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 비전 1동에는

비전동, 동삭동, 죽백동, 청룡동, 월곡동이 속합니다.

동삭동의 자연마을은 상서, 하서재, 모산골이 있는데요.

농촌 마을이었던 서재는 1990년대 이후부터 개발되어 아파트 단지들이 빼곡하게 들어섰습니다.

동삭동 서재마을에는 사군자근린공원이 있습니다.

사군자근린공원 입구에는

서재마을 유래를 알리는 표지석이 있습니다.

평택시 상서재와 하서재를 돌아보면서 '서재'의 의미가 궁금했는데 이곳에서 궁금증이 풀렸습니다.

표지석 내용을 그대로 옮겨보면

서재마을은 삼남대로 갈원-소사 구간에 위치한 마을로 정종의 아들인 덕천군이 마을을 개척한 뒤 서당을 짓고 학문을 가르쳤다하여 서재(書齎)라 불렀다. 세월이 흘러 지금은 서재(書才)마을로 불리고 있으며 법원·검찰청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새로운 도시의 모습으로 변모했다.

조선 초기 덕천군이 마을을 개척하고서 서재마을은 서당을 지을 만큼 번화가였나 봅니다.

사군자근린공원입니다.

사군자란 동양화에서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를 그린 그림을 말하는데요.

조선시대 선비들이 흠모했지요.

조선시대 유학사상에서 기본이 되는 도덕 지침이 '삼강오륜'이라고 생각하는데요.

사군자근린공원에는 삼강오륜 열주석도 있습니다.

서재마을 유래를 알 수 있는 사군자근린공원을 살펴봅니다.

사군자근린공원 입구 군자의 기세로 서 있는 소나무입니다.

사군자근린공원에는

꽃담과 삼강오륜 열주석, 계류, 연못인 별성원,

정자인 사모정, 배드민턴장과 체육시설, 오름동산, 화장실이 있습니다.

사군자근린공원에는 저류지가 있습니다.

비가 오면 빗물이 흘러 저장되는데요.

재해예방을 위한 시설입니다.

사군자근린공원 광장 언저리에는 운동기구가 있고

광장 바닥에는 바닥 벽돌을 이용하여 네모 공간을 표시하였고

모서리에는 동서남북 방위에 맞춰 사신도가 그려진 바닥재들 두었습니다.

사신도는 고구려 벽화에서 등장하는데요.

동쪽의 청룡과 서쪽의 백호, 남쪽의 주작, 북쪽의 현무입니다.

사각형 낮은 열주석에는

삼강오륜의 글귀가 적혀있습니다.

삼강오륜은 유교의 도덕사성의 기본으로

세 가지 강령과 다섯 가지 인륜을 담고 있습니다.

삼강은

군위신강, 부위자강, 부위부강이며

오륜은

군신유의, 부자유친,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입니다.

마을 수호신인 솟대와 꽃담이 아름답습니다.

사군자근린공원을 돌아보면 이름에 걸맞게 시간 여행을 하는 기분이 듭니다.

겨울이라 물이 흐르지 않지만 봄이 오면 시냇물처럼 물이 흐를 텐데요.

계류가 공원을 가로질러 봄과 여름, 가을이면 풍경이 아름답습니다.

사모정 정자 옆으로 별성원 연못이 있습니다.

사모정에 오르면 평지 공원이지만 공원 풍경이 한눈에 들어옵니다.

평상이 있는데요.

봄과 여름 나무 그늘에서 쉬어가기도 좋고 가족 나들이도 좋을 듯합니다.

꽃 피는 봄과 녹음이 우거진 여름 풍경이 아름답고

가을 단풍도 보기 좋습니다.

서재마을 유래를 알 수 있는 사군자근린공원 돌아보았습니다.

어떠신가요?

사군자근린공원 앞으로는 바람길숲이 있어 함께 산책하기 좋습니다.


#평택 #평택시 #평택시민기자단 #사군자근린공원 #평택사군자근린공원 #서재마을 #서재마을유래 #평택동삭동 #동삭동공원

{"title":"평택시민기자단 | 서재마을 유래를 알 수 있는 동삭동 사군자근린공원","source":"https://blog.naver.com/pt_story/223755595995","blogName":"평택시 공..","domainIdOrBlogId":"pt_story","nicknameOrBlogId":"평택시","logNo":223755595995,"smartEditorVersion":4,"lin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outsideDisplay":true,"me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