수 : 주요 주기별 1회(최대 3회) 지원
※ 주요 주기 : 29세 이하(제1주기), 30 ~ 34세(제2주기), 35 ~ 49세(제3주기)
❚ 주요내용
- (여성) 난소기능검사(AMH), 부인과(난소, 자궁 등) 초음파 최대 13만 원 지원
- (남성) 정액검사(정자정밀검사 포함) 최대 5만 원 지원
❚ 달라지는 주요내용
구분 |
2024년 |
2025년 |
대상 |
임신을 희망하는 부부 (15~49세 가임기 여성, 예비부부 포함) |
모든 20~49세 남녀 (결혼, 자녀 여부 불문) |
지원횟수 |
생애 1회 지원 |
최대 3회 지원 (주요 주기별 1회씩) |
❚ 문의 : 건강행복과 ☎ 226-2338
음식점 위생환경 개선 지원
❚ 시기 : 2025. 3월 ~ 12월
❚ 지원규모 : 65개소, 업소당 최대 200만 원
❚ 대상 : 남구 관내 일반·휴게음식점, 제과점
❚ 지원내용
- 후드 등 환기시설, 주방 장비 교체 비용
- 정리 수납, 전문 업체 청소, 환경개선비 등
❚ 문의 : 위생과 ☎ 226-5732
아동발달지원계좌(디딤씨앗통장) 대상자 확대
❚ 시기 : 2025. 1월
❚ 대상 : 17세 이하 보호 대상 아동 및 기초수급가구·차상위계층 아동
❚ 주요내용 : 아동이 매월 저축하면 정부가 월 10만 원 내에서 아동의 저축금액의 2배(아동 1 : 정부 2)로 매칭
❚ 달라지는 주요내용
구분 |
2024년 |
2025년 |
대상 |
◾ 보호 대상 아동 ◾ 0~17세 중위소득 50% 이하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가구 아동 |
◾ 보호 대상 아동 ◾ 0~17세 중위소득 50% 이하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가구 아동 ◾ 차상위계층 아동 |
❚ 문의 : 여성가족과 ☎ 226-4817
결식우려아동 급식지원 단가 인상
❚ 시기 : 2025. 1월
❚ 대상 : 18세 미만의 저소득 가정(수급자, 차상위)의 아동 중 결식우려 아동
❚ 지원내용 : 급식카드 충전, 지역아동센터 단체 급식
❚ 변경내용 : 급식지원 단가 인상 (24년) 9,000원 → (25년) 9,500원
❚ 관련법규 : 「아동복지법」제35조
❚ 문의 : 여성가족과 ☎ 226-4815
아동돌봄서비스 지원 강화
❚ 시기 : 2025. 1월
❚ 대상 : 양육 공백이 발생한 만 3개월 ~ 만 12세 이하 아동
❚ 주요내용 : 정부 지원 대상 확대(“가”~“다”형 → “가”~“라”형)
❚ 가구원수별 소득기준
(단위:원)
구분 |
소득기준 (중위소득) |
가구원수별 소득기준 금액(월평균 소득) |
가형 |
75% 이하 |
◾ ~3인 : 3,770,000 ◾ 4인 : 4,574,000 ◾ 5인 : 5,332,000 ◾ 6인 : 6,049,000 |
나형 |
120% 이하 |
◾ ~3인 : 6,031,000 ◾ 4인 : 7,318,000 ◾ 5인 : 8,530,000 ◾ 6인 : 9,678,000 |
다형 |
150% 이하 |
◾ ~3인 : 7,539,000 ◾ 4인 : 9,147,000 ◾ 5인 : 10,663,000 ◾ 6인 : 12,098,000 |
라형 |
200% 이하 |
◾ ~3인 : 10,051,000 ◾ 4인 : 12,196,000 ◾ 5인 : 14,217,000 ◾ 6인 : 16,130,000 |
❚ 정부지원금 및 본인 부담금
(단위:원)
❚ 문의 : 여성가족과 ☎ 226-6946
(외)조부모 손주 돌봄수당 지원
❚ 시기 : 2025. 3월 ~ 12월
❚ 대상 : 24 ~ 36개월 영아 손자녀를 돌보는 (외)조부모
❚ 지원기준 : 아래의 요건 모두 충족
◾ 주소 기준 : 아동이 주민등록상 울산시 거주 및 돌봄 제공 지역 울산 ◾ 소득기준 : 아동 가구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 양육 공백 기준 : 맞벌이, 한부모, 다자녀 등 ※ 중복 지원 제외 : 보육료, 종일제 아이 돌봄 등 미 이용자 |
❚ 지원금액 : 월 300만 원(40시간 돌봄 기준)
❚ 지급방법 : 매월 25일, (외)조부모 계좌로 입금
