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괴산여행 ]

괴산군 가볼만한곳

원형을 잘 유지하고 있는

전학후묘 괴산향교

​​

괴산향교는 조선초기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군 서쪽 1리에 있던 것을 북쪽 2리로 옮겼다는 <신증동국여지승람> 제14권 충청도 괴산군조의 기록 등으로 보아

원래 금산밑에 있던 것을 1521년(중종 16)에 지금의 자리로 옮긴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괴산향교는 평소에는 문이 닫혀있어 내부관람이 불가합니다.

다만 담장이 낮아 외곽을 한바퀴 돌며 건물을 볼 수 있습니다.

괴산향교 명륜당은 1569년(선조 2)에 짓고 1647년(인조 25)에 중건하였으며, 1683년(숙종 9)에 중수했습니다.

그 후 여러 차례 중수해 오다가 1981년에 대성전, 명륜당을 해체 보수하였으며,

2015년에 대성전과 동무, 서무를 해체 보수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괴산향교는 경사지에 남향하여 위치하고 있습니다.

대성전과 동무·서무, 내삼문, 명륜당과 동재·서재, 교직사, 홍살문, 하마비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강학공간인 명륜당이 앞에 배치되고 제향공간인 대성전이 뒤에 배치되는 ‘전학후묘’ 형식입니다.

하마비는 말에서 내려 걸어감으로써 예의를 표시하라는 문구로, 궐문, 능묘, 문묘, 서원 등의 입구에 세우는 비석입니다.

괴산향교 하마비는 홍살문 옆에서 볼 수 있으며, 말에서 내리라는 표지석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제향공간은 대성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겹처마 맞배지붕 건물로

대성전 앞쪽에는 동무와 서무가 좌우에 배치되어 있습니다.

동서무는 정면 3칸, 측면 1칸의 홑처마 맞배집으로 같은 규모와 양식으로 건축되어 있으며,

내삼문은 평삼문으로 정면 3칸, 측면 1칸의 홑처마 맞배지붕 건물입니다.

대성전은 공자를 비롯하여 여러 성현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 지내는 곳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집으로 공자를 주향하고, 그 양편에 4성을 배향하였으며,

동·서 양무는 정면 3칸, 측면 1칸의 맞배집으로 송조 2현 및 우리나라 18현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습니다.​

명륜당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겹처마 맞배지붕 건물로

평면은 동쪽 4칸은 대청마루로 하고 서쪽 1칸을 온돌방으로 구성하였습니다.

명륜당과 내삼문 사이에는 동재와 서재가 좌우에 배치되어 있으며,

동·서재는 정면 3칸 반, 측면 1칸의 홑처마 맞배지붕으로 같은 규모와 양식으로 건축되어 있습니다.

명륜당 앞에 외삼문은 없으며 명륜당 동편의 귀기둥에 이어서 막돌담장을 쌓고

담장 사이에 사주문을 세워 외삼문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전답과 노비·전적 등을 받아 교관이 교생을 가르쳤으나,

현재는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에 석전을 봉행하고 초하루와 보름에 분향을 올리고 있습니다.​

괴산향교는 규모와 형식이 향교의 전형적인 격식을 가지고 있고, 비교적 원형을 잘 유지하고 있습니다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를 제사하고 지방민의 유학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나라에서 지은 교육기관입니다.

괴산향교 입구에는 괴산충효서당 건물이 있으며, 학생들의 예절교육 등 프로그램 때 사용됩니다.


※찾아오시는길

괴산향교 : 충청북도 괴산군 향교길 23


{"title":"[SNS서포터즈] 원형을 잘 유지하고 있는전학후묘 괴산향교","source":"https://blog.naver.com/goesan-gun/223771491121","blogName":"괴산군청 ..","domainIdOrBlogId":"goesan-gun","nicknameOrBlogId":"괴산군청","logNo":223771491121,"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