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철이라 비가 많이 오고 날씨는 점점 더 더워지기 시작합니다. 휴가 떠날 채비를 하라는 시그널인 듯합니다.

오늘은 그동안 울산의 관문이라 널리 알려졌던 울산고속버스터미널과 울산시외버스터미널에 대한 내용을 준비했습니다.

괜히 이 내용을 준비한 것이 아니라 얼마 전 7월 11일자로 전국적으로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요금이 평균 5% 정도 인상되었기에 혹시나 고속버스나 시외버스를 이용해 여름휴가 떠나실 분들 그리고 울산으로 휴가 오실 분들을 위해 자타공인 버스 전문기자, 오 기자가 여러분께 필요한 생활정보라 할 수 있는 버스 정보 몇 가지 알려드리려 합니다.

먼저 울산고속버스터미널입니다.

그전에 우리 울산은 최근까지 시달려야 했던 코로나19의 여파로 고속버스터미널이나 시외버스터미널의 분위기가 많이 다운된 상태라 할 수 있습니다. 그만큼 버스편이 많이 줄었고 적자로 인한 노선 폐업 등 코로나19 전후로 사라진 노선들이 상당수입니다.

특히 코로나19 이전에는 각 요일별로 가장 많은 운행횟수와 버스편을 자랑했던 울산→서울 경부 노선이 대체로 그렇습니다. 예전 자료를 수집하기가 힘들어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자료를 보니 정말 그렇습디다.

또한 충남 당진으로 가는 버스도 없어지고 암튼 코로나19 탓에 그전엔 아주 활기로 가득 찼던 터미널들이 많이 죽었다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참 다행스럽게도 얼마 전인 5월 26일부터 울산→대전복합 노선이 다시 원복 되면서 1일 3회에 달하는 운행을 재개했으며 울산→동대구 노선은 지난 2월 13일부터 동대구에서 울산고속터미널에 도착하여 승객을 하차시킨 후 울산시외터미널에서 동대구로 출발하는 방식으로 노선 운영방식이 달라졌다는 점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버스로 동대구로 가실 분들은 울산시외버스터미널로 가시면 되겠습니다.

울산고속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하는 고속버스 노선은 앞서 언급한 서울경부, 광주(유스퀘어), 전주고속, 대전복합 이렇게 4개 노선으로 광역시에 있는 고속버스터미널 치고는 아주 적은 수의 노선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역시나 코로나19로 각 노선별 운행시간이나 운행횟수가 많이 줄어들어 하루에 버스가 아주 없진 않습니다만 배차간격이 길거나 막차가 일찍 끊기는 등 코로나19의 여파가 아직도 터미널에는 남아있다는 점 알려드립니다.

특히 울산고속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하는 고속버스의 운행 시간표는 날마다 다르다고 합니다.

그래서 고속버스 운행 시간표는 고속버스 모바일 앱에서 확인하시되 각 노선별 운임 정보만이라도 이 글에 같이 실어보려 합니다.

울산고속버스터미널 각 노선별 운임표(직접제작)

어느 날 한 번은 아는 지인이 타 지역에서 고속버스를 이용해 울산고속버스터미널에 왔는데 무슨 대관람차가 옆에 붙어있더라며 신기해하시더라구요. 울산 사람들에게는 흔한 일상이 멀리 타 지역 사람들에게는 신기함의 대상이 되는 롯데백화점 그랜드휠이 울산고속버스터미널과 함께 같이 붙어 있습니다.

다들 울산고속버스터미널에 오시면 한 번쯤 '우와~' 할 법한 전경이 펼쳐지는 곳이기도 합니다. 특히 밤에 오시면 더 이쁩니다.

다음은 울산시외버스터미널입니다.

울산시외버스터미널은 앞서 살펴본 울산고속버스터미널과 비교했을 때 그나마 많은 노선의 많은 운행횟수를 확보하고 있지만 그래도 코로나19의 여파로 평일 오후 시간임에도 불구하고 썰렁한 분위기가 감도는 건 매한가지였습니다.

