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소식] #대전서구 #대전서구소식 #3월소식


<건강칼럼>

흉터와 통증이 적은

무지외반증 수술 치료법


배영렬 원장

가톨릭병원 정형외과 전문의


무지외반증이란 엄지발가락이 두 번째 발가락 쪽으로 과도하게 휘고, 엄지발가락과 관절을 이루는 첫 번째 중족골은 반대로 발 안쪽으로 치우치는 변형을 말합니다. 무지외반증의 원인으로는 선천적 요인과 후천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선천적인 요인으로는 평발과 넓적한 발, 과도하게 유연한 발 등을 들 수 있으며, 후천적인 요인으로는 발볼이 좁고 굽이 높은 신발을 신을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무지외반증 환자들이 주로 호소하는 증상은 변형으로 인한 엄지발가락 돌출부의 통증이 가장 많습니다. 그다음은 변형으로 인한 미용적 또는 기능적 불만족입니다.

무지외반증의 변형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해서 악화되면 엄지발가락이 두 번째 발가락 쪽으로 많이 치우치다가 아예 두 번째 발가락이 엄지발가락 위로 타고 넘어가 발가락이 꼬이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며, 이로 인해 두 번째 발가락이 탈구되거나 지간신경종과 같은 신경 자극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경증의 무지외반증에서는 가죽이 부드러우면서 발볼이 넓고 굽이 낮은 편한 신발을 신어 통증을 완화시키면서 추가적인 변형의 생성 요인을 제거하는 것이 첫 번째 치료이자 예방법입니다.

엄지발가락과 두 번째 발가락 사이에 실리콘 같은 재질의 부드러운 보형물을 끼워서 변형을 일부 교정시킨 상태에서 신발을 신을 수도 있는데 이는 통증 조절에는 어느 정도 효과가 있지만 엄지발가락의 변형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은 아닙니다.

무지외반증으로 인한 통증과 변형이 심해지고 일반적인 신발을 착용하기 힘들어 사회활동에 지장이 있는 경우에는 수술적 교정을 고려해야 합니다.

기존에는 개방적 수술법을 주로 시행하였는데 개방적 수술법은 긴 절개 부위를 통하여 절골하고 연부조직의 균형을 맞추는 수술법으로 정확한 교정을 얻을 수 있지만 수술 부위의 상처가 크고 수술 후 통증이 심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요즘에는 특수한 골절삭기를 이용하여 수술 부위에 4~5개의 작은 구멍을 뚫어 치료하는 최소 침습 무지외반증 교정수술(MICA)을 많이 시행하고 있습니다.

무지외반증은 통증과 같은 기능적 요소뿐만 아니라 미용적인 측면도 함께 동반된 질환이므로 수술 흉터가 작고 수술 후 통증이 적은 이 수술법에서 환자들의 만족도가 매우 높습니다. 수술 후 흉터와 수술 후 통증이 걱정되어 수술을 망설이는 분들에게 이 수술을 추천해 드립니다.


*외부 칼럼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위 블로그 발행글은

"대전광역시 서구청 소식지" 원고를 바탕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누구나 무료 구독 신청이 가능하오니 많은 신청 바랍니다.

문의ㅣ042-288-2286/2324



{"title":"<건강칼럼> 무지외반증 수술 치료법","source":"https://blog.naver.com/first_seogu/223810101890","blogName":"대전광역시..","domainIdOrBlogId":"first_seogu","nicknameOrBlogId":"대전광역시 서구","logNo":223810101890,"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