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일 전
일어나는? 이뤄내는! 기적 - 2036 하계올림픽 국내 후보도시 선정
일어나는?
이뤄내는! 기적
2036 하계올림픽 국내 후보도시 선정
2월 28일 기적을 이뤄냈다.
전북 전주가 2036 하계올림픽 국내 후보도시로 선정된 것이다.
총 61표 중 49표를 얻어 압도적으로 승리했다.
안 될 거라던 대다수 시각 속에서 도전하고
성공하기까지 어떤 과정이 있었을까.
세계 쟁쟁한 국가들과 겨뤄 2036 하계올림픽을
가져오기 위한 전략과 절차는 뭘까.
철저한 준비
올림픽 국내 후보도시 선정은 하루아침에 이뤄지지 않았다. 전북은 2023년 6월 ‘2036 올림픽 유치 타당성 검토 연구’ 용역으로 첫걸음을 뗐다. 2024년 5월 국제대회 유치를 위한 체육시설 및 소요 재원 분석과 7월 대회시설 적합성 간이 조사를 거치며 철저하게 준비했다.
9월 대한체육회 ‘2036 하계올림픽 국내 후보도시’ 선정 공고가 나오자마자 즉각 대응했다. 전북연구원, 도체육회, 자문위원 등과 함께 유치 TF를 구성하고 개최 계획서를 수립하는 등 경쟁력을 높였다. 11월 7일 유치 도전을 공식적으로 선언했으며 닷새 후 대한체육회에 개최 계획서를 제출했다.
12월 2일, 2036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 TF 추진단을 꾸렸고 올해 1월 6일과 7일 현장실사를 통해 지역 비전과 전략, 도민의 열정 등을 보여줬다. 마침내 전주가 ‘2036 하계올림픽 국내 후보도시’에 선정됐다.
비수도권 연대 전략
도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 방향대로 기존 스포츠 기반 시설을 활용한 저비용 고효율 올림픽을 내세웠다. 비수도권 연대 분산 개최를 통해 불필요한 시설 건립을 줄이고 여러 지역 기존 시설을 활용한다는 전략.
광주에서는 수영과 양궁, 전남에서는 서핑, 충남과 충북에서는 각각 테니스와 체조, 대구에서는 육상을 치를 생각이다. 지난해 11월 이들 지역 주요 시설물에 대한 사용 승낙서를 받았다.
올해 2월 28일 발표심사에 김영록 전남지사와 김태흠 충남지사, 강기정 광주 시장, 홍준표 대구시장이 전북을 지지하는 영상으로 힘을 보태며 끈끈한 연대를 보여주기도 했다.
도민의 열망과 지지
도는 다각적이고 적극적인, 진심을 담은 홍보로 ‘되겠냐’던 도민의 인식을 ‘될 수도 있겠네’로 바꿔갔다. 퀴즈 이벤트, 해시태그 릴레이 캠페인, 응원 댓글 이벤트 등으로 공감대를 형성했다. 체육계 영웅들을 홍보대사로 위촉하고 초·중·고등학생 대상 유치 기원 그림 공모전을 열었다. 국립합창단 공연과 태권도 문화 공연으로 열기를 확산시키기도 했다.
특히 ‘GBCH(Go Beyond, Create Harmony 모두의 한계를 넘어, 새로운 조화) 챌린지’를 통해 여러 연령층의 참여를 이끌었다. 1월부터 한 달간 진행한 챌린지에는 도내 주요 기관 단체장을 비롯해 기업 대표, 체육계, 문화예술계, 대학생, 청소년, 재외동포 등 각계각층이 참여했다.
2036 전주
하계올림픽 조감도
전북이 커가고 한국이 뻗어갈 기회
전북에서 올림픽을 개최한다면 지역경제 활성화는 물론 국가균형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세계 각국에서 방문하는 선수단과 관광객을 맞이하기 위해 도로와 철도망을 확충하고 체육시설을 신축, 개보수하며 관광 기반을 개선하기 때문이다. 세계인들의 마음속에 전북 그리고 대한민국을 분명하게 새기는 기회가 될 것이다.
경제적 파급효과도 뒤따른다. 전북연구원은 한국은행이 발표한 산업연관표를 활용해 경제적 효과를 산출했는데 생산유발효과는 전국 40조 4천억 원과 전북 27조 9천억 원이다. 부가가치유발효과는 전국 17조 8천억 원과 전북 12조 9천억 원, 취업유발효과는 전국 44만 9천여 명과 전북 37만 4천여 명일 걸로 내다봤다
친환경 문화 올림픽으로 세계와 경쟁
도는 2036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전담 조직을 구성하고 정부 부처와 협의해 빠르게 행정절차에 착수한다. 국내 절차로는 문화체육관광부에 국제행사 개최계획서를 제출하고 문화체육관광부와 기획재정부 승인과정을 거친다.
이후 대한체육회와 본격적인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국제 절차로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에 유치의향서를 낸 뒤 IOC 미래유치위원회 평가를 받는다. 심사를 거쳐 우선협상 대상 도시를 추천하면 IOC 총회에서 투표를 통해 개최지를 결정할 계획이다.
현재 유치전에 뛰어든 해외 도시는 10여 곳. 전북은 친환경 문화올림픽으로 경쟁력을 높이고 차별화를 꾀한다. 수소전기차를 운영해 무공해 교통체계를 갖추며 모든 신·증축 건물을 목조로 짓는다.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과 제로 플라스틱을 실현하고 K-컬처 중심지답게 우리 문화예술을 곳곳에 담을 계획이다.
2036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 절차
2025 상반기
✔ 대한체육회 대의원총회 투표, 올림픽 국내 후보도시 선정
✔정부지정기관 사전타당성 조사
2025 하반기
✔전북자치도의회 의결
✔문화체육관광부 심의
✔유치의향서, 유치계획서, 정부보증서 등 제출
✔답변서 제출 등 IOC 미래유치위원회 대응
✔IOC 우선협상도시 선정
2026 상반기
✔기획재정부 심의
✔2036 전주 하계올림픽 조직위원회 설립 및 개최 준비
✔개최도시 선정
- #전북특별자치도
- #2025전북
- #얼쑤전북
- #4월
- #전주올림픽
- #2036하계올림픽
- #국내후보도시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