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2일 전
2025 청년 저축지원 정책

2025년 청년 정책을 분야별로 소개합니다. 이번에 소개해드릴 청년 정책은 금융지원 저축편입니다. 자산형성의 첫 걸음인 정부지원 저축상품을 소개하고 지역별 자산형성 통장사업도 한 번에 정리했으니 끝까지 읽어보세요!

청년도약계좌
이제는 안하면 손해라는! 혜택이 더욱 강화된 2025 청년도약계좌 자세히 알아봐요!
2025년 1월부터 청년도약계좌 기여금이 확대됩니다.

가입자가 만기 때 수령하는 금액은 최대 60만 원까지 증가해 일반적금상품 기준으로 기존 연 최대 8.87%의 수익효과에서 향후 연 최대 9.54%의 수익효과까지 증가할 것으로 기대돼요.
5년이라는 긴 가입기간 때문에 망설이시던 분들이 계시다면 주목! 이제는 3년 이상 유지하고 해지할 경우 정부 기여금 60% 상당과 비과세 혜택을 함께 받을 수 있어요~
그 밖에도 청년도약계좌를 2년 이상 유지하고 800만 원 이상 납입한 청년을 대상으로 개인 신용평가점수를 5~10점 이상 부여하고 있으며, 금융 컨설팅을 희망하는 청년을 대상으로 기초 재무 진단과 전문가 상담을 제공한다고 해요! 4명 중 1명이 들었다는 청년도약계좌 안 들 이유가 없겠죠?!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
작년에 출시된 중소기업의 인력난 해소를 위한 정책금융상품이에요. 연이율 최대 13.5%의 적금의 효과와 5년간 34%의 수익을 올릴 수 있으니, 중소기업에 재직중이라면 꼭 확인해보세요.
5년 만기 상품으로 저축 금액은 월 10~50만 원 범위에서 매달 얼마를 넣을지 정할 수 있어요. 1만 원 단위로 변경하실 수 있습니다.
기업은 재직자 납입금액의 20%를 부담하게 되고, 최종 수령 시에는 개인납입금 + 이자 + 기업지원금 + 공제수익금을 받게 됩니다.
예를 들어 50만원을 납입해서 5년 만기가 되면, 개인납입금 총 3,000만 원과 기업지원금 600만 원(월 10만 원씩 5년간)과 이자와 공제수익금을 더해 약 4,027만 원을 받게 됩니다. ※ 중도퇴사시 기업지원금 반환
기업 혜택도 있어요. 기업 지원금에 대해 경비로 인정해 주고 소득세 및 법인세를 감면해줘요. 그리고 협약 은행은 이 사업에 참여한 중소기업이 대출하면 금리 인하 등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해요.
기업에서는 근로자 복지 증진과 장기근로자 확보로 인력난을 해소하고, 재직자 입장에서는 자산형성과 근로복지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돼요.
장병내일준비적금
군입대를 앞두고 계신 남자분들 넣은 돈이 두배로 불어나는 장병내일준비적금 가입하세요! 병역의무 이행기간 중 급여를 적립함으로서 저축습관 형성을 돕고, 전역 후 목돈마련을 지원하여 사회로 진출하는 첫 발걸음을 성공적으로 내디딜 수 있는 자산형성을 지원하는 군인적금입니다.
장병내일준비적금 요약
군 장병이라면 누구나 가입 가능(현역, 상근예비역, 대체 복무요원, 사회복무요원)
입소 후 신병교육대에서 가입!
자대 배치 후 가입자격확인서 지참 후 시중 은행에서도 가입 가능!
남은 복무 기간이 6개월 이상이어야 가능!
원금 720만원 + 정부 매칭금 720만원 + 은행이자 28.5만원 = 총 1,468.5만 원의 목돈 마련!
