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년 전
장례식장 예절과 조문 예절 (feat. 복장, 절하는 법 등)
평소와 달리 평소보다 예의를 갖춰야 할 상황이 있습니다. 바로 결혼식이나 장례식과 같은 경조사와 관련된 장소를 방문할 때인데요. 이런 상황에서 예절에 맞게 행동하지 못할 경우, 자신의 의도와 달리 상대에게 무례한 사람으로 인식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여러 상황 중에서도 오늘은 헷갈리기 쉬운 장례식장 예절과 조문 예절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장례식 갈 때 올바른 복장은?
가까운 친척이나 지인에게 상을 당했다는 연락이 오면, 가급적 빨리 상가에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때는 아무리 가까운 사이라고 해도 복장을 바르게 하고, 상주에게 정중한 태도로 예의를 지켜야 하는데요. 남성의 경우 검정 양복이 원칙이지만, 갑자기 소식을 접했거나 검정 양복이 준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감색이나 회색을 입어도 괜찮습니다. 단, 와이셔츠는 흰색, 넥타이, 양말, 구두는 검은색으로 준비해야 합니다.
여성의 경우, 검은색 상의와 스커트에 무늬가 없는 스타킹을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장갑이나 핸드백 등 액세서리도 검은색으로 통일해야 하는데요. 눈에 띄는 액세서리나 화려한 화장은 되도록 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상가에 도착하면 외투나 모자를 미리 벗어 두고, 상주에게 가볍게 목례를 한 뒤 영정 앞에서 분향을 합니다. 분향을 할 때에는 향을 한 개 또는 두 개를 집어 성냥불이나 촛불로 불을 붙여야 하는데요. 이후 향에 붙은 불을 손가락으로 가만히 잡아서 끄거나 왼손을 가볍게 흔들어 끈 다음 두 손으로 향로에 꽂으면 됩니다. 단, 향을 끌 때는 입으로 불어서 끄면 안 되고, 향로에 향이 3개 이상 꽂혀 있으면 분향을 생략하는 경우도 있으니 참고해 주세요.
분향을 하고 난 뒤에는 영정에 절을 하고, 한 걸음 물러서서 상주와 절을 하면 됩니다. 조문할 때는 종교에 따라 분향을 하지 않고 영정에 묵념만 하거나 국화꽃을 헌화하는 경우도 있으니, 사전에 미리 알아두고 실수하지 않도록 합니다.
절에도 방법이 있다?
절에도 방법이 있습니다. 특히 장례식장에서는 절하는 방법도 조금 다른데요. 모두 영정 앞에서 큰절을 두 번 하는 것이 일반적인 상례입니다. 먼저 남녀 모두 두 손을 모아 앞으로 잡는 공수(拱手) 자세를 취해줍니다.
남자는 오른손이 위로, 여자는 왼손이 위로 가도록 두 손을 가지런히 모아서 포개주세요. 남자는 맞잡은 손을 눈높이까지 올린 후 손바닥으로 땅을 짚어 왼쪽 무릎을 먼저 꿇어앉고, 오른쪽 무릎을 꿇은 다음 몸을 깊이 숙여 절합니다. 이 과정을 두 번 반복한 후 영좌에서 물러나 상주와 맞절을 하면 됩니다.
여자는 공수한 손을 눈높이로 올린 다음 손바닥은 바닥을 향하고 눈은 발등을 향하도록 합니다. 이후 손을 눈높이에 둔 채 무릎을 꿇고 앉으면서 몸을 앞으로 깊이 숙여 두 번 절하면 됩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던 몸을 숙일 때 두 손바닥을 양옆으로 놓는 절은 평절이기 때문에 장례식장에서는 하면 안 된다는 사실을 명심해 주세요. 또한, 문상이 끝나고 나올 때는 두세 걸음 뒤로 물러난 후 몸을 돌려 나오는 것이 예의입니다.
조의금 전달 등 문상 시 지켜야 할 예절
부의 봉투, 조의금을 전하는 데도 예절이 있습니다. 조의금 봉투에는 부의(賻儀)라고 쓰는 것이 일반적이나, 근조(謹弔), 조의(弔儀), 전의(奠儀)라고 쓰기도 합니다. 봉투 안에는 부조하는 물건의 수량이나 이름을 적은 단자(單子)를 써야 하며 단자에는 금 ○○원이라고 쓰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부조하는 사람의 이름 뒤에는 아무것도 쓰지 않아도 되지만, 근정(謹呈) 또는 근상(謹上)이라고 쓰기도 합니다. 단자의 마지막 부분에는 호상소(초상을 치는 데에 관한 일을 맡아보는 곳) 입납, 귀중이라고 적어주세요. 단, 요즘에는 호상소가 없는 경우가 많으니 쓰지 않아도 무방합니다.
이 외에도 문상 시에는 유가족을 붙잡고 말을 시키거나 고인의 사망원인을 상세하게 물어보는 등의 행동은 삼가야 합니다. 아는 사람을 만났다면 낮은 목소리로 조심스럽게 말하거나 조문이 끝난 후 밖에서 따로 이야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집안 풍습이나 종교가 다른 경우가 많으니 상가의 가풍에 따라 조심스럽고 신중하게 문상을 해야 합니다.
슬픈 일을 당한 분들을
위로하기 위해 행하는 문상,
올바른 예절로 진심 어린 위로를
전하시기 바랍니다.
ㆍ참고자료
- #남양주
- #남양주시
- #남양주시청
- #장례
- #장례식
- #장례식장
- #예절
- #조문
- #복장
- #절하는법
- #조의금
- #문상
- #부의
- #풍습
- #종교
- #상가
- #상주
- #위로
- #장례식장예절
- #조문예절
- #장례식장복장
- #장례식장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