그러나 울산시외버스터미널에 몇 가지 주목할 만한 것들이 있었습니다. 울산고속버스터미널도 그렇고 이 곳 울산시외버스터미널도 그렇고 요 근래에 국내 최대 규모의 운송그룹인 KD운송그룹에서 이 두 터미널의 운영권을 인수하여 운영에 들어갔는데 울산고속버스터미널은 모르겠습니다만 울산시외버스터미널은 인수 직후부터 내부 시설이라든지 내부 분위기가 아주 많이 바뀌었음을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예전 울산시외버스터미널을 기억하시는 분들은 다 잘 아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내부에 있는 시설 위치를 가리키는 이정표부터 시작해 터미널 내부의 또 다른 편의시설을 별도의 공간 속에 두어 안마의자와 좀 더 넓은 대기 좌석들이 조성되어 있었으며 승차권 자동발매기도 다수 설치되어 있었습니다. 참 다행스러웠습니다.

울산시외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하는 각 노선별 운행 시간표와 함께 운임 정보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울산시외버스터미널을 출발하는 노선으로는 양산, 김해, 부산해운대, 마산, 창원, 동대구, 대구서부, 오산, 수원, 서수원, 부천, 안산, 인천, 동서울, 경주, 포항, 인천공항, 성남, 여주, 이천, 진해, 안동, 영주, 제천, 밀양, 청도, 원주, 춘천, 울진, 삼척, 동해, 강릉, 진주, 고헌, 통영, 영남대, 경산, 하양, 대구대, 구미, 점촌, 충주, 광양, 순천, 목포, 익산, 군산, 동광양, 여수 등 각 권역별로 다양한 노선들이 운행 중에 있었습니다.

그러나 운행횟수가 그리 많지 않다는 것이 참 아쉽게만 느껴졌습니다.

울산시외버스터미널 각 노선별 시간표(직접제작)

울산시외버스터미널 각 노선별 운임표(직접제작)

내부 시설 중에 가장 눈에 띄게 바뀐 것은 바로 승차홈 표지판이었습니다. 예전엔 지금의 울산고속버스터미널 승차홈 표지물과 같았는데 이번에 가보니 완전히 다른 분위기의 표지물이 설치되어 있었습니다.

  • 0번승차홈 : 고양, 의정부, 익산, 군산, (동)광양, 순천, 여수, 목포, 여주, 이천, 인천공항

  • 1번승차홈 : 동서울

  • 2번승차홈 : 서대구, 안동, 영주, 제천

  • 3번승차홈 : 동대구

  • 4번승차홈 : 창원, 진해, 오산, (서)수원, 부천, 성남, 안산, 인천, 원주, 횡성, 홍천, 춘천

  • 5번승차홈 : 밀양, 청도, 구미, 점촌, 문경, 수안보, 충주, 경산, 영남대

  • 6번승차홈 : 경주, 포항, 대구대, 영천, 신도청

  • 7번승차홈 : 포항, 울진, 삼척, 동해, 강릉

  • 8번승차홈 : 마산, 고현, 통영, 양산(심야)

  • 11번승차홈 : 해운대

  • 12번승차홈 : 양산, 김해, 진주

  • 13번승차홈 : 양산, 진주(예정)

하나 새로운 조짐이 있었습니다.

앞서 승차홈 사진에서 3번 동대구와 함께 하얀 종이로 가려진 부분은 대전(고속)이었거든요?

위의 사진에 나와있는 9번 승차홈은 서울경부(고속), 10번 승차홈은 광주(고속), 전주(고속)이라 쓰여 있었으나 역시나 하얀 종이로 가려져 있었습니다. (고속)노선의 승차홈이 시외버스터미널에 설치되어 있다는 것은 아마도 수일 내에 울산고속버스터미널과 시외버스터미널이 합쳐질 수도 있다는 조짐이 아닐까 조심스럽게 추측해 봅니다.

이렇게 오늘은 울산고속버스터미널과 울산시외버스터미널의 운행정보와 최근 7월 11일자로 평균 5% 정도 인상된 버스 운임 정보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치솟는 물가에 버스 요금마저 오르니 막막하실 겁니다.

어서 빨리 원기회복되어 다시 안정세를 찾고 울산고속버스터미널과 울산시외버스터미널에도 하루빨리 일상이 찾아오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title":"[블로그 기자] 울산시외고속버스터미널과 7월 11일자로 변경된 시외고속버스 요금정보","source":"https://blog.naver.com/ulsan-namgu/223159242384","blogName":"울산광역시..","blogId":"ulsan-namgu","domainIdOrBlogId":"ulsan-namgu","logNo":223159242384,"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