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일 전
아이돌봄서비스 달라지는 점 | 정부지원 대상 · 시간당 이용요금 등
부모의 맞벌이 등으로 양육 공백이 발생한 가정으로 아이돌보미가 집으로 찾아가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돌봄서비스’를 아시나요? 일과 가정을 양립해야 하는 부모님의 양육부담 경감을 통해 저출산을 해소하고, 영아 및 방과 후 아동 돌봄을 통해 아이들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은 물론 전문 아이돌보미 인력을 창출하는 일석삼조 효과가 있는 돌봄 제도랍니다.
올해부터 아이돌봄서비스가 이용가구의 소득기준에 따라 서비스 이용 금액을 차등 지원하고, 정부 지원 대상도 확대할 전망인데요. 가구별 맞춤형 돌봄을 지원하는 <2025년 달라지는 아이돌봄서비스> 내용을 오산시와 함께 살펴보아요!
2025년 아이돌봄서비스 이렇게 달라집니다
1. 정부 지원 대상 확대 · 취학아동가구 지원 비율 상향
올해부터 아이돌봄서비스 정부지원 대상이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 → 기준 중위소득 200% 이하 가구까지 확대됩니다. 이에 따라 올해 3인 가구 기준 월 소득 10,051,000원 이하, 4인 가구는 월 소득 12,196,000원 이하라면 아이돌봄서비스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더불어 정부지원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던 다형(기준 중위소득 120~150%)과 초등학교 취학아동가구(6~12세 자녀)의 정부 지원 비율도 상향되어 서비스 이용 부담이 낮아지게 됐습니다. 아이돌봄서비스 이용요금표는 아래 표를 자세히 확인해 주세요!
✅ 기준 중위소득 : ('24년) 150% 이하 → ('25년) 200% 이하로 확대
✅ 취학아동가구 등 지원 비율 상향
구분 |
2인가구 |
3인가구 |
4인가구 |
5인가구 |
6인가구 |
기준중위소득 100% (월) |
3,932,658원 |
5,025,353원 |
6,097,773원 |
7,108,192원 |
8,064,805원 |
기준중위소득 150% (월) |
5,898,987원 |
7,538,030원 |
9,146,660원 |
10,662,288원 |
12,097,208원 |
기준중위소득 200% (월) |
7,865,316원 |
10,050,706원 |
12,195,546원 |
14,216,384원 |
16,129,610원 |
2025년 아이돌봄서비스 이렇게 달라집니다
2. 가구별 맞춤형 돌봄 지원
또한 이른둥이(미숙아) 영아종일제 이용 기한도 연장됩니다. 이른둥이 기준은 임신기간 37주 미만이거나 출생 당시 체중 2.5kg 미만인 경우에 해당되는데요. 기존에는 이른둥이라도 36개월까지만 종일제 이용이 가능했으나, 올해부터는 4개월이 추가돼 총 40개월 영아까지 종일제 이용이 가능할 방침입니다. 이로써 맞벌이 부부들의 양육부담이 완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올해부터 경증 장애 손자녀 조부모 돌봄 수당이 신규로 지급됩니다. 아이돌보미 자격을 갖춘 조부모가 경증 장애가 있는 손·자녀를 돌봄 시 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게 됩니다.
✅ 이른둥이(미숙아) 영아종일제 기한 연장 : 생후 36개월 → 생후 40개월
✅ 경증 장애 손자녀 돌봄 조부모* 돌봄수당 지급(신규)
2025년 아이돌봄서비스 이렇게 달라집니다
3. 긴급 돌봄 서비스 부담 완화
피치 못할 사정으로 인해 아이를 갑자기 맡겨야 하는 일이 생기면 긴급 돌봄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죠. 2025년부터는 긴급돌봄 서비스 이용 금액이 기존 건당 4,500원 → 건당 3,000원으로 낮아집니다. 이용료가 인하되어 긴급 상황에서도 경제적 부담 없이 아이를 맡길 수 있을 전망이에요!
또한 기존에는 복직 예정자만 아이돌봄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었는데요. 올해부터는 복직은 물론 취업 예정자도 양육 공백 인정기준에 포함되어, 취업예정일 30일 전부터 아이돌봄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게 됐습니다.
✅ 긴급 돌봄 서비스 부담 완화 : ('24년) 건당 4,500원 → ('25년) 건당 3,000원
✅ 양육 공백 인정기준에 취업예정자*도 포함 : ('24년) 복직 예정자 → ('25년) 취업·복직 예정자
2025년 아이돌봄서비스 이렇게 달라집니다
4. 아이돌보미 근무환경 개선
아이돌보미 종사자들의 안정적인 근무환경과 처우 개선을 위한 개선 방안도 시행됩니다. 먼저 돌봄수당이 인상되었는데요. 작년 시간당 돌봄수당 10,110원 → 올해 돌봄수당이 시간당 12,180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 기본 서비스 이용료는 늘었지만 정부지원금이 늘어나 결론적으로는 이용료가 줄어드는 셈인데요. 이 밖에도 영아돌봄 추가 수당이 새롭게 생겨 시간당 1,500원을 더 받을 수 있을 전망입니다.