❚ 문의 : 여성가족과 ☎ 226-6946
한부모가족 지원 확대
❚ 시기 : 2025. 1월
❚ 대상 : 한부모가족 및 청소년 한부모(만 24세 이하) 가족의 “모(母)” 또는 부(父)와 18세 미만의 자녀
❚ 달라지는 주요내용
구분 |
2024년 |
2025년 |
아동양육비 |
월 21만 원 |
월 23만 원 |
학용품비 대상 |
중·고등학생 |
초·중·고등학생(연 9.3만 원) |
청소년한부모 아동양육비 |
월 35만 원 |
월 37만 원(2세 이상) |
❚ 문의 : 여성가족과 ☎ 226-6946
여성청소년 보건위생물품 바우처 지원 확대
❚ 시기 : 2025. 1월
❚ 대상 : 기초생활수급(생계·의료·교육·주거 급여), 법정차상위, 한부모가족지원 대상 가구 9세 ~ 24세 여성청소년
❚ 지원내용 : 저소득 여성청소년의 보건위생용품 지원
❚ 달라지는 주요내용
구분 |
2024년 |
2025년 |
지원금액 |
연 156,000원 (월 13,000원) |
연 168,000원 (월 14,000원) |
신청장소 |
청소년 주민등록지 읍·면·동 |
가까운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 문의 : 여성가족과 ☎ 226-4983
어린이집 부모 부담 필요경비 지원
❚ 시기 : 2025. 3월
❚ 대상 : 아동의 주소지 및 어린이집 소재지가 울산시인 3 ~ 5세 아동
❚ 지원항목 : 특별활동비, 차량운행비, 현장학습비, 특성화비, 부모부담행사비
❚ 달라지는 주요내용
구분 |
2024년 |
2025년 |
대상 |
4 ~ 5세 아동 |
3 ~ 5세 아동 |
❚ 지원금액 : 월 최대 140만 원
❚ 지급방법 : 매월 어린이집 계좌로 보조금 지급
❚ 문의 : 보육지원과 ☎ 226-6973
어르신 밤길 보행지킴이 실버스티커 지원
❚ 시기 : 2025. 1월 ~ 7월
❚ 대상 : 노인맞춤돌봄서비스(2,355명) 및 응급안전안심서비스 이용대상자(1,422명) 중 야간 보행 위험도가 높은 어르신
❚ 주요내용 : 야간 보행 위험도가 높은 어르신에게 야광 및 반사스티커를 제작 지원하여,
지팡이·실버카 등에 부착하게 함으로써 밤길 보행자 및 운전자를 보호
❚ 문의 : 노인장애인과 ☎ 226-6962
2025년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선정 기준 완화
❚ 달라지는 주요내용 : 기준 중위소득 인상에 따른 수급자 선정 기준 완화(평균 6.88% 인상)
※ 1인 가구 기준 7.34%, 4인 가구 기준 6.42% 인상
(단위 : 원 / 월)
※ 기준 중위소득
보건복지부 장관이 급여의 기준 등에 활용하기 위하여 중앙생활보장위원회 심의·의결을 거쳐 고시하는 국민 가구 소득의 중위값
❚ 문의 : 노인장애인과 ☎ 226-6936
장애인연금 사업
❚ 시기 : 2025. 1월
❚ 대상 : 18세 이상 중증 장애인 중 본인과 배우자의 소득 인정액이 선정 기준액 이하에 해당하는 자
❚ 달라지는 주요내용 : 장애인연금 기초급여액 인상
※ 최종 지급확정액은 25. 1월 고시 예정
(단위 : 원)
❚ 문의 : 노인장애인과 ☎ 226-4877
🍀장애인전동보조기기 보험 가입 지원
❚ 시기 : 2025. 1월 ~ 12월
❚ 대상 : 남구에 주민등록을 둔 전동보조기기(전동휠체어, 전동스쿠터)를 이용하는 등록장애인
❚ 보장내용 : 장애인이 전동보조기기 운행 중 발생한 사고로 타인에게 피해를 입혔을 때 보상할 수 있는 대인·대물 배상책임보험 가입 지원
❚ 보장금액 : 최대 5천만 원 한도(본인 부담금 없음)
❚ 문의 : 노인장애인과 ☎ 226-4877
거동불편 어르신 성인용 보행기 지원
❚ 시기 : 2025. 1월 ~ 12월
❚ 대상 : 관내 보행에 불편을 겪는 65세 이상 장기요양등급외 A, B 판정을 받은 자 중 수급자, 차상위 대상자 등
❚ 주요내용 :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에게 성인용 보행기 지원
❚ 문의 : 노인장애인과 ☎ 226-6964
🍀저소득층 노인 안과 수술비 지원
❚ 시기 : 2025. 1월 ~ 예산 소진 시
