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일 전
제주에서 떠나는 과거 여행! 국가유산 제주목 관아
제주목 관아
제주의 과거를 느낄 수 있는 곳
조선시대 제주지방 통치의 중심지였던
제주목 관아는 지금의 제주 관덕정(보물)을 포함하는
주변 일대 주요 관아시설이 자리하였던 곳으로
탐라국 이래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제주의 정치·행정·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해왔다.
관아시설은 1434년(세종 16) 관부의 화재로
건물이 모두 불타 없어진 뒤 바로 역사를 시작하여
그 다음 해인 1435년에 골격이 이루어졌으며, 조선시대 내내 증·개축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제주목 관아는 일제강점기 때 집중적으로 훼철되어
관덕정을 빼고는 그 흔적을 찾아볼 수가 없었다.
이에 제주시에서는 1991년부터 1998년까지 4차례 발굴조사를 진행한 결과
탐라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의 여러 문화층과 함께 제주목 관아의 주요 시설이었던
동헌·내아 건물 터 등의 위치와 규모를 확인하였다.
1993년 3월 30일에 제주목 관아지 일대가 사적으로 지정되었고
발굴 과정에서 확인된 초석·기단석 등을 토대로 하고
『탐라순력도(耽羅巡歷圖)』와 『탐라방영총람(耽羅防營總攬)』 등
당의 문헌 및 중앙문화재위원·향토사학가·전문가 등의 고증과 자문을 거쳐
지난 2002년 12월 복원공사를 완료하여 제주 고유의 역사적 숨결을 전해주고 있는 장소이다.
(내용 출처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 설명)
제주목 관아는 제주 원도심에 자리 잡고 있어
동문시장과 칠성로와 가까운 위치여서
오고 가며 자주 볼 수 있는데요.
관람하기 좋은 지리적 위치여서
제주공항 도착 혹은 출발 전에
여행 이동 동선에 넣기 좋아 많은 분들이 찾는 곳입니다.
이젠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때문에
더 많은 분들이 몰릴 것 같습니다.
제주목 관아 위치 & 주차장
◾ 관덕정 서측 공영주차장(36대) 주소 : 삼도이동 1024
◾ 무료주차장(21대) 주소 : 삼도이동 102-2번지
◾ 성내지구공영주차장(41대) : 삼도이동 839
✅ 관람시간 : 연중무휴
입장시간 : 09:00~17:30
관람시간 : 09:00~18:00
제주목 관아 귤림야행 기간에는
야간개장을 무료 개방하기도 합니다.
작년에는 5월~10월(6개월간)
야간개장 무료입장이었습니다.
✅ 관람요금
어른 : 1,500원
청소년 및 군인 800원
어린이 400원
제주목 관아 관람 동선
관람 동선은 자유롭게 돌아도 무방하겠지만~ 제주목 관아에서 표기되어 있던 관람 동선을 따라가면 효율적인 관람이 될 것 같습니다.
📍 외대문 → 회랑 → 연못 → 우련당 → 홍화각 → 연희각 → 망경루 →
목관아비석군 → 귤림당 → 과원 → 영주협당 → 중대문 → 관덕정
동선은 위와 같지만 일단 입구에 있는 관덕정부터 보고 들어갔습니다.
제주 관덕정
제주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 중 하나
‘관덕(觀德)’이란 문무의 올바른 정신을 본받기 위해
‘사자소이관성덕야(射者所以觀盛德也)’에서 따온 말로,
평소에 마음을 바르게 하고
훌륭한 덕을 쌓는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관덕정은 활쏘기와 무예를 연습하는 군사 훈련장으로
세종 30년 제주목 관아 앞에 지어졌어요.
일제강점기에 제주목 관아 건물의
대부분이 철거되었으나
관덕정은 일제가 관청으로
사용 한 덕에 유지되었더라고요.
오래된 건물을 이렇게 자유롭게 이용해도 되는 걸까?
싶을 만큼 편안하게 오를 수 있는 관덕정
신발만 벗으면 누구나 들어갈 수 있습니다.
외대문 外大門
탐라포정사, 진해루라 불리던 관아의 관문
2층 누각 건물로 종을 쳐서 성문을 여닫는
관아의 관문 종루로도 활용되었습니다.
하마비
[수령이하개하마]라는 글이
새겨져있습니다.
수령(목사) 이하의 모든 사람들은
말에서 내려 걸어가게 하라는
뜻이 새겨져 있는 표지석입니다.
진해루 안으로 들어서면
중대문이 한눈에 들어왔어요.
들어서서 왼쪽으로는
우련당과 연못이 있고
(사진에 보이는 건 홍화각)
오른쪽으로 영주협당입니다.
관람 동선 따라 과거로의 시간 여행 시작해 볼까요?
외대문 들어서자마자
왼쪽의 회랑
제주목 역사관
긴 복도를 따라 제주의 역사를
연대별로 정리를 잘 해두었어요.
