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히지 않는 하나의 눈짓이 되고자 했던 - 통영 해평열녀사당
잊히지 않는 하나의 눈짓이 되고자 했던
여인이 있습니다. 죽음도 갈라놓지 못한
사랑 이야기 또는 조선 유교 사회가 만든
이데올로기의 상징과도 같은 흔적을 찾아,
통영 <해평 열녀 사당>으로 향했습니다.
<해평 열녀 사당>은 통영 도심을 지나
충무교를 건너 산양도 용화산 자락 아래
바닷가에 이르면 만날 수 있습니다.
통영항이 보이는 봉평동 김춘수 유품 전시관
근처에 차를 세웠습니다.
<김춘수 유품전시관> 한쪽 벽면에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벽면에 쓰여 있습니다.
전시관 뒤편으로 걸음을 옮겼습니다.
자세히 보지 않으면 그냥 지나칠
시멘트 담장 사이로 정려각이 보입니다.
비각에는 '고(故) 해평(海坪)
열녀(烈女) 사(祠)'라는 편액이 걸려 있습니다.
지역 문화자원 플랫폼 <지역 N 문화>에 따르면
"옛날 경상남도 통영 용화산 자락에 해평이라는
마을이 있었다. 시집온 지 몇 달 안 되는 새댁이
살고 있었는데 어느 날 남편이 고기를 잡으러
바다에 나갔다가 늦도록 돌아오지 않았다.
같이 배를 타고 갔던 사람이 찾아와
남편이 심한 파도에 휩쓸려 물에 빠져 죽었다는
소식을 전하였다. 부인은 놀라고 슬픈 마음에
남편이 빠졌다는 바다를 찾아가서는 자신도
물에 뛰어들었다. 사흘 뒤 부인이 남편을
끌어안은 채 두 시신이 바다로 떠올랐다.
깜짝 놀란 마을 사람들은 시신을 거두어
합장해 주었다. 얼마 뒤 주변 산나무의
나뭇잎마다 벌레가 갉아 먹은 흔적을 살펴보니
열녀라는 두 글자가 선명히 적혀있었다고 한다."
<지역 N 문화>에 소개된 내용과 달리
비각 안내문에는 뒷날 이 마을에
가뭄이 극심하고 돌림병이 창궐했는데
현감의 세숫대야에 '열녀(烈女)'라고 새겨진
버들잎이 떨어지는 이변이 생겼다고 합니다.
현감이 사유를 알고 '만고창해(萬古蒼海)
일심정렬(一心貞烈)'이라는 비를 세우고
마을 사람들이 열녀 사당을 지어 혼을 위로해
주었더니 재앙과 이변이 사라졌다고 합니다.
조선시대 정절(貞節)을 지키는 여자를
열녀라 하여 정려문(旌閭門)을 세워주고
부호(復戶, 세금면제), 상물(賞物),
면천(신분 상승) 등의 혜택을 주었습니다.
열녀들은 조선시대 찬양의 대상이었지만
오늘날은 비판의 대상이기도 합니다.
열녀는 크게 '충신은 두 군주를 섬기지 않고
열녀는 남편을 두 번 바꾸지 않는다
(忠臣不事二君 烈女不更二夫)'라는 의미에서
신하의 충성에 대응되는 절개 있는 행동을 하는
여성을 상징했습니다. 유교가 이데올로기로
남은 조선의 중요한 덕목이었습니다.
조선에서 수많은 열녀가 나오게 된
가장 직접적인 계기는 <삼강행실도>,
<동국신속삼강행실도>와 같은 유교문화의
정착도 있지만 전쟁이 더욱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동아시아 국제전쟁(임진왜란)과
동북아 국제전쟁(병자호란) 등의
전쟁 수행 과정에서 조선 조정이 보여준 무능,
국가에 대한 믿음을 잃게 했습니다.
유교 윤리의식을 강조하며 권위, 기강을
잡으려 했던 유교 사회 기득권층의
노력이 컸다고 생각합니다.
더구나 조선 후대로 갈수록 양반 뿐 아니라
평민과 천민의 열녀와 효자가 증가합니다.
유교 이데올로기의 대중화가 성공한 셈입니다.
다산 정약용(丁若鏞, 1762-1836)도
「효자론(孝子論)」에서 효자를 증명하기 위해
손가락을 자르고 넓적다리를 베는 행실은
예가 아니라고 비판했습니다.
문득 <해평 열녀 사당>에서 지고지순한 사랑을
떠올리면서도 한편으로 교조주의
유교의 한 단면을 보는 듯 씁쓰레하기도 합니다.
- #해평열녀사당
- #통영해평열녀사당
- #열녀
- #효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