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월대보름은 매년 음력 1월 15일로 한 해의 첫 보름이기도 한데요. 요즘은 그 의미와 영향력이 많이 약해졌지만, 과거 우리 조상님들은 정월대보름을 설날만큼 중요하게 여겼다고 해요. 농경사회였던 시절 정월대보름을 봄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리는 날이자 농사를 시작하는 시점으로 보았기 때문이죠! 더불어 세시풍속에서 큰 의미를 지니는 보름달이 처음으로 뜨는 날이었기에 다양한 풍속이 시행됐다고 합니다.

정월대보름 세시풍속 뭐가 있을까?

우리나라에서 가득 찬 보름달은 풍요를 뜻한다고 여겨 새해 첫 보름달이 뜨는 정월대보름에 다양한 세시풍속을 행했습니다. 정월대보름날 하루에 하는 세시풍속이 연간 세시풍속 중 큰 비중을 차지했을 정도라고 하는데요, 강강술래, 동제, 줄다리기, 달집태우기, 쥐불놀이 등 한 해 풍년을 기원하는 풍속과 더위팔기 등의 액막이 풍속 등을 행했습니다.

달집태우기

달집태우기는 정월대보름날 달이 뜰 무렵 나뭇더미를 높게 쌓아 달집을 만들고 불을 붙여 액을 막고 복을 기원하는 행사입니다. 이때 달집이 훨훨 타야 풍년이 들고 마을이 태평하다 여겼는데요. 오래전에는 그해 액운이 든 사람의 저고리 동정이나 생년월일시를 쓴 종이를 붙여 함께 태우기도 했었다고 해요. 요즘은 소원을 적고 소원이 이루어지길 기원하는 일이 많습니다.

쥐불놀이

쥐불놀이는 논밭 두렁의 잡초와 잔디, 들쥐와 해충 피해를 줄이고자 불을 놓는 풍속입니다. 보통 달집태우기 때 불을 붙이는 것을 신호로 하여 논밭 둑에 불을 놓았다고 하는데요, 능선에 마른 풀을 태우면 아이들이 구멍 난 캔에 숯불을 담아 빙글빙글 돌리며 새로 심을 작물에 해충이 오르지 않도록 한 놀이라고 합니다.

지신밟기

지신밟기는 지신을 밟아준다는 의미로 꽹과리, 징, 장구 등으로 이루어진 농악대가 땅을 밟으며 잡신을 쫓고 복을 부르는 내용의 덕담과 노래를 하며 마을 곳곳을 도는 풍속입니다. 집마다 방문하여 재담과 놀이판을 벌이고 가정에서는 쌀이나 금전 등의 답례와 술, 안주를 대접했다고 하는데요, 땅의 신이 복을 가져다준다는 믿음에서 지신에게 고사를 올리고 농악기를 울리며 축원을 빌었다고 합니다.

더위팔기

정월대보름 아침에 처음 만난 사람에게 ‘내 더위 사세요’라고 말하며 더위를 파는 풍속도 있었는데요, 다른 사람에게 더위를 팔면 그해 여름에 무더위를 피하고 더위를 먹지 않는다 믿어 이런 풍속이 행해졌습니다.

정월대보름 음식과 나물 알아보기

정월대보름에는 한 해의 건강을 기원하며 챙겨 먹었던 음식들이 많은데요, 다섯 가지 곡식으로 지은 밥인 오곡밥부터 묵은 나물, 부럼, 귀밝이술 등이 있습니다.

오곡밥

오곡밥은 쌀과 보리, 수수, 팥, 조 등 다섯 가지 곡식을 섞어 지은 밥인데요, 한 해 모든 곡식 농사가 잘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먹었다고 합니다. 오곡밥에 들어가는 곡식들은 지역마다 조금씩 달랐으나 각기 다른 곡식을 통해 영양분을 채우고 한 해의 건강을 비는 의미만큼은 같았습니다!

묵은 나물

정월대보름에는 겨우내 말려두었던 묵은 나물 아홉 가지를 볶아 먹었습니다. 이 묵은 나물을 먹으면 올해 더위를 피할 수 있다 믿었는데요, 「동국세시기」에는 정월대보름에 묵은 나물을 삶아 먹으면 여름에 더위를 타지 않는다는 기록도 전해진다고 합니다.

부럼

‘부럼을 깬다’라는 말이 있죠. 정월대보름이 되면 부스럼이 생기지 말라는 뜻에서 땅콩과 호두, 잣, 밤과 같은 딱딱한 견과류를 깨 먹는 풍습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귀밝이술

귀밝이술은 대보름날 아침 데우지 않은 찬 청주를 마시는 풍습이 있는데요, 이름 그대로 귀가 밝아진다는 의미뿐만 아니라 한 해 동안 좋은 소식만 들을 수 있다는 의미도 담고 있다 합니다.

2025년 올해 정월대보름은 2월 12일입니다!

오래전 다양한 풍속들이 행하며 한 해의 풍요와 건강을 기원했던 날인만큼 여러분도 정월대보름 음식 챙겨 먹으며 올 한 해의 건강과 복을 기원해 보는 건 어떨까요?

▶내용 출처◀

오곡밥·부럼 등 정월대보름에 먹는 전통 음식.. 왜 먹어야 할까?

디지털강릉문화대전지신밟기

온라인가나다 달집태우기

위키백과 정월대보름

세시풍속 7편. 정월대보름의 전통놀이

디지털부여문화대전 정월대보름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대보름

한국민속대백과사전 한국세시풍속사전 대보름



{"title":"2025년 정월대보름 음식과 나물, 세시풍속 등 총정리","source":"https://blog.naver.com/nyjloving/223749456877","blogName":"남양주시 ..","domainIdOrBlogId":"nyjloving","nicknameOrBlogId":"남양주시","logNo":223749456877,"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fals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