한 번에 다 알아갈 순 없겠지만
올 때마다 관람 전에 들러봐야 할 곳!
회랑을 둘러본 뒤에
연못을 지나 우련당으로 이동합니다.
연못
1526년(중종 21)에 이수동 목사가
성(城) 안에 우물이 없으면 적이 침입하여 성을 포위하거나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구급하기 어렵다 하여
못을 파고 가두어 연못을 만들었다고 전해집니다.
우련당
이수동 목사가 연못을 만든 후 세운 정자로
연회를 베풀고 공물(貢物)을 봉진하던 장소
홍화각
왕의 어진 덕화가 백성에
두루 미치기를 기원한다는 뜻의
홍화각은 정면 5칸 측면 4칸
절제사(목사가 겸한 군사직)가
집무하던 영리청으로 사용되었던 곳입니다.
탐라고각이라 불리었을 정도로 관아 건물 중
가장 웅장하고 화려한 홍화각
홍화각에서 꽤 오래 머물렀어요!
신발을 벗고 들어설 수 있기 때문에
안쪽으로 들어가 바깥 풍경을 보는 즐거움도 쏠쏠했습니다.
홍화각에서 보이던 매화꽃과 귤림당
홍화각에서 보이던 우련당
연희각
목사가 집무하던 곳으로 상아의 동헌
목사의 정아 등으로도 불렸습니다.
망경루
가장 북쪽에 위치한 망경루
임금이 있는 서울을 바라보며
그 은덕에 감사드리며 예를 올리던 곳
제주 앞바다에 침범하는 왜구를 감시하는 역할도 하고 있어 가장 중요한 곳
제주목 관아에 왔다면
망경루에서 바라보는 풍경을 빼먹을 순 없어요!
2층으로 오를 때 경사가 좀 있습니다.
손잡이를 잡고 조심스럽게 오르세요!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빌딩들 사이의🏢
고즈넉함을 보여주는 제주목 관아
고즈넉하다는 표현 밖에
달리할 말이 없을 만큼
고즈넉한 풍경의 제주목 관아
망경루에서 보이는 풍경
망경루에서 본 연희각
귤림당 뒤에 있는 오래된 느티나무가
빌딩과 맞먹을 만큼 크다는 것도
망경루 2층 누대에서 확인할 수 있었네요~
망경루 1층 내부 공간
탐라순력도를 주제로 한 역사 체험공간
귤림당
목사가 한가한 시간에 거문고를 타고
바둑을 두거나
시를 지으며 휴식을 취하던 장소
제주목 관아 과원으로 이동합니다.
귤림당 바로 뒤편에서 이어지는데
바로 옆에 영주협당으로 들어설 수 있어요.
저는 일단 동선대로 따라가봤습니다!
제주목 과원
18세기 후반에 제작된
「탐라방영총람」에 따르면
제주성안에 동서남북중과원 5개와
별과원등 6개의 과원이
그려져 있습니다.
목사가 쓴 「남환박물(1714)」에도
'동헌 옆 귤림당에 북과원을 지었다'고 기록
현재 제주목 관아의 귤림 과원은
이형상 목사의 「탐라순력도(1702)「에
그려진 귤림풍악의 모습을 재현해 놓은 것
증보탐라지에 따르면 당시 과원에는
감자, 당금귤, 동정귤, 유감, 청귤,
산귤, 당유자, 탱자 등의 감귤나무와 🍊
치자, 등자 등이 심어져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합니다.
영주협당
군관들이 근무하던 관청
건물의 규모는 정면 5칸 측면 3칸
가구는 1고주 5량 구조
공포는 초익공 겹처마에 팔작지붕
영주협당까지 둘러보고는
매화가 피어있는 매실나무 이끌려
발걸음을 옮겼습니다.
3월 초에 방문했다면
아름다운 매화가 가득한
제주목 관아를 만날 수 있으니
기억해두셨다가 시기가 맞는다면 내년에 둘러보세요~
낭쉐
나무로 만든 소를 이르는 말로
탐라국입춘굿의 상징물
과거 탐라국 시대부터 입춘을 맞아 탐라의 왕이
나무로 만든 소가 끄는 쟁기를 잡고
밭갈이하는 의례를 통해
한 해의 풍년과 도민의 안녕을 기원했던 친경적전에서 유래
이를 춘경 또는 입춘춘경이라 부릅니다.
궂은 날씨에도 외국인 관광객분들은
꼼꼼하게 둘러보시더라고요.
제주에서 과거로 여행을 떠날 수 있는
제주목 관아를 방문하셔서 뜻깊은 추억 만들고 가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 제주특별자치도 블로그 이웃 추가하기 ▼
- #제주
- #제주도
- #제주도청
- #제주특별자치도
- #빛나는제주
- #제주여행
- #과거
- #조선시대
- #국가유산
- #목관아
- #제주목관아
- #매화
- #귤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