2025년부터 납입금액 최대 월 55만원까지 확대
군인적금 혜택
(이자) 5% 수준 은행이자(비과세)
(정부지원) 병역의무 이행자가 전역(소집해제)으로 적금 만기 해지 시 지원금 지원
(24년~) 적금 납입금의 은행이자(5%)에 추가하여 원금의 100%에 해당하는 매칭지원금을 지원
문의 국군재정관리단 02-3146-6544, 6545
병 봉급도 올랐다던데?
2025년에는 지원금도 55만 원으로 늘리고 병 봉급도 약 20% 인상돼요! 따라서 자산형성프로그램 지원금을 포함하면, 월 205만 원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이병: 64만 원 > 75만 원
일병: 80만 원 > 90만 원
상병: 100만 원 > 120만 원
병장: 125만 원 > 150만 원
플랫폼노동 종사자 직업훈련‧자산형성 지원
일자리와 소득이 불안정한 플랫폼노동종사자의 자산형성 지원을 통해 생활 안정과 저축 습관 형성을 지원하며 직업훈련을 통한 자기개발을 실현할 수 있도록 플랫폼노동종사자들의 안정적인 경제생활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지원대상
플랫폼노동종사자 및 프리랜서
지원내용
자산형성지원(10만원, 20만원 적금 금액의 20% 응원 매칭 지원)
이 외에도 각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자산형성 통장사업을 모아봤어요. 각 지자체의 예산에 따라 사업의 진행여부가 결정되기 때문에 작년 기준을 알아보고 저축계획을 짜는 시간을 가져보세요!
서울 희망두배 청년통장
지원 대상
서울시 거주
만 18세 ~ 34세
근로자
본인 근로소득금액 일정 금액 이하
부양의무자 소득 연 1억 미만, 재산 9억 미만
모집 인원: 약 10,000명
지원 내용
본인저축액 월 15만원
매칭지원액 월 15만원
약정기간 2년 또는 3년 중 선택
적립금 총액 (2년)총 720만원 또는 (3년)총 1,080만원
신청 방법
- 온라인 접수 (서울시 자산형성지원사업 홈페이지)
- 주소지 동주민센터 방문 접수
📅예상 신청시기 6월
경기 청년 노동자 통장
지원 내용
매월 10만원씩 2년간 저축
2년 만기 시 총 580만원 지급 (현금 480만원 + 지역화폐 100만원)
지원 대상
경기도 거주 만 19세~39세 청년
근로 중인 청년 (근로 유형 무관)
기준중위소득 120% 이하 가구
신청 방법
온라인 접수 (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 홈페이지)
주의사항
신청 기간이 약 2~3주로 짧으므로 미리 준비가 필요해요~
선정 인원에 비해 신청자가 많아 경쟁률이 높기 때문에 가산점 대상자 확인 및 관련 서류 준비를 미리해두는 것이 중요해요!
📅예상 신청시기 5월~6월
인천 드림For 청년통장
지원대상
인천 거주 18세~39세 이하 재직 청년(생애1회)
인천 소재 근무지 1년 이상(2023. 1. 1. 기준 1년이상 동일근무지) 재직 * 4대보험 가입자 *주당 근로시간 35시간 이상인 자
1인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연소득 4,012만원 이하) * 2023년 근로소득 원천징수 소득확인(비과세 제외)
지원규모: 1,000명
지원내용
3년 만기시 최대 1,080만원의 자산 형성 지원
- 참여자 월 15만원 * 36회 납입 총 540만원
- 인천시 3년 만기시 일괄 지급 총 540만원
주요 신청 정보
신청방법: 인천청년포털 온라인신청
문의: 인천테크노파크 고용안정센터 032-725-3076~8
📅예상 신청시기 4월
부산청년 기쁨두배통장
지원대상
만 18세 이상 34세 이하
부산시 거주
근로 중이며 고용보험 가입 필수