❚ 대상 : 기준 중위소득 80% 이하의 저소득 가구로 백내장, 망막질환, 녹내장 등의 안과적 수술 대상자
❚ 지원내용 : 최대 1,500만 원 이내
❚ 지원조건
◾ 타 지원과 중복 불가하며, 병원으로 치료비 지급 ※ 한국실명예방재단 안과 수술 지원 대상자와 중복 불가 ◾ 병원진단서(안과 수술 대상) |
❚ 문의 : 주소지 동 행정복지센터
🍀저소득층 노인 무릎 인공관절 수술비 지원
❚ 시기 : 2025. 1월 ~ 예산 소진 시
❚ 대상 : 기준 중위소득 80% 이하의 저소득 가구로 인공관절치환술 대상자
❚ 지원내용 : 최대 3,000만 원 이내 무릎 인공관절 수술비 지원
❚ 지원조건
◾ 타 지원과 중복 불가하며, 병원으로 치료비 지급 ※ 노인의료나눔재단 지원 대상자 지양 ◾ 병원진단서(슬관절치환술 대상) |
❚ 문의 : 주소지 동 행정복지센터
🍀저소득층 저장 강박 위기가구 주거환경개선
❚ 시기 : 2025. 2월 ~ 예산 소진 시까지
❚ 대상 :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의 저장 강박 위기가구
❚ 지원내용 : 가구당 2,000만 원 이내 주거환경개선(청소, 방역, 폐기물처리 등)
※ 집 수리, 도배, 장판 교체 지원 불가
❚ 사후관리 : 통합사례관리(심리 상담 및 전문 의료기관, 민간 기관 연계 등)
❚ 문의 : 주소지 동 행정복지센터
🍀행복남구와 CU가 함께하는 '희망ON나'
❚ 시기 : 2025. 1월 ~ 12월
❚ 대상 : 고립·은둔·고독사 위험이 있는 남구 거주 주민 350명
❚ 사업내용
◾ 전국 최초 울산 남구형 급식카드 지원(1인, 연 24만 원 상당/관내 CU 편의점 사용) ◾ 관내 CU 편의점 24시간 위기가구 발굴·신고 ◾ 고독사 고위험군 사후관리 (IoT 기기 설치 및 카드 사용 패턴 활용) |
❚ 사후관리 : 통합사례관리(심리 상담 및 전문 의료기관, 민간 기관 연계 등)
❚ 문의 : 주소지 동 행정복지센터
일상돌봄서비스 지원 대상 연령 확대
❚ 시기 : 2025. 1월부터
❚ 대상 : 일상생활에 돌봄이 필요한 청·중장년(19 ~ 64세), 가족 돌봄 청(소)년(9 ~ 39세)
※ 변경 전 13 ~ 39세
❚ 주요내용 : 일상생활 어려움 해소와 삶의 질 향상 위한 통합서비스 제공
- (기본) 재가 돌봄·가사
- (특화) 식사·영양관리, 병원 동행, 심리지원
※ 기본서비스(24~72시간) 및 특화서비스(최대 2개) 이용 가능하며, 이용자가 필요한 서비스 선택
❚ 선정 기준 : 서비스 필요에 따라 대상자 선정(소득기준 없음)
❚ 이용료 :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화된 본인 부담금
❚ 문의 : 주소지 동 행정복지센터
🍀국가보훈대상자 명절 위문금 지급
❚ 시기 : 2025. 1월, 9월
❚ 대상 : 2025. 1. 1. 기준 남구 거주 국가보훈대상자
❚ 달라지는 주요내용
구분 |
2024년 |
2025년 |
인원 |
300명 |
2,800명 (국가보훈대상자 전원) |
내용 |
온누리상품권 3만 원(2회) |
1만 원 계좌 입금(2회) |
❚ 문의 : 복지지원과 ☎ 226-6904
2025년 남구민분들의 삶에 실질적으로 도움을 드릴 수 있도록 다양한 시책을 새롭게 실시하거나 확대하여 추진될 예정입니다.
보건·복지 분야에서는 더 많은 주민들께 복지 혜택을 지원 드리기 위해 돌봄서비스 대상이나 수당 지원이 더 커지는데요.
사업 시기, 대상, 내용을 확인하셔서 혜택 놓치지 마시길 바랍니다!
부부, 아이, 어르신 모두 살기 좋고, 행복한 울산 남구를 만들기 위해 더 노력하는 남구청이 되겠습니다!
다음 4편도 많은 기대 부탁드려요~😉
- #울산남구
- #울산남구2025
- #2025울산남구시책
- #2025울산남구보건
- #2025울산남구복지
- #복지
- #보건
- #아이돌봄서비스
- #일상돌봄서비스
- #조부모돌봄수당
- #장애인연금
-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 #저소득층지원
- #희망ON나
- #국가보훈대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