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민기자단 | 조선시대 충청도 평택현의 역사여행 경기도 문화유산 팽성읍 객사
아산호, 안성천을 경계로 하는 평택시 팽성읍은
조선시대 충청도 평택현에 속한 지역이었습니다.
그 이후로 몇 번의 통폐합을 거쳐 지금의 행정구역이 되었네요.
지금으로부터 500여 년 전 조선시대의 역사를 들려주는 곳이 있으니
팽성읍 객사와 평택향교이네요.
평택향교는 당시의 공교육 기관이었으며 팽성읍 객사는
당시의 지방 관리들이 머무르던 숙소였습니다.
그중 팽성읍 객사를 돌아봅니다.
팽성읍 행정복지센터, 부용산 사이 도로 옆으로
팽성읍 객사가 위치하였습니다.
솟을 대문을 중앙으로 좌우로 행랑채가 이어지네요.
팽성읍 객사는 대문간채와 9칸의 본채로 구성되었습니다.
문이 굳게 닫혀있고 9월 28일 토요일
임금님 만나러 가는 길 행사가 안내됩니다.
임금님 만나러 가는 길은 팽성읍 주민들이
매년 진행하는 전통문화 재현행사입니다.
오후 1시부터 6시까지 사신을 찾아라. 바느질 부대. 배워서 남주자.
임금님 만나러 가는길 4개의 프로그램이 각 1회 ~8회까지
진행되는 관심 있는 분들은 9월 28일 기억하세요.
팽성읍 객사는 이렇듯
평소에는 굳게 문이 닫혀있다 행사가 있을 때면 개방됩니다.
그럼에도 돌담을 따라 살짝 둘러볼 수 있어 관람은 가능하였습니다.
솟을 삼문 안쪽으로 9칸의 본채가 건너다보입니다.
중대청의 본채가 중앙에 그 좌우로
동헌 서헌 각 3칸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조선시대 객사 건물의 전형적 형태로 가로로 길게 연접되었습니다.
붉은 기둥과 회색 기와가 앞마당의 초록 마당과 멋지게 어우러지네요.
중대청안에는 왕을 의미하는 전패가 모셔져
고을 수령이 한 달에 두 번 배례를 올렸다 합니다.
좌우의 동헌 서헌은 다른 지방 관리들이 머무르던 숙소였습니다.
낮은 마루가 깔리고 안쪽으로 방이 있는 형태입니다.
솟을삼문 좌우로 문간채가 각각 3칸 4칸으로 이어지고
객사 전체가 빙 둘러 돌담으로 연결됩니다.
홍살문을 사이에 두고 조선시대와 2024년 현재의 시간이 공존하네요.
객사 뒤편은 작은 숲이 있어 마을 주민들의 쉼터가 되었습니다.
정자에서 주민 몇 분이 두런두런 이야기를 나누시네요.
작은 오솔길을 따라 객사 한 바퀴를 돌아보게 됩니다.
객사 측면에서는 솟을 삼문에서 연결되는 행랑채가
좀 더 자세하게 건너다보이네요.
외관상으로는 아주 잘 보존되고 있는 모습이었습니다.
수백 년의 시간을 지나 객사는 초석, 기둥, 서까래 등
기본적인 원형은 잘 보존되고 있으나 일부 내부는 개조되었다고 합니다.
팽성읍 객사는 조선시대 충청도 평택현이었던
팽성읍의 역사를 품고 있습니다.
조금 더 자세하게 둘러보고 싶은 분들이라면 9월 28일을 기약하세요.
임금님 만나러 가는 길 행사가 개최되면서 굳게 닫힌 문이 활짝 열립니다.
성읍 객사 :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동서촌로 101-3
#평택 #평택시 #평택시민기자단 #경기도문화유산 #팽성읍객사 #평택향교 #평택문화재 #임금님만나러가는길 #행사
- #평택
- #평택시
- #평택시민기자단
- #경기도문화유산
- #팽성읍객사
- #평택향교
- #평택문화재
- #임금님만나러가는길
- #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