본인 기준중위소득 140% 이하, 가구 기준중위소득 120% 이하
지원내용
매월 10만원 저축 시 10만원 매칭 지원
3년 만기 시 총 720만원(이자 별도) 수령 가능
📅예상 신청시기 7월
대구 청년희망적금
지원대상
만 19세 ~ 39세
신청일 현재 주민등록 주소가 대구시인 자
대구·경북 소재 사업장에서 근로 중이며 고용보험에 가입된 자
본인 월 근로소득 세전 71만원 ~ 268만원 (2024년 기준, 2025년 변경 가능성 있음)
지원 내용
매월 10만원씩 12개월 적립
조건 충족 시 120만원 지원 (총 240만원 목돈 마련 가능)
신청 방법
청년사회진입활동지원시스템 온라인 신청
📅예상 신청시기 6월 중순 ~ 7월 초순
광주 청년13(일+삶)통장
지원 대상
광주광역시 거주 만 19~39세 근로 청년
본인 세전 월 소득 813,102원 이상 ~ 2,674,134원 이하
공고일 기준 3개월 이전부터 계속 근로 중인 자
선정 인원: 610명
지원 내용
본인이 매월 10만원씩 10개월 동안 저축하면 광주시에서 100만원을 지원
총 200만원의 목돈 마련 가능
단계별 금융역량강화 교육 제공
📅예상 신청시기 1월 말 ~ 2월 초
대전 미래두배 청년통장
지원 대상
만 18세 ~ 39세 이하 청년
대전시 거주자
근로 중인 청년 (고용보험 가입 필수)
지원 내용
본인 저축액과 동일한 금액을 대전시가 매칭 지원
월 10만원 또는 15만원 선택 가능
2년 또는 3년간 지원
신청 방법
미래두배 청년통장 포털 온라인 접수
📅예상 신청시기 5월 초~중순
세종 청년 미래적금
지원 대상
관내 6개월 이상 거주 및 근로 중이며, 본인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인 자
모집인원: 115명
지원 내용청년이 15만원씩 3년간 저축 시, 시도 동일 금액 적립하여 만기 일시 지급
※ (만기 수령액) 본인 저축분(540만원) + 시 적립(540만원) + 이자(본인 저축)신청 방법: 세종 청년희망내일센터 홈페이지
📅예상 신청시기 4월 말~5월 초순
전북청년 함께 두배적금 사업
지원대상
중위소득 140%이하인 전라북도 거주 근로 청년(18세~39세)
지원내용
월 10만원 납입시 지자체 동일 금액 매칭지원(만기2년)
참고 누리집
📅예상 신청시기 3월 초
전남 청년희망디딤돌통장
지원 대상
만 18세 ~ 45세
전라남도 거주자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
전라남도 내 사업자 또는 근로자
지원 내용
매월 10만원을 저축하면 지자체에서 매월 10만원을 추가로 적립
36개월 동안 적립하여 총 720만원(이자 별도) 마련 가능
📅예상 신청시기 4월 말 ~ 5월 초
오늘 소개해드린 지역별 청년 통장사업은 각 지자체에서 사업을 계속 진행한다면 25년 일정을 웰로에서 확인하실 수 있어요. 전에 소개해드린 주거지원편에도 청년주택드림 청약통장 등 자산형성 지원사업 내용이 있으니 비교해보세요🥰
관련 정책을 확인해보세요!
- klove
🙂 - 종종빠른히터
응원합니다 - 자주목련
좋아요 - 혬니에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혼자남겨진명함
정보 감사합니다 - 에이레네
감사합니다 - 🏖행복을부르는요정
넘 좋아요 - 결과적으로건강한티모
너무 좋네요~~ - 너무명랑한고래
오ㅓ - 너무명랑한고래
잘보고 갑니다. - 조금예쁜숟가락
오호!! - 예전에사려깊은부엉이
돈내놔 - 다람쥐 🐿 🐿 🐿
관련 정책이 많네요.. - 물레방아
응원합니다 - ♡내사랑수♡
청년들이여 힘내세요 응원합니다 - 땀흘리는사랑꾼!
관련 정책이 엄청 많네요!? - 특히인내심있는강아지
확정 수익 100% 통장 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