✅ 시간당 돌봄수당: ('24년) 11,630원 → ('25년) 12,180원
✅ 영아돌봄 추가수당: 신규('25년) 1,500원/시간당
아이돌보미 서비스 & 정부지원 신청 방법
아이돌보미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우리동네 서비스 제공기관과 연결(☎1577-2514)하시거나 아이돌봄 누리집(https://www.idolbom.go.kr/front/) 혹은 아이돌봄서비스 모바일 앱을 다운로드 후 서비스 신청이 가능합니다.
✅ 우리동네 서비스 제공 기관 연결 ☎1577-2514
✅ 아이돌봄 누리집
✅ 모바일 앱 '아이돌봄서비스' 검색
정부지원 서비스는 아동의 부모, 양육권자가 전국 읍·면사무소, 동주민센터 방문 또는 복지로(www.bokjiro.go.kr)에서 온라인으로 신청이 가능합니다. 정부지원은 ▲대상 아동 기준, ▲양육 공백 기준, ▲자녀 양육 정부 지원 중복 금지 기준, ▲가구 소득 기준 등 유형에 따라 지원 범위가 달라지는 만큼 아이돌봄 누리집에서 정부지원 대상 모의계산을 먼저 실시해 보시고 신청해 보시기 바랍니다.
1. 대상아동 기준 |
· 대한민국 국적과 주민등록번호를 유효하게 보유하고 있는 아동 · 아동 연령 - 영아종일제 서비스 : 생후 3개월 이상 ~ 만 36개월 이하 - 시간제 서비스 및 질병 감염 아동지원 서비스 : 생후 3개월 이상 ~ 만 12세 이하 |
2. 양육공백 기준 |
· 양육공백 확인 - 사회복지통합망(행복e음)에서 확인되는 서류(건강보험료, 가족관계 등)는 별도 제출 불필요 - 직장건강보험에 가입한 경우 별도의 증빙서류 없이 취업한 것으로 인정 - 그 외의 경우 양육공백 입증서류 제출 · 양육공백 가정 종류 1. 맞벌이 가정 2. 한부모 가정(조손가족 포함) 3. 장애부모 가정 4. 다자녀 가정 5. 다문화 가정 6. 아동학대 피해위기 아동 가정 7. 기타 양육부담 가정 |
3. 자녀양육 정부지원 중복금지 기준 |
· 영아종일제 서비스 - 보육료 및 유아학비, 양육수당(농어촌 양육수당 포함), 부모 급여, 아이돌봄서비스 시간제 정부지원을 받는 아동은 영아종일제 중복지원 불가 · 시간제 서비스 - 보육료 및 유아학비를 지원받는 아동의 경우 보육 시설 및 유치원 이용 시간(종일제, 반일제, 시간연장제)에는 정부지원 불가 |
4. 가구소득 기준 |
· 건강보험료 본인 부담금 납부액(노인장기요양보험료 제외)을 기준으로 월평균 가구소득 금액을 산정 · 가구소득 금액이 유형별 월평균 가구원수별 소득기준(가구원수별 상이)을 충족한 경우 정부지원 결정 |
신청권자 |
· 아동의 부모, 양육권자 (가정위탁 부모 포함) · 정부지원 판정 신청자, 아이돌봄 홈페이지의 회원가입자와 국민행복카드 명의자는 모두 동일해야 합니다. |
신청장소 |
· 전국 읍·면사무소, 동주민센터 방문 또는 복지로(www.bokjiro.go.kr) 온라인 신청 |
신청서식 |
1. 사회보장급여 신청(변경)서 2. 정부지원 자격 증빙자료 |
신청 후 처리기한 |
· 14일 이내 |
저출산 해소에 기여하는 아이돌봄서비스~! 올해는 더 많은 가정에서, 더 부담 없는 비용으로 아이돌봄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전망인데요. 오산시민 여러분 중 아이돌봄서비스가 필요하신 분은 아래의 아이돌봄서비스 홈페이지를 방문하셔서 자세한 돌봄 활동 범위, 서비스 이용 요금 등을 자세히 확인하셔서 신청해 주시기 바랍니다.
- #아이
- #돌봄
- #돌봄서비스
- #아이돌봄서비스
- #아이돌봄서비스정부지원
- #아이돌봄서비스소득기준
- #아이돌봄서비스비용
- #아이돌봄
- #아이돌봄서비스신청
- #아이돌보미
- #정부지원
- #저출산
